심층분석  -  문화예술 관련 논문현황 분석  5   /  가면극 연구의 현황과 전망

가면극의 예술적 측면에 대한 연구 활발하게 전개되야

전경욱 (고려대 교수)

 

한국의 민속극은 가면극, 꼭두각시놀음, 발탈 등이 전승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면극은 대표적인 민속극으로, 일찍이 1920년대에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그동안 가면극을 민족문화의 유산으로 인식하여 이를 보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해야 한다는 시대적 요청과 함께, 여러 학자들이 이룩한 업적과 연희자들의 노력에 의하여 가면극은 발굴·전수·연구되기에 이르렀다. 이와 함께 70년대 대학가에서의 가면극 공연은 대단한 열풍을 일으켜 가면극 전승의 활성화에 큰 몫을 담당했다.

193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출발한 가면극 연구는 그간 1000여 편의 논저가 축적되었다. 가면극은 종합예술의 성격을 띠고 있어, 문학·민속학·연극·음악·무용·복식 등 여러 분야에서 각각 나름대로의 연구가 진행되어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연구가 진척되면 될수록 새로운 측면에서의 고찰이 가능해지고, 새로운 연구과제가 발견되기 마련이다. 그동안 이룩된 성과에 의하여 가면극의 실상이 점차 밝혀지고, 가면극이 살아 있는 민속예술로 뿌리를 내리고 있지만, 아직도 가면극 연구에 참여한 학자들 사이에는 대립된 문제들이  많이 남아 있고,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또한 이제 북한의 원전을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으므로, 해방 이후 북한에서 이루어진 가면극 연구도 함께 고찰하는 것이 마땅하다.   

본고에서는 우선 초창기부터 현재까지의 연구 동향을 시기별로 간략히 개관하고, 가면극 연구사에서 부각되었던 논점들을 문제별로 집중적으로 상론한 다음,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전망하기로 한다.

⑴ 제 1기(초창기, 1930년대) : 1920년대 최남선(1948)이 가면극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보인 이후, 1930년대에 들어 본격적인 가면극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는 가면극에 대한 역사적·민속학적 연구가 진행되어 가면극을 한국의 전통적인 연극 유산으로 간주하고, 이에 대한 학문적 기초를 마련해 주었다.
김재철(1933)은 문헌 자료를 통해 「조선연극사」를 저술하여 가면극에 대한 역사적 연구의 선편을 잡았다. 이로써 가면극은 연극으로서의 대접을 받고 국문학의 한 장르로 인식되었다. 송석하(1933, 1934, 1935)는 가면극의 전승 지역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하여 대본을 채록하고 가면극의 보존과 계몽을 위해 노력하는 등 민속학적 연구의 선편을 잡았다.
이 시기에는 김재철이 실증주의에 입각한  문헌·역사적 연구 방법에 의해 산대희기원설(山臺戱起源設)을 제기했고, 가면극은 가면무극(假面舞劇)·산대극(山臺劇)·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이란 용어로 불리었다.

⑵ 제 2기(침체기, 1940∼1952) : 이 시기는 1941년의 태평양전쟁의 발발, 1945년의 해방, 1950년의 6·25동란 등 사회적·역사적인 혼란기였으며, 가면극 연구도 침체를 벗어나지 못한 기간이었다.

⑶ 제 3기(재건기, 1953∼1969) : 제 3기는 1953년 이혜구(1953)의 기악기원설(伎樂起源設)로부터 시작된다. 기악기원설은 이후 가면극의 기원에 대한 연구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 시기에는 최상수, 양재연, 조원경, 이두현 등의 학자가 등장하여, 오랜 공백을 깨고 가면극 연구가 다시 활기를 띠게 되었다.
최상수(1958, 1967, 1984, 1985)는 문헌 자료에 대한 연구와 현지조사를 겸하여 이후 가면극 관계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했으며, 꼭두각시놀이 등 인형극에 대해서도 많은 자료를 정리해 놓았다. 양재연(1955)은 주로 문헌에 의거하여 가면극의 면모를 살폈다. 또한 초창기에 김재철에 의하여 제시된 가면극의 산대희기원설이 양재연, 이두현(1957)에 의하여 보완·심화되었는가 하면, 이혜구에 의하여 외래기원론인 기악기원설이 제시되어 가면극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 시기의 가장 주목할 만한 업적은 이두현(1969)의 「한국가면극」이다. 그는 가면극 연구의 초창기부터 시작된 역사적·민속학적 연구를 심화하고 집대성했다. 현지조사를 통해 전국 가면극의 분포를 밝히면서 대사를 채록하고, 문헌자료를 통해 가면극의 역사를 정리하는 등 방대한 연구성과를 거두었다.
이 시기에 북한에서는 한효(1956)·신영돈(1957)·김일출(1958)·고정옥(1962)·권택무(1966) 등에 의해 민속극에 대한 연구가 출판되어, 민속극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했다.
김일출은 황해도 지방의 탈춤과 함남 북청 지방의 사자놀이에 대한 현지조사와 가면극의 역사적 연구를 병행하여, 「조선민속탈놀이연구」라는 주목할 만한 성과를 내었다.
고정옥은 해방 후 남한에서 「조선민요연구」를 낸 민요 분야의 학자였으나, 월북 후 가면극과 판소리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다. 권택무는 「조선민간극」을 저술했는데, 가면극·꼭두각시놀음·극문학(話劇)을 대상으로 역사적 고찰을 시도하고 여러 민속극 자료를 소개했다. 그러나 권택무는 우리 민속극을 유물사관과 김일성의 주체사상에 의해 해석함으로써, 가면극과 꼭두각시놀음의 내용에 대한 해석에서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권택무 이후 북한에서의 가면극 연구는 매우 부진하여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것은 196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의 문화정책에 의해 가면극과 판소리의 전승이 단절된 사정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⑷ 제4기(발전기, 1970∼1980) : 이 시기에는 가면극의 실상을 파악하려는 다양한 측면의 연구와 폭넓고 심화된 방법론의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조동일(1975, 1979)과 김열규(1975)는 가면극의 문학적 특징과 구성원리를  밝히는데 기여하여, 가면극을 문학과 미학의 대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 특히 조동일의 「탈춤의 역사와 원리」는 가면극 연구의 수준을 일거에 끌어올린 뛰어난 업적이다. 이 책에서는 가면극의 각 과장에 대한 탁월한 분석과 함께, 가면극이 굿에서 극으로 이행하고, 극으로의 발전을 이룬 과정은 민중생활의 변화와 함께 이루어졌고, 민중의식의 성장으로 가능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서연호(1980)와 김방옥(1977)은 가면극의 연극적 측면에 대한 논의를 폈고, 김우탁(1978)과 심우성(1975)은 가면극의 고유 무대에  대하여 고찰했으며, 정상박(1975, 1979)은 현지조사를 통한 자료의 정리와 가면극의 전승양상에 대하여 연구했다.
가면극의 성격에 대하여는 가면극은 놀이라는 입장(김열규, 이상일, 채희완)과 연극이라는 입장(조동일, 서연호, 김방옥)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가면극의 기원에 대하여 이전의 산대희기원설과  기악기원설 대신에 제의기원설(김열규)과 풍농굿기원설(조동일)이 제시되었다.
이외에도 여석기(1970), 송동준(1974) 등에 의하여 가면극과 동서양 연극과의 비교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김세중(1972), 김백봉(1976) 등에 의하여 춤사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⑸ 제 5기(심화기, 1981∼현재) : 이 시기에는 정상박, 서연호, 유민영, 박진태, 윤광봉, 이미원, 전신재, 이병옥, 장정룡, 전경욱, 정형호, 사진실, 김욱동, 조만호 등에 의하여 가면극의 연행원리, 가면극 대사의 표현법,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과정, 가면극과 나례의 관련양상, 가면극의 놀이꾼, 특정한 가면극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 동서양 연극과의 비교, 가면의 조형, 춤사위 등에 대하여 각 분야의 연구가 심화되기 시작했다. 아울러 가면극과 꼭두각시놀음에 관한 새로운 문헌기록들이 다수 발굴되어 새로운 연구를 뒷받침했다.
서연호(1988, 1989, 1991)는 「한국의 탈놀이」라는 일련의 저서를 통해 수년에 걸친 현지조사 내용을 정리하고, 새로 발굴한 문헌자료들을 소개했다.
박진태(1990, 1999)는 「탈놀이의 기원과 구조」와 「동아시아샤머니즘연극과 탈」에서 가면극을 무굿기원설 중심으로 고찰하면서 굿의 구조와 가면극의 구조를 대비해 논의했고, 한국가면극을 중국의 나희(儺戱)와 비교 고찰하는 등 왕성한 연구를 진행했다.
윤광봉(1992, 1998)은 민속극의 범위를 확장하여 가무백희의 테두리 안에서 가면극과 꼭두각시놀이, 민속연희 등을 고찰하면서, 주로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를 전개했다.
전경욱(1993, 1996, 1997, 1998)은 「민속극」에서 전국의 가면극 대본에 대한 주석적 연구를 진행했고, 「한국의 탈」에서는 한국의 가면에 대한 정리작업을 했으며, 「한국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에서는 가면극의 여러 측면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펼쳤다.
이 시기는 특히 정상박(1986)의 「오광대와 들놀음 연구」, 이병옥(1982)의 「송파산대놀이연구」, 장정룡(1989)의 「강릉관노가면극연구」, 전경욱(1997)의 「북청사자놀이연구」 등 특정 지역의 가면극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눈길을 끈다.
 

1. 민속학적 연구
1930년대부터 활동한 송석하(1933, 1960)는 민속학의 여러 부문에 해박했고,민속의 현장 파악과 조사 수집, 채록과 촬영, 민속예술의 보존과 공연을 위한 열성, 민속의 계몽활동 등은 한국 민속학사에서 선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1930년대에 야류와 오광대의 전승지에 대한 현지조사를 통해 야류와 오광대의 원류와 그 전파경로를 고찰했다. 야류와 오광대의 발생지는 낙동강변인 초계 밤마리(경남 합천군 덕곡면 율지리)인데, 밤마리 시장에서 대광대패라는 유랑예인집단이 여러 공연물 가운데 하나로 수시로 가면극을 놀았고, 이것이 야류와 오광대의 원류임을 밝혔다.

이두현(1969)은 현장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정리하고, 각 가면극의  대본을 거의 채록·소개하여 한국 가면극의 전반적 면모를 제시했다.
정상박(1986)은 꾸준한 현장조사를 통해 경남지방 가면극의 계통을 정리하여 오광대와 들놀음으로 분류하고, 오광대는 다시 예인오광대와 토착오광대로 양분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경남지방의 토착가면극을 1)동부 경남의 수영과 동래의 들놀음, 2)가산·통영·고성·거제·학산 등지의 오광대, 3)서부 경남의  진주·가산·서구 등지의 오광대의 세 계통으로 나누어 가면극의 지역적 분포와 성격에 대해 고찰했다.

서연호(1988, 1989, 1991)는 1980년대까지 생존한 노인층 연희자들을 대상으로 성실한 민속학적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각 가면극 관련 새로운 문헌자료를 발굴했다. 또한 각 가면극의 성립 배경, 놀이패와 놀이꾼, 가면과 기본춤, 대본의 채록에 관련된 사항 등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의 가면극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를 총결산했다고 평가된다.

북한 학자 김일출(1958)은 1954∼1955년에 걸쳐 황해도 지방의 탈춤과 함남 북청 지방의 사자놀이에 대한 현지조사를 통하여, 황해도의 탈춤과 북청사자놀이의 분포도를 작성했다. 주목되는 조사성과는 해서탈춤을 가면·의상·춤사위·대사의 유형에 의하여, 기린·서흥·봉산·황주·재령·신천·안악 등지의 탈춤을 대표하는 봉산탈춤형과 옹진·강령·해주 등지의 탈춤을 대표하는 해주탈춤형으로 분류했다는 점이다.
권택무(1966)의 「조선민간극」은 통천가면극의 대본과 장연 지방의 꼭두각시놀음의 대본을 수록하고 있어 자료집으로서의 가치가 크다.

2. 역사적 연구
가면극의 역사적 연구에서 가장 논쟁이 심했던 것은 가면극의 기원에 관한 연구이다. 그동안 제시된 가면극의 기원론은 크게 산대희기원설·기악기원설·제의기원설·실제적 목적기원설로 나눌 수 있다. 가면극의 발전과정에 대하여는 이상의 여러 기원설을 종합한 견해가 자주 제시되었다.
   
⑴ 산대희(山臺戱)기원설
안확(1932)은 처용무·나례·산대희를 같은 것으로 보았다. 즉 나의(儺儀)가 신라시대에 처용무가 되고 고려시대에 내려와 산대희가 되었는데, 산대희가 바로 조선시대 산대도감극의 전신이라는 견해이다.
김재철(1933)은 가면극이 고대의 제의에서 출발하여 신라의 연희와 고려의 산대잡극을 거쳐 조선의 산대도감극으로 발전하여 왔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두현(1969)은 산대희기원설을 더욱 발전시켜, 가면극의 기원을 서낭제 탈놀이와 산대도감계통극으로 나누어 논의했다. 하회별신굿탈놀이, 강릉관노가면극 등 서낭제에서 놀았던 서낭제 탈놀이는 서낭제에서 기원해 발전한 토착적 가면극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서울 근교의 산대놀이, 해서탈춤, 야류와 오광대는 산대도감계통극이라고 주장한다. 산대도감극의 춤과 연기는 나례의 규식지희에서, 대사는 나례의 소학지희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보고, 처용무와 나례를 산대도감극 즉 가면극의 선행예능으로 인정했다. 그리고 인조 이후 공의(公儀)로서의 나희가 급격히 쇠퇴하고, 영·정조 이후 나희가 국가적인 행사로는 폐지되자, 그 놀이꾼인 팽인(人, 편놈)들이 민간에서 가면극인 산대놀이를 시작했고, 그러다가 놀이꾼들의 지방 분산으로 각 지방의 가면극이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전경욱(1998)은 한국의 가면극을 마을굿계통가면극과 본산대놀이계통가면극으로 나누어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과정을 고찰했다. 마을굿계통가면극은 하회별신굿놀이나 강릉관노가면극처럼 마을굿에서 유래한 가면극이고, 본산대놀이계통가면극은 전문적 놀이꾼들이 전승하던 산악잡희가 발전하여 성립된 가면극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이두현이 한국가면극의 계통을 산대도감계통극과 서낭제탈놀이로 나눈 견해를 이어받으면서, 새로 발견된 자료들을 가지고 보완한 것이다. 산악(散樂) 또는 산악잡희(散樂雜戱)라고 부르는 놀이들은 삼국시대에 중국으로부터 유입되었다고 한다. 결국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산대희라고 불리던 놀이들도 바로 이 산악잡희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산악잡희를 놀던 사람들이 이 놀이들을 발전시켜 ‘나희(儺戱)’라는 가면극을 성립시켰고, 일본에서는 산악잡희를 놀던 사람들이 ‘노오(能)’라는 가면극을 성립시킨 것처럼, 한국에서도 18세기 전반기에 중국 사신 영접시에 나례도감에 동원되어 놀이를 펼치던 반인(泮人)들이 산악잡희 계통의 연희와 가면희들을 바탕으로 재창조해낸 것이 본산대놀이라고 한다.

⑵ 기악(伎樂)기원설
기악기원설은 주로 이혜구와 서연호에 의하여 제기된 주장이다. 백제인 미마지가 중국 남조 오나라에서 배워 일본에 전했다는 기악은 13세기 일본문헌인 「교훈초」에 소개되어 있는데, 절에서 불사(佛事) 공양의 무곡(舞曲)으로 연출되던 교훈극으로서 묵극이었다.
이혜구(1953, 1969)는 기악을 양주별산대놀이 및 봉산탈춤과 비교하여, 가면극의 각 과장과 등장인물까지 설명했다. 이 학설은 한국 가면극에 대한 새로운 자료의 제공으로서 의의가 크고, 앞으로 자료를 더욱 발굴해 연구해야 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그러나 단순한 장면 비교로 기악과 한국 가면극을 같은 계열의 춤으로 보고, 각 과장의 등장인물의 성격이 같다고 하는 해석은 문제가 있다. 특히 「교훈초」의 내용은 미마지가 기악을 전수한지 600년이나 지난 후에 기록된 것이라, 기악 자체 내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서연호(1993)는 일본의 기악이 전래된 오국(吳國)의 위치에 대해 중국 남조 이외에 한국내재설로 고구려설·가야설·백제설이 있음을 소개하고, 전승가면·연희내용·연희방법·북청사자놀이와의 관계·전승계통·고대의 지역 명칭 등을 근거로 논의하면서 오국은 고구려의 봉산(황해도) 지역에 존재했다고 결론지었다.
최정여(1973)는 조선조 초기에 사원정비책으로  인하여 사원에서 물러난  승려들이 놀이패로 전환되면서, 기악이 민간연극으로 바뀌는 계기를 마련했으리라고 보았다.   
기악기원설이 설득력을 얻기 위해서는 기악과  현전하는 가면극의 중간 단계를 연결시킬 만한 자료를 발굴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망된다. 그리고 기악은 불교 선전극이며 묵극인데, 이것이 현전 가면극과 같이 파계승 풍자를 비롯한 민속풍자극으로, 대화와 연기가 함께 어우러지는 연극으로 발전한 과정에 대한 논의가 과제로 남아 있다.

⑶ 제의(祭儀)기원설
연극의 제의기원설은 예술의 시원이 제의에 있다는 의미에서 세계적인 보편성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고대 그리스 연극이나 동양연극을 비롯한 비서구적(非西歐的) 연극의 기원을 풍요제의나 무속제의에서 찾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였다. 한국 가면극의 제의기원설은 가면극의 기원이 무당이 주재하는 고대의 제의나 마을굿에 있다고 보는 무속제의기원설과 풍요제의기원설(풍농굿기원설)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두현(1969)은 고대의 제의에서 연극 일반의 기원을 찾아 이것을 가면극과 관련시키면서, 산대극의 모태로서 기악을 원형으로 설정하고, 나례희·산대희·가무잡희를 산대도감극의 선행 예능으로 보며, 규식지희와 소학지희의 결합이 가면극이라는 종합적인 견해를 제시했다.
가면극의 풍요제의기원설은 조동일(1979)에 의해 제기되었는데, 풍농굿기원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마을굿의 유형을 농악대가 하는 행사. 무당이 하는 행사, 제관이 하는 행사로 나누고, 가면극은 농악대 주도의 풍농굿에서 출발했다고 주장했다. 마을굿에서 농악대의 가면을 쓰고 노는 무리가  잡색으로 따라다니며 이따금씩 허튼 수작을 하기도 하지만, 마을굿을 하는 원래의 행사가 끝난 다음에 기회를 얻어서 놀이를 한바탕 따로 벌인 것이 가면극이라고 한다. 즉 가면극이 마을굿에서 자생적으로 생성 발전했다는 것이다. 가면극의 내용과 농악굿과를 비교하면 여러 공통점이 발견된다고 한다. 마을굿에서는 다산(多産)과 풍요(豊饒)를 기원하는 여름과 겨울의 싸움을 볼 수 있는데, 가면극에서도 이 같은 싸움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노장과 취발이의 대결, 미얄할미와 돌머리집의 대결에서 생산력이 약한 늙은이가 구축되고 생산력이 강한 젊은이가 승리하며, 젊은이로부터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바로 농경의식에서 행했던 모의 주술적 기풍의례(祈豊儀禮)의 반영이라고 해석했다. 그리고 가면극을 농촌탈춤과 도시탈춤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농사가 잘 되게 하려는 마을굿에서 농악대의 잡색들이 노는 놀이가 발전해 농촌탈춤이 형성되었고, 농촌탈춤이 18세기 중반 상인과 이속의 도시탈춤으로 발전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조동일(1994)은 가면극의 기원에 대해서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면서도, 각 지방 가면극의 형성과정에 대해서는 기존 견해를 수정했다. 즉 농촌탈춤이 바로 도시탈춤으로 바뀐 것이 아니라, 직업적 놀이꾼인 떠돌이놀이패의 탈춤이 농촌탈춤이 도시탈춤으로 발전하는 데 그 모형을 제공했을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오광대의 경우는 초계 밤마리의 오광대패와 같은 떠돌이놀이패의  가면극이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
풍농굿기원설은 가면극의 형성과정을 민간적 전승에서 찾고, 가면극이 하층문화로서 일관된 전승을 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풍농굿 기원과 관련이 없는 상좌춤 과장과 사자춤 과장에 대한 해명이 과제로 남아 있다. 또한 함경도처럼 농악이 없는 지역에 극의 성격을 지닌 북청사자놀음이 성행하고, 농악이 가장 성했던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 가면극이 존재하지 않는 점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가 과제로 남아 있다.
박진태(1990)는 풍부한 자료를 동원해 신화와 굿, 제의와 가면극의 상관성을 구조적으로 고찰했다. 박진태는 하회별신굿의 강신과 거리굿은 무당이 주재하고, 광대들이 하는 가면극에도 무당의 가면극이 들어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하회별신굿은 무당이 사제자 역할을 하던 마을굿에서 농악대가 주재하는 마을굿으로 전이하는 과정의 중간형태를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주지(獅子)과장, 백정과장, 할미과장, 중과장, 양반 선비과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각각 무굿의 <부정굿>, <타살굿>, <계면굿>, <세존굿>, <천왕굿>에 대응되며, 각 과장의 순차구조와 굿의 절차 사이에도 대응관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농악대굿도 무당이 주재하던 마을굿에서 분화 파생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 주장을 하회별신굿탈놀이 이외에 한국가면극 전반으로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⑷ 실제적 목적기원설
해방 후 북한에서 가면극을 연구한 김일출(1958)은 가면극의 기원을 사회주의적인 관점에서 고찰했다. 가면 내지 가면무용의 발생은 원시인이 짐승의 목소리를 흉내내거나 사냥하려는 짐승의 모피를 뒤집어쓰고 동물들에게 접근하는 특수한 수렵방식에서, 또는 호랑이나 곰 등을 숭배하는 토템과 관련된 의식에서, 혹은 종족간의 전쟁에서 적을 위협할 실제적 목적 등에서 기인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견해는 한국 가면극의 발생 기원에 대한 직접적인 설명이라기보다 가면극 일반의 기원을 표명한 것에 불과하다.
 
3. 미학적 측면에 대한 연구
조동일(1979)은 가면극을 탈춤이라고 부르면서 탈춤은 탈춤의 문법이라고 할 수 있는 갈등구조에 따라 이해해야 하고, 탈춤 연구의 가장 긴요한 과제는 갈등구조의 체계적인 서술이라고 보았다. 탈춤의 갈등구조는 풍농굿에서의 싸움을 기반으로 한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풍요와 생산할 수 있는 계절임을 상징하는 여름이 생산할 수 없는 계절인 겨울을 이기는 모습을 노장과 취발이, 할미와 돌머리집 등의 싸움에 적용하여 분석했다. 또한 그 싸움으로 인한 갈등을 사회적 배경과 관련시켜 해석하면서 가면극의 현실인식극으로서의 성격을 파헤쳤다. 또한  탈춤은 대방놀이인데 놀이패끼리만 하는 대방놀이가 아니고 놀이패와 구경꾼이 함께 어울리는 대방놀이이기 때문에, 탈춤은 극적 환상을 만들어 내지 않고 구경꾼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현실을 직접 비판하는 연극이고, 비판은 놀이패가 일방적으로 보여 주는 광경이 아니고 놀이패와 구경꾼이 대화를 나누고 토론을 전개하는 산 경험이라고 하며 연희자와 관중의 관계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했다.

김열규(1975)는 굿의 총체적인 맥락에서 가면극을 파악하고, 가면극을 이끌어가는 두 개의 상반된 힘을 강한 유형성과 자연발생적 즉흥성이라고 지적했다. 서낭굿·산신제·당굿 등으로 불리는 촌락 공동제의에서 온 마을이 엄격한 각종 금기(禁忌)의 망 속에 얽혀들었다가, 불안과 긴장의 고통은 사라지고 신이 탈 없이 마을을 찾아주면 충족과 해방의 환희가 터져나는데, 양반에 대한 풍자 및 음담을 극한 재담과 짓거리가 탈춤의 소극적(笑劇的) 효과라면, 그 효과에 있어 제의(祭儀)는 배경 구실을 다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탈춤의 현장성으로 공간적 현장성, 시간의 현장성, 연희자의 현장성, 관중의 현장성, 작품의 현장성을 제시했다. 또한 재담과 덕담은 풍자를 이루고 익살을 꾸미면서 탈춤의 유형적 상황이나 유형적 성격을 다양성 있게 이끌어 나가는데, 영감과 할미와 소첩이 벌이는 삼각관계, 상인과 양반의 갈등, 파계승과 서민의 대립 등은 거의 모든 탈춤과 민담·소설에 나타나는 유형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전신재(1980)는 양주별산대놀이의 근본정신을 생명원리라고 보고 그 연극성을 분석했다. 그는 가면극에서 행동이나 대사의 반복이 점층적으로 고조되어 가는 것은 가면극이 플롯으로써 관객을 긴장시키지 않고 행위 자체로 관객의 흥을 고조시키기 때문에 반복이 필요하며, 이 반복과 점층은 생생한 현장감을 살리기에 가장 적절한 수법이라고 보았다. 또한 가면극에서 가무 부분과 재담 부분이 계속 갈마들어 되풀이되는 것에 대하여, 가무 부분에서는 관객을 몰입시키고 재담 부분에서는 관객을 소외시킨다고 보았다. 또한 가면극의 가면·춤·노래는 속(俗)에서 성(聖)으로의 회귀라고 지적하고, 가면극 내에서의 언어의 혼란, 규범과 관습의 파괴, 신분질서의 전도, 성적 방종의 의미를 성의 윤리, 사회적 질서, 언어적 체계가 형성되기 이전의 상태로 회귀함을 뜻한다고 해석했다.

전경욱(1995)은 한국가면극에 등장하는 인물의 성격과 극적 형식은 나례에 등장하는 인물의 성격 및 구나(驅儺)형식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았다. 즉, 나례의 오방귀무·오방처용무와 가면극의 오방신장무, 나례의 사자무와 가면극의 사자춤, 나례의 소매와 가면극의 소무·소매각시, 나례의 처용·역신과 가면극의 취발이·노장, 나례의 구나형식과 팔먹중춤의 극적 형식 등은 서로 매우 밀접한 관련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한국가면극이 나례의 영향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는  이유는 서울의 산대놀이 가면극을 성립시킨 놀이꾼들이 바로 나례 및 중국사신 영접시에 동원되던 반인(泮人)들이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조동일(1997)은 <오이디프스왕>·<사쿤탈라>·<봉산탈춤>을 분석하여 카타르시스 연극·라사연극·신명풀이연극의 미학을 고찰했다. 세계관의 지향과 시대 성격을 함께 고려하여, 고대의 연극인 카타르시스연극은 그 시대 성격상 자기중심주의를 반영하여 힘의 우열에 의한 경쟁이 보이고, 중세의 연극인 라사연극은 보편주의를 반영하여 조화와 화해를 중시하며,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의 연극인 신명풀이연극은 민족주의와 함께 평등주의를 반영하고 있다고 해석한 것은 탁견이다. 특히 가면극의 ‘신명풀이의 원리’를 생극(生克)의 원리로 설명한 것은 가면극에 나타나는 갈등과 화합의 모순된 듯한 모습을 온당하게 해석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준 커다란 의의가 있다. 즉 가면극의 원리가 생극의 원리 즉 생성과 극복, 화합과 갈등이 둘이 아니고 하나이며, 하나가 아니고 둘이어서 화합 가운데 갈등이 있다는 것이다.

4. 대사와 삽입가요에 대한 연구
류종목(1981)은 각 지역의 대표적 가면극을 선택하여 수사법, 조어상의 특성 등을 분석했다. 한국 가면극의 대사는 서민정신의 발로라는 주제 아래 각 과장은 전체 속에서 옴니버스형의 단편적인 구성을 하고 있는 것이라 여겨지며, 이러한 구성을 통일된 수법으로 뒷받침한 것이 반복법이며, 의태어와 의성법의 빈번한 사용은 현대극의 효과음이나 무대배경의 구실처럼 극적 효과를 도우기 위한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조어상의 특성으로 비속어·은어·외설어·전고의 인용 등의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전체적으로 비속어를 많이 쓰며 은어의 사용은 아주 적음을 밝혔다. 이러한 조어상의 의미에 대해 비속어의 남용은 서민대중이 자아를 찾기 위한 몸부림의 표현이며, 전통적인 권위주의와 형식주의에 대한 탈출이나 반항을 시도하여 새로운 문화에 접근하려는 의지로 해석했다.

김욱동(1994)은 가면극의 외설어, 동음이의어 등의 말장난, 반어법, 숫자놀이, 수사법 등을 서구의 카니발이론으로 분석했다. 가면극은 언어의 카니발 축제가 벌어지는 흥겨운 놀이마당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 가면극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상당히 비유적이고 수사적인 언어이며, 언어의 다의성에 기초하는 말장난이나 말재롱을 자주 사용하고 있고, 등장인물은 언어의 지시적 기능보다는 오히려 언어의 표현적 기능을 더 중요하게 간주한다고 설명했다. 궁극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억압되어 있던  언어는 가면극에서 자유와 해방을 맞고 있으며, 가면극은 유희에 대한 인간의 본능을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조만호(1995)는 가면극 대사의 표현양상으로 파자(破字)놀이, 천자문과 언문뒤풀이, 수수께끼식 문답, 동일음, 유사음, 유사어의 반복, 욕설, 전고(典故) 및 한시 인용을 고찰했다.

전경욱(1998)은 가면극의 대사와 가요의 형성원리를 분석했다. 반복에 의해 형성된 대사는 기존가요를 차용해 형성한 대사와 함께 가면극 대사의 율동감을 조성하는 기저층위를 이루고 있으며, 구비전승의 특징을 엿볼 수 있는 면모를 갖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가면극의 대사는 과장 구성의 극적 형식과 긴밀한 관련을 갖고 형성된 것도 있으며, 정체확인형식, 수수께끼식의 문답형식, 티격태격형식, 자문자답형식, 무언 및 일인다역 형식 등 놀이판에 등장한 인물들이 서로 대화를 주고받으며 전개하는 극적 형식과 긴밀한 관련을 갖고 형성된 것도 있고, 기존가요들을 차용하면서 다양하게 개작해 형성된 것도 있음을 밝혔다.
강용권(1977)은 야류와 오광대를 중심으로 최초로 가면극의 대본에 대한 주석적 연구를 시도했다. 전경욱(1993)과 이두현(1997)은 전국의 가면극에 대한 주석적 연구를 진행했다.

5. 주제와 사회의식에 대한 연구

이두현(1969)은 가면극의 주제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종합했다. 가면극은 ① 벽사의 의식무(사상좌춤과 굿) ② 파계승에 대한 풍자 ③ 양반계급에 대한  모욕 ④ 일부(一夫)대 처첩의 삼각관계와 서민생활의 곤궁상 등을 보여 주며, 파계승·몰락한 양반과 하인·무당·사당과 거사·기타 서민들을 등장시켜, 무속(巫俗)과 불교신앙·권선징악의 테두리 안에서 호색(好色)과 현실 폭로의 익살·웃음을  통하여 이상의 주제들을 극으로써 표현하고 있다고 한다.

조동일(1979)은 가면극에서 어떤 극적 행위의 의미를 단편적으로 나열하는 방식으로는 주제를 올바로 파악하기 힘들다는 점을 강조하고, 포괄적인 의미를 지니는 극적 행위나 인물관계의 갈등구조를 분석해서 얻어낸 해석을 통해서 주제를 천착했다. 봉산탈춤의 경우에, 양반과장은 양반에 대한 풍자가 말뚝이라는 민중적 항거의 전형 인물을 통하여 진행되면서 말뚝이로 집약되는 민중의  활력을 개방하기 위해서 이를 억압하는 봉건적 특권은 철폐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고취하고 있고,  노장과장은 평등한 사회를 추구하는 현실주의에 입각해 신분적 특권을 유지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유교와 초월적 무관심을 권장하는 불교를 한꺼번에 배척하는 것이 주제이며, 미얄과장은 남성의 부당한 횡포를 드러내고 여성의 가련한 운명을 애통하게 여기도록 한다고 논의했다.

북한학자인 권택무(1966)는 경기도의 산대놀이와 황해도의 탈춤에 대하여 “당시 인민들의 심장의 외침을 반영하고 있는 이 가면극 작품들의 공통적인 기본 사상은 봉건착취집단(양반·중·관료)의 부화하고 타락한 기생충적 생활에 대하여 신랄한 폭로와 사회적 비판을 가하고 있는 반봉건적 민주주의 사상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 기본사상은 봉건착취계급의 멸망에 직면하고 있는  운명을 풍자적으로 확인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유물사관에 입각한 해석으로서, 양반과 승려에 의한 경제적 착취를 크게 부각시킨 것이다.

김열규(1975)는 가면극이 지닌 갖가지 도착 - 성(性)적인 도착이나 신분적 도착 - 이나 반란의 상태는 마을굿에 수반된 각종 편싸움의 갈등이나 대립 속에 시현되는 여러 아노미(anomie) 상태에 비교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가면극이 지닌 재미가 그 반란의 주지(主旨)에 있고, 그 흥이나 신명이 도착에 있지만, 가면극이 기성질서의 구속이나 금압에 항거하는 서민의 감정을 표현하기만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물론 서민들의 동질성을 공감 확대하고 양반과 승려를 상대로 해 이긴 보람은 서민사회의 내적 결속이지만, 다른 차원의 사회적 결속도 성취한다는 것이다. 양반계급과의 사이에 내재해 있는 갈등을 가면극의 테두리 속에서 노출시킴으로써 그것을 해소 내지 정화시키고, 양반과 서민은 서로간의 갱신과 질서 속에서 공존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해석했다. 표면적으로는 여전히 지난날의 사회적 규범이 존속하지만, 내연(內燃)하고 있는 알력과 마찰이 폭발되고  그로 인해 해소된 심성으로 새로이 맞는 질서는 갱신된 질서라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면극은 그 도착이나 반란으로 해 내외(內外) 이중의 사회적 결속을 성취하는데, 이는 마을굿의 의의인 갈등의 제시와 조화라는 측면과 일치하고 있다고 보았다.

김인환(1979)은 의식의 표현이 노동인 데 비하여 본능 특히 화합본능의 표현이 놀이라고 보았다. 그는 양주별산대놀이에서 나타나는 싸움과 애욕의 표현은 건전한 본능의 실현이 아니라 과잉억압 상태 아래에서  파괴본능이 강화된 모습을 드러내고 있으나, 그것을 구조적으로 검토하여 놀이라는 성격에 유의할 때는 화합본능의 표현이 된다면서, 내면적인 통일성으로 삶과 죽음, 출산과 사망, 성장과 노쇠를 지적했다.

6. 연희자에 대한 연구

아키바 다카시(1954)는 서울 애오개본산대놀이의 놀이꾼을 궁중에서 천한 일을 하던 하층민인 반인(泮人)이라고 지적했다.
이두현(1969)은 인조(仁祖) 이후 공의(公儀)로서의 나희(儺戱)가 급격히 쇠퇴하고, 영·정조 이후 나희가 국가적인 행사로는 폐지되자 그 놀이꾼인 팽인(人, 편놈)들이 민간에서 가면극인 산대놀이를 시작했고, 그러다가 놀이꾼들의 지방 분산으로 각 지방의 가면극이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이훈상(1989)은 조선 후기 이후의 가면극은 천민 신분의 유랑예능인이나 농민이 놀이꾼인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은 향리들이 주재해 연행한 것으로 보았다. 이훈상은 조선 후기에 향리들의 행사인 관아나례에서 연행된 가면극과 민간에서 연행된 가면극을 구별하지 않고 논의를 진행했고, 상층향리가 관아나례에 동원된 가면극의 감독과 후원을 맡았던 것을 마치 이들이 직접 가면극을 주재하고 연행에도 참여한 것으로 해석했다. 그러나 실제로 상층 향리가 가면극의 놀이꾼으로 참여한 경우는 없다. 다만 일부 지역에서 하급 관속들과 관노들이 가면극의 놀이꾼으로 참여한 경우만 발견되므로, 조선 후기 가면극의 연행을 향리들이 주도한 것으로 볼 수는 없다.

박진태(1990)는 조선 후기의 이서층은 중앙과 지방을 가리지 않고, 주자학적 양반 문화에 대항해, 한편으론 한시, 시조 같은 상층 문화를 하향적으로 수용하고, 다른 한편으론 가면극·판소리 같은 하층 문화를 상향적으로 수용해, 문화의 확산과 유통 과정에서 중재자적 역할을 주체적으로 수행했는데, 특히 가면극에서는 신주부, 포도부장 같은 이서층의 전형은 물론이고, 취발이, 신장수,  말뚝이 같은 서민층, 천민층의 전형까지 창조해 등장시킴으로써, 근대지향적인 사회 변동을 충실히  반영시키면서 민속예술로 발전시켜 왔다고 지적했다.

전경욱(1998, 2000)은 한국에서 산악 계통의 놀이를 놀던 사람들은 세습무계 출신과 북방유목민들이었음에 주목하고, 새로운 문헌자료들을 발굴해 성균관에 속했던 백정인 반인(泮人)들에 의해 서울의 산대놀이가 성립되었음을 밝혔다. 그리고 원래 한국의 백정들은 동몽골족인 달단(撻袒)을  비롯한 북방유목민들이었으므로, 한국가면극에는 몽골문화의 영향이 많이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우선 가면과 관련된 용어인 탈은 고대몽골어에서 얼굴을 의미하고, 탈박과 탈바가지에서 ‘박’과 ‘바가지’는 각각 몽골어로 가면과 도구라는 뜻하며, 완보와 최괄이라는 이름도 몽골문화와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7. 외국 연극과의 비교 연구

여석기(1970)는 가면극의 연극성의 특징을 파르스(farce), 즉 소극성(笑劇性)에서 찾아, 1)극도로 유형화된 성격, 2)코믹한 신체 동작에서 오는 과장·익살·부자연스러움·반복 등 희극적 표현성, 3)파르스에 따른 일반적인 특색의  하나로 호색 방탕한 동작과 대사의 분방함, 4)대사의 역할로 재담·말재주·익살·요설과 노골적인 비어 등을 들었다.
김학주(1963)는 중국의 경우 나례에서 연희되던 잡희들이 발전해 가면극인 나희(儺戱)가 성립되었음을 밝히고, 한국의 경우도 동일한 발전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보았다. 이후 윤광봉(1992)과 전경욱(1995) 등에 의해 나례와 한국가면극의 성립과정에 대한 논의가 심화되면서 김학주의 주장은 매우 정확한 견해였음이 밝혀졌다.

송동준(1974)은 중국 경극(京劇)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브레히트의 서사극과 가면극을 비교했다. 서사극과 가면극은 비아리스토텔레스적 연극이라는 점에서 통할 뿐 아니라, 무대, 기이한 가면, 비사실적 시간 진행, 극의 구성, 전고 인용과 육담의 대조적 방법, 취발이의 1인 2역, 의외적 판단, 등장인물의 자기 소개, 악공과의 대화 등의 조건이 소외효과를 위한 수단으로 서사극과 통한다고 보았다.

전신재(1980)는 서사극의 주창자 브레히트와 제의(祭儀)의 연극(잔혹연극)의 주창자 아르또는 모두 동양연극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연극 이론은 아주 대조적이라고 지적한다. 서사극이 감정보다 이성을, 감상보다 인식을, 감격보다 비판을 중시하여 감정이입을 차단하는데 반해서, 가면극은 극적 환상에의 감정이입은 아니지만 관객을 탈판의 흥겨운 분위기로 휩쓸려 들어오게 한다면서 가면극의 서사극설을 비판했다. 브레히트는 관객이 무대에서 벌어지는 상황에 동화되지 않도록 항상 지적으로 각성시켜 정확한 판단과 비판으로 이 시대의 악을 고치게 한 반면,  아르또는 관객에게 충격을 주어 정적으로 연극에 몰입하게 함으로써 이 시대의 고뇌를 깨닫게 했다고 하며 양주별산대놀이와 아르또연극을 비교했다.

이미원(1990)은 16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3세기 가까이 직업적인 유랑극단에 의해 유럽 전역에서 순회공연되었던 ‘코메디아 델아르테’와 가면극을 대조하여, 연극과 인간성의 보편성을 확인했다. 코메디아 델아르테와 가면극은 지역적·문화적·사회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자가 모두 연극을 희곡적인 입장이 아니라 공연예술의 입장에서 구성했다는 점, 과장된 가면을 쓰는 연극이라는 점, 유형적인 인물이 등장한다는 점, 유형화된 즉흥연기가 있다는 점, 창의적 즉흥연기와 연희자의 숙련도가 요구된다는 점 등 공통된 구성원리를 갖고 있음을 지적했다.

8. 예술적 측면에 대한 연구

가면극의 예술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가면의 조형, 춤사위, 무대, 의상 등에 걸쳐 진행되었다.
가면의 조형에 대하여는 가면의 조형과 상징에 대한 정양모·조동일의 토론(1981), 가면의 조형적 특성을 가면극의 지역적 특징 및 내용과 관련시켜 논의한 유민영(1984)의 연구, 한국 가면의 기원과 종류·제작법 등을 소개하고 가면의 원색 도판을 실은 최상수(1984)와 전경욱(1996)의 연구, 가면을 통해 본 하회가면의 예술성과 사회성에 대해 논의한 임재해(1991)의 연구 등이 있다.

유민영은 전국 가면극의 가면에 대하여 고찰하면서, 남부지방의 가면이 더 주술적이고 풍자성이 강하고 사회성·저항성이 강한 데 반해서, 중부지방의 가면은 매우 인간적이고 기교적이고 다양하며 종교성이 강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한국의 가면은 강렬한 원색의 사용, 심한 요철, 희화화한 표현으로 괴기스럽게 보인다고 하면서, 예술성이 강한 하회가면의 조형미에 대하여 등장인물의 성격과 관련시켜 논의했다.
가면극의 춤사위 연구는 김세중(1972), 김백봉(1976), 이병옥(1982), 김온경(1980, 1983), 송경희(1998), 최창주(2000) 등에 의하여 진행되었다. 최창주는 봉산탈춤의 춤과 연기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봉산탈춤의 전수교본을 완성했다.

가면극의 무대에 대한 연구로 심우성(1973, 1974), 허술(1974), 김우탁(1978)은 가면극의 옛 놀이판을 고증하여 소개하는가 하면, 옛 놀이판을 잃은 현전 가면극의 공연을 위한 무대구성에 대해 논의했다.
현재 가면극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면·의상·소도구 등을 1930년대에 수집된 것들과 비교해 보면 너무나 많은 차이를 발견하게 된다. 또한 가면극의 춤사위도 예전과 많이 달라진 것을 실감하게 된다. 앞으로 가면극의 예술적 측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그 결과가 가면극의 전승 현장에 반영되어, 가면극의 예술적 측면에 대한 보완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가면극과 관련된 자료의 수집과 정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하며, 이 분야의 학자들을 육성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 이웃의 중국이나 일본처럼 이 분야의 자료를 수집 정리하고, 이 분야의 연구자들이 체계적으로 연구에 종사할 수 있는 박물관·연구소의 설립과 기존 연구기관의 확충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그동안 가면극이나 전통연희에 기반한 마당극·민족극·마당놀이 등의 공연예술이나, 전통연극을 현대적으로 계승한 창작극을 정립해 보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이 그 나름의 의의를 갖고는 있지만, 앞으로 한층 차원 높게 발전시켜 새로운 공연문화를 창조하는 일이 과제로 남아 있다고들 말한다. 이를 위해 앞으로 가면극과 전통연희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한국적 공연문화의 창출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연구의 시야를 확대해야 하고, 연구자와 공연예술인 상호간의 교류와 협동작업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장과 밀착된 꾸준한 조사로 사설, 춤사위, 음악, 가면, 의상, 놀이판, 연희자, 공연의 상황 등에 대한 종합적 자료를 수록한 연희본의 작성이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가면극의 사설, 춤사위, 장단, 삽입가요를 개별적으로 다룰 것이 아니라, 민중의 예술 표현형식이란 측면에서 각 요소가 함께 어울려 이루어내는 연행방식에 대한 고찰을 통해 미학적 측면의 연구를 심화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연극이론과 연희이론의 체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중국·일본의 가면극과 전통연희는 대부분 산악잡희  계통의 연희들로부터 발전한 공통점이 있다. 한국에서는 주로 세습무계 출신과 북방유목민 계통에서 전통예능인들이 나왔다. 중국의 전통연희의 예능인은 주로 전쟁포로, 범죄자의 가족, 무격 등 천민 출신이었다. 일본도 북방유목민 계통의 인형극 예능인, 신사에 속했던 무당, 절에 속했던 천민들이 전통연희를 계승해 왔다. 그런데 산악잡희로부터 다양한 전통연희로 발전하는 가운데 그 예능인의 역할이 지대했으므로, 한국·중국·일본의 전통예능인을 비교하여 각국에서 이루어진 전통연희의 전개양상을 파악함으로써, 한국  가면극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가면극 예능인의 존재와 그 특징이 밝혀짐으로써, 가면극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가면극을 활발하게 연구할 수 있는 계기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가면극사와 한국연희사의 기술을 위해서, 또한 가면극의 심화된 연구를 위해서는 한국의 가면극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중국·일본 등의 가면극과의 비교 연구가 필수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한국 가면극 관련 논저:자료목록 (1927~2000년)
1927    이능화, 좬조선무속고좭, 좬계명좭 19, 1927(이재곤 역주, 백록출판사, 1983)
1929    송석하, 좥朝鮮の人形芝居좦, 좬민속예술좭 2권 4호, 지평사서방, 1929.
1929    조윤제, 좥삼국시대의 가무희좦, 좬신흥좭 1권 1, 신흥사, 1929. 7.
1930    조윤제, 좥신라시대의 가면극좦, 좬신생좭 4권 6, 1930.
1930    최남선, 좥구나희고좦, 중외일보, 1930. 1. 29.
1931    김재철, 좥외사(外使)와 조선연극좦, 좬조선어문학회보좭 1, 1931. 7.
1932    김재철, 좥한국인형극 꼭두각시좦, 좬동광좭 39, 1932. 11.
1932    송석하, 좥한국민속극좦, 좬민속학좭 4권 8호, 1932.
1932    안확, 좥처용극좦, 좬조선좭 172, 조선총독부, 1932.
1932    안확, 좥山臺 と處容舞と儺좦, 좬조선좭 201, 조선총독부, 1932.
1933    김재철, 좬조선연극사좭, 조선어문학회, 1933 (학예사, 1939 증보판).
1933    송석하, 좥봉산의 무용가면좦, 동아일보, 1933. 12. 16.
1933    송석하, 좥오광대소고좦, 좬조선민속좭 1, 조선민속학회, 1933.
1933    정인섭, 좥진주오광대탈놀음좦, 좬조선민속좭 제1집, 조선민속학회, 1933.
1933    秋葉隆, 좥假面を祀る좦, 좬ドルメン假面좭 特輯號, 1933.
1934    송석하, 좥동래야류대사좦, 좬조선민속좭 2, 조선민속학회, 1934.
1934    송석하, 좥진주오광대각본좦, 동아일보, 1934. 4. 21-30.
1934    송석하, 좥南鮮가면극의 부흥운동좦, 동아일보, 1934. 4.
1935    송석하, 좥민속극 동래야류좦, 동아일보, 1935. 4. 13.
1935    송석하, 좥처용무·나례·산대극의 관계를 논함좦, 좬진단학보좭  2권 2호, 진단학회, 1935.
1936    송석하, 좥가면이란 무엇인가좦, 좬조광좭 4호, 조선일보사, 1936.
1937    高橋亨, 좥山臺雜劇について좦, 좬朝鮮좭 261, 朝鮮總督府, 1937.2.
1937    송신용외, 좥봉산탈춤 좌담회좦, 좬조광좭 21, 조선일보사, 1937. 7.
1937    오청, 좥假面舞踊劇鳳山タ-ル脚本좦, 좬조선좭  261,  1937.(좬민속어문논총좭, 계명대출판사, 1983 재수록)
1937    村山智順, 좥民衆娛樂としての 鳳山假面劇좦, 좬朝鮮좭 261, 1937. 2.
1937    황선철, 좥가면무용산대극대본좦, 좬조선좭 261, 조선총독부, 1937.
1938    김양봉, 좥숙신 고도의 관아놀이좦, 좬한글좭 6권 6, 한글학회, 1938. 6.
1939    송석하, 좥해주강령의 가면연극무좦, 동아일보 1939. 10. 3 -14.
1939    홍구, 좥산대도감 각본좦, 좬영화연극좭 1, 1939.
1940    송석하, 좥봉산가면극 각본좦, 좬문장좭 2권 6∼7호, 문장사, 1940.
1940    秋葉隆 편, 좬朝鮮民俗좭 第1號, 朝鮮民俗學會, 1940.
1944    印南高一, 좬朝鮮の演劇좭, 北光書房, 1944.
1948    손진태, 좬조선민족문화의 연구좭, 을유문화사, 1948.
1948    최남선, 좬조선상식문답 속편좭, 동명사, 1948.(삼성문화문고 17, 1972).
1949    도유호, 좥민족문화유산의 계승에 관한 제문제좦, 좬문화유물좭 1, 평양, 1949.
1951    최상수, 좥Folk Mask of Korea좦, 좬Korea좭 Vol 1. 1951. 9. 9.
1953    이혜구, 좥산대극과 기악좦, 좬연희춘추좭, 1953.(좥한국음악연구좦, 국민음악연구회, 1957).
1955    물질문화유물보존위원회, 좬조선의 민간오락좭, 동경, 학우서방, 1955.
1954    임석재, 좥양주별산대놀이 대사좦, 좬협동좭 49·50, 1954. 7.
1954    秋葉隆, 좥山臺戱좦, 좥朝鮮民俗誌좦, 六三書院, 1954.
1955    양재연, 좥산대도감희에 취하여좦, 좬중앙대 30주년논문집좭, 1955.
1955    이가원 역, 좥꼭두각시실기좦, 좬국어국문학좭 14, 국어국문학회, 1955.
1955    이혜구, 좥고구려악과 서역악좦, 좬서울대 논문집좭 2집, 서울대, 1955.
1955    이혜구, 좥송만재의 관우희좦, 좬중앙대 30주년논문집좭, 중앙대, 1955.
1955    조원경, 좥나례와 가면무극좦, 좬학림좭 4, 연세대학교 사학과, 1955.
1955    조원경, 좥儺禮와 假面舞劇좦, 연세대 석사논문, 1955.
1956    송석하, 좥허수아비고좦, 좬민속학보좭 1, 한국민속학회, 1956. 5.
1956    안계현, 좥八關會攷좦, 좬동국사학좭 4집, 동국대학교 사학회, 1956.
1956    최상수, 좥꼭두각시 어원고좦, 조선일보, 1956. 2. 2.
1956    최상수, 좥꼭두각시 인형극의 연구좦, 좬민속학보좭 1, 한국민속학회, 1956.
1956    최상수, 좥한국가면극의 사적 고찰좦, 한국일보 1956. 9. 30.
1956    최상수, 좥한국서부의 가면무극좦, 좬민속학보좭 1, 한국민속학회, 1956.
1956    한효, 좬조선연극사 개요좭, 평양, 국립출판사, 1956.
1957    강권, 좥한국인형극 소고좦, 좬국어국문학좭 16, 국어국문학회, 1957.
1957    고정옥, 좥조선민간극 연구 서설좦, 좬조선어문좭 3호, 평양, 1957.
1957    김일출, 좥황해도 탈놀이와 그 인민성좦, 좬문화유산좭 1호, 평양, 과학원출판사, 1957.
1957    김일출, 좥봉산탈놀이의 옛모습을 찾아서좦, 좬문화유산좭 3호, 평양, 과학원출판사, 1957.
1957    김일출, 좥산대잡극의 형성에 관하여좦, 좬문화유산좭 4호, 평양, 과학원출판사, 1957.
1957    김일출, 좥서흥탈놀이대본좦, 좬문화유산좭 4호, 평양, 과학원출판사, 1957.
1957    김일출, 좥문화적 농촌건설과 민속유산의 계승을 위하여좦, 좬문화유산좭 5호, 평양,  과학원 출판사, 1957.
1957    신영돈, 좬우리나라의 탈놀이좭, 평양, 국립출판사, 1957.
1957    이두현, 좥산대도감극의 성립과정에 대하여좦, 좬국어국문학좭 18, 국어국문학회, 1957.
1957    이혜구, 좥목은선생의 驅儺行좦, 좬한국음악연구좭, 국민음악연구회, 1957.
1957    이혜구, 좥산대극과 기악좦, 좬한국음악연구좭, 1957.
1957    임석재, 좥강령탈춤 대사좦, 좬현대문학좭 29, 현대문학사, 1957. 5.
1957    임석재, 좥봉산탈춤 대사좦, 좬국어국문학좭 18, 국어국문학회, 1957.
1957    장한기, 좥가면무극고좦, 동국대 석사논문, 1957.
1957    전장석, 좥북청지방의 민속좦, 좬문화유산좭 4호, 평양, 과학원출판사, 1957.
1957    최상수, 좥산대가면극좦, 경향신문, 1957. 6. 24.
1957    최상수, 좥산대가면극의 내용좦, 조선일보, 1957. 2. 25.
1957    최상수, 좥오광대 야류 가면극 해제좦, 좬민속학보좭 2, 한국민속학회, 1957.
1957    최상수, 좥인형극좦, 좬유네스코 총람좭, 1957. 5. 25.
1957    최상수, 좥진주오광대가면극좦, 경향신문, 1957. 2. 28.
1958    김일출, 좥우리나라 연중행사에 관하여좦, 좬문화유산좭 1호, 평양, 과학원출판사, 1958.
1958    김일출, 좥조선민속학의 발전을 위하여좦, 좬문화유산좭 4호, 평양, 과학원출판사, 1958.
1958    김일출, 좬조선민속탈놀이연구좭, 평양, 과학원출판사, 1958.
1958    이두현, 좥가면극(민속극)좦, 좬한국예술개관좭, 예술원, 1958.
1958    이두현, 좥한국의 가면좦, 좬사조좭 1권 5, 1958. 8.
1958    이두현, 좬한국연극사좭, 민중서관, 1958.
1958    이보라, 좥양주산대놀이좦, 좬현대문학좭 46.47.48.50, 1958-1959.
1958    이혜구, 좥이씨조선 서울의 음악문화좦, 좬향토서울좭 4, 1958.
1958    전장석, 좥민속학연구를 더욱 현실에 접근시키기 위하여좦, 좬문화유산좭, 평양,  과학원출판사, 1958. 3.
1958    조연현, 좥무대광대와 사상탐화좦, 좬현대문학좭 42, 현대문학사, 1958.
1958    조원경, 좥인조시대의 儺禮膽錄좦, 좬향토서울좭 4, 1958.
1958    최상수, 좥양주별산대가면극좦, 좬식량농업좭, 1958. 2.
1959    유한상, 좥하회별신 가면무극 대사좦, 좬국어국문학좭 20, 국어국문학회, 1959.
1959    이두현, 좥신라오기고좦, 좬논문집좭 9, 서울대, 1959.
1959    최상수, 좥고성오광대가면극좦, 동아일보, 1959. 8. 12-22.
1959    최상수, 좥꼭두각시 인형극좦, 서울신문, 1959. 10. 3.
1959    최상수, 좥야류.오광대가면극의 연구좦, 서울신문, 1959. 10. 30-1960. 2. 10.
1959    최상수, 좥한국가면의 종류와 구조좦, 조선일보, 1959. 8. 26.
1959    최상수, 좬The Study of the Mask Play of Hahoe좭, 고려서적, 1959.
1959    최상수, 좬하회가면극연구좭, 고려서적, 1959. 6.
1960    송석하, 좬한국민속고좭, 일신사, 1960.
1960    이민기, 좥통영오광대 대사좦, 좬국어국문학좭 22, 국어국문학회, 1960.
1960    이보라, 좥봉산탈 양주놀이좦, 좬현대문학좭 79·80·83, 현대문학사, 1960.
1960       정상박, 좥고성오광대대사좦, 좬국어국문학좭 22, 국어국문학회, 1960.
1960    최상수, 좥통영오광대탈놀음좦, 국제신문, 1960. 1.3-11.
1960    최상수, 좥시급한 민속극의 수립좦, 좬한국일보좭, 1960. 2. 8.
1960    최상수, 좥탈과 꼭두에 대하여좦, 좬조선일보좦, 1960. 3. 10-17.
1960    최상수, 좥탈의 어원고좦, 조선일보, 1960. 1. 30.
1961    최상수, 좥우리나라의 가면좦, 좬새나라좦, 1961. 9.
1961    최상수, 좬A Study of Korean Puppet Play좦, 고려서적, 1961.
1961    최상수, 좬한국인형극의 연구좭, 고려서적, 1961.
1962    고정옥, 좬조선구전문학연구좭, 평양, 과학원출판사, 1962.
1962    양재연, 좥新羅金丸戱에 대하여좦, 좬중앙대논문집좭 8집, 중앙대, 1962.
1962    최상수, 좬A study  of Yaryu & O-Guang dae Mask Play좭, 좬학술원논문집좭 3, 1962.
1962    최상수, 좥Mask Dance Charms Sprits Ridiculous Yangban Class좦, 좬Korean Joural좭, 1963. 2. 5.
1962    최상수, 좥한국의 민속극좦, 좬현대인강좌좭, 박우사, 1962.
1962    최상수, 좥한국의 민속제전좦, 서울신문, 1962. 9. 13 - 15.
1962    하상두, 좥한국의 가면극회의 윤곽좦, 좬한양좭 1권 10, 1962. 12.
1963    김학주, 좥나례와 잡희-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좦, 좬아세아연구좭 12.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63.
1963    예용해, 좬인간문화재좭, 어문각, 1963.
1963    장한기, 좥한국연극의 사상적 배경좦, 좬무애 양주동박사 화갑기념논집좭, 1963.
1963 최상수, 좬The Content and Signifiicationce  of  Korean  Puppet  Play좦, 좬Korea Quarterly좭 Vol.5, 1963.
1963    최상수, 좥The Descent and the Evolution of Korean Puppet Play좦, 조선일보, 1963.
1963    최상수, 좥고전연극(경남의 예술)좦, 좬경상남도지(중)좭, 1963.
1963    최상수, 좥꼭두각시 인형극좦, 좬경상남도지(하)좭, 1963.
1963    최상수, 좥야류 오광대 가면극좦, 좬경상남도지(하)좭, 1963.
1963    최원희, 좥강좌;과거 우리나라의 민간명절행사좦, 좬고고민속좭, 평양, 사회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1963. 4.
1964    강용권, 좥수영야류극좭, 좬국어국문학좭 27, 국어국문학회, 1964.
1964    김천흥.이두현, 좥오광대좦, 좬문화재관리국 조사보고서좭, 1964.
1964    박헌봉.이두현, 좥꼭두각시놀음좦, 좬문화재관리국 조사보고서좭, 1964.
1964    박헌봉.이두현, 좥양주별산대놀이좦, 좬문화재관리국 조사보고서좭, 1964.
1964    서득창, 좥조선의 민속놀이좦, 평양, 군중문화출판사, 1964.
1964    양재연, 좥신라오기 연구서설좦, 좬도남 조윤제 회갑논집좭, 1964.
1964     양재연, 좥월전희고좦, 좬중대문경좭 17, 1964. 12.
1964    우리문화연구회, 좥서낭의식과 탈춤의 발생좦, 좬세대좭 13호, 세대사, 1964.
1964    이두현, 좥History of Korean Drama좦, 좬Korean Journal좭, UNESCO, 1964.
1964    전장석, 좥탈놀이, 꼭두각시놀음좦, 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민속학연구실, 좬조선의 민속놀이좭, 평양, 1964(푸른숲, 서울, 1988).
1964    최상수, 좥산대가면극의 연구좦, 좬학술지좭5, 건국학술연구원, 1964.
1964    최상수, 좥상고의 연극좦, 좬한국예술논총좭, 예술원, 1964.
1964    최상수, 좥야류 오광대 가면극의 내용 의의와 형성좦, 좬김두헌박사 회갑기념논문집좭, 어문각, 1964.
1964    최상수, 좥이조시대의 인형극과 가면극좦, 좬한국예술논총좭, 예술원, 1964.
1964    최상수, 좥해서가면극의 연구좦, 좬예술원논문집좭 3, 예술원, 1964.
1964    최한복, 좥수영야류극좦, 좬국어국문학좭 27, 국어국문학회, 1964.
1964    하상두, 좥가면극 소고좦, 좬한양좭 3권 9, 1964. 9.
1965    김천흥.이두현, 좥봉산탈춤좦, 좬문화재관리국 조사보고서좭, 1965.
1965    이두현, 좥한국연극 기원에 관한 몇가지 고찰좦, 좬예술원논문집좭 4, 예술원, 1965.
1965    최길성, 좥소놀이굿과 무가 제석거리에 대하여좦, 고려대 석사논문, 1965.
1965    최상수, 좥동래야류 가면극좦, 좬문화재관리국보고서좭, 1965. 12.
1965    최상수, 좥가면극본, 인형극본 해제좦, 좬한국예술총람좭, 예술원, 1965.
1966    강용권, 좥한국가면극 각본의 고찰좦, 좬동아논총좭 3, 동아대, 1966.
1966    권택무, 좬조선민간극좭, 평양,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1966.
1966    양재연, 좥대면희고좦, 좬중대논문집좭 11, 중앙대, 1966. 12.
1966    양재연, 좥산대희(그 전개와 민중성)좦, 좬청맥좭 3권 5호, 1966.
1966    양재연, 좥속독희고좦, 좬중대논문집좭 11, 중앙대, 1966. 12.
1966    양재연, 좥한국고대연희 연구좦, 중앙대 박사논문, 1966.
1966    양재연, 좬한국고대연극연구좭, 중앙대출판부, 1966.
1966    원정혜, 좥한국가면극의 형태 분석과 민중의식에 관한 연구좦, 공주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6. 2.
1966    이두현, 좥한국민속지(오광대)좦, 좬연포 이하윤선생 화갑논문집좭, 1966.
1966    임동권, 좥민속학에서 본 한국연극좦, 좬연극좭 2, 1966.
1966    조동일, 좥가면극 대사에 나타난 패러디에 대하여좦, 좬우리문화좭, 1966. 12.
1966    최상수, 좥동래야류 가면극좦, 좬문화재좭 2, 문화재관리국, 1966.
1966    최상수, 좥한국가면의 연구좦, 좬민족문화연구좭 제2호,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1966.
1967    이두현, 좥하회 및 병산가면좦, 좬문화재좭 3, 문화재관리국, 1967.
1967    장한기, 좥한국가면무극연구(삼국시대 이전의 가면무극 시론)좦, 좬불교학보좭 5, 동국대, 1967.
1967    최상수, 좬해서가면극연구좭, 대성문화사, 1967.
1968    남운용, 좥서민의 갈채속에 유랑  50년, 남사당 연희로 방방곡곡  누벼좦, 좬신동아좭  47, 1968. 7.
1968    이두현, 좥양주산대놀이 대사좦, 좬아세아연구좭 30,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68.
1968    이두현, 좥양주소놀이굿좦, 좬국어국문학좭 39.40, 국어국문학회, 1968.
1968    장한기, 좥양주산대가면극의 배경과 특징좦, 좬연극학보좭 2, 동국대 연극학과, 1968.
1968    장한기, 좥향토 민속극의 연구좦, 좬예술원논문집좭 7, 예술원, 1968.
1968    조동일, 좥가면극의 희극적 갈등좦, 서울대 석사논문, 1968.
1968    한형석, 좥한국 가면극의 새로운 시도좦, 좬낙산 김정한 송수논집좭, 1968.
1969    부산시, 좥수영야류극대본좦, 좬항도부산좭 7, 1969.
1969    이두현, 좥북청사자놀음좦, 좬김재원선생 화갑논문집좭, 1969.
1969    이두현, 좬한국가면극좦, 문화재관리국, 1969.
1969    이혜구, 좥伎樂と山臺假面劇좦, 좬조선학보좭 51, 1969.
1969    이혜구, 좥양주별산대놀이의 옴·먹중·연잎과장좦, 좬예술원논문집좭 8, 예술원, 1969.
1969    조동일, 좥가면극 악사의 코러스적 성격좦, 좬동서문화좭 3, 계명대 동서문화연구소, 1969.
1969    조동일, 좥농악대의 양반광대를 통해 본 연극사의 몇 가지 문제좦, 좬동산 신태식박사 송수기념논총좦, 계명대, 1969.
1969    최한복, 좥수영야류극대본의 해설좦 좬항도부산좭 제7집, 1969. 1.
1970    김성대, 좥양주별산대놀이좦, 좬중요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좭, 문화재관리국, 1970.
1970    심우성, 좥꼭두각시놀음대본좦, 좬연극평론좭 겨울호, 1970. 12.
1970    여석기, 좥산대가면극의 파르스적 성격좦, 좬한국문학의 해학좭 1, 국제문화재단, 1970.
1970    여석기, 좥전통극과 양식성좦, 좬예술계좭 가을호, 한국예술문화 총연, 1970.
1970    여석기, 좥전통연극 정립의 문제와 현대적 변용좦, 좬연극평론좭 3, 1970.
1970    이두현, 좥강령탈춤 대본좦, 좬연극평론좭 3, 1970 겨울.
1970    이두현, 좥방상씨가면극좦, 좬민속자료 조사보고서좭 22, 문화재관리국, 1970.
1970    이두현, 좥전통 연극의 계승좦, 좬연극평론좭 3, 1970 겨울.
1970    조동일, 좥봉산탈춤 양반과장의 구성좦, 좬연극평론좭 3호, 1970. 겨울.
1970    조애실, 좥하회가면좦, 좬신상좭 10, 1970. 12.
1971    강용권, 좥한국인형극본의 고찰좦, 좬동아논총좭 7, 동아대, 1971.
1971    부산대, 좥수영들놀음극본좦, 좬서낭당좭 1, 1971.
1971    성병희, 좥영양원놀음좦, 좬한국민속학좭 제4호, 민속학회, 1971.
1971    심우성, 좥조선줄타기 연희본좦, 좬한국민속극연구좭 1, 한국민속극연구소, 1971. 12.
1971    여석기, 좥Korean Mask Play좦, 좬The Drama Review좭, New York Univ., 1971.
1971    이두현, 좥수영야류좦, 좬문화재좭 5, 문화재관리국, 1971.
1971    정병욱, 좥한국가면극(서평)좦, 좬서울대동아문화좭 10, 서울대동아문화연구소, 1971. 9.
1971    조동일, 좥가면극의 공연장소와 극중장소좦, 좬서낭당좭 1, 1971. 11.
1971    조동일, 좥민속극좦, 장덕순 외, 좬구비문학개설좭, 일조각, 1971.
1971    최길성, 좥민속극과 무속신앙좦, 좬문화재좭 5, 문화재관리국, 1971.
1971    최해춘, 좥인도고전극과  한국고전극의 비교연구좦, 좬문교부 연구보고서(어문학계 5)좭, 1971.
1972    강용권, 좥가산오광대의 특성좦, 좬국어국문학좭 55·56합집, 국어국문학회, 1972.
1972    김세중, 좬한국민속극 춤사위 연구좭, 동서민속예술원, 1972.
1972    김양기, 좥한일연희의 비교원류고좦, 좬신동아좭 92, 신동아사, 1972.
1972    북한연구소, 좥이북 5도의 민속극좦, 좬북한좭 1권 11, 북한연구소, 1972.
1972    서정범, 좥語義와 샤머니즘에서 본 꼭두각시 놀음좦, 좬한국종교학좭 1, 1972.
1972    심우성, 좥남사당 덧뵈기 연구좦, 좬서낭당좭 2, 1972. 3.
1972    심우성, 좥한국민속인형극소고;덜미를  중심으로좦, 좬창작과비평좭  26, 창작과  비평사, 1972. 12.
1972    윤병하, 좥하회별신가면의 희노애락좦, 좬월간문화재좭 2권 1호, 1972.
1972    이두현, 좥송파산대놀이좦, 좬문화인류학좭 5, 한국문화인류학회, 1972.
1972    이상일, 좥야외 민속극의 극장 도입문제좦, 좬드라마좭 3, 1972.
1972    이원복, 좥한국가면극의 현대적 변용좦, 좬드라마좭 3, 1972.
1972    임동권, 좥민속극좦, 좬한국예술지좭 7, 예술원, 1972. 9.
1972    임석재, 좥봉산탈춤대사좦, 좬서낭당좭 2, 1972.
1972    조동일, 좥조선후기의 가면극과 민중의식의 성장좦, 좬창작과비평좭 24, 창작과비평사, 1972.
1972    조상현, 좥양주별산대의 연구와 디오니소스제의 정리 및 양자의 비교연구좦, 좬성대좭 26, 1972.
1972    최길성, 좥傀儡戱圖좦, 좬서낭당좭 2, 1972.
1972    최길성, 좥민속극 소고(그 제의적 발생에 대하여)좦, 좬드라마좭 3, 1972.
1972    최승원, 좥강령탈춤 대사좦, 좥서낭당좦 2, 1972. 3.
1972    허호영, 좬송파산대놀이대사좭, 좥서낭당좦 3집, 1972.
1973    강용권, 좥수영야류(고  최한복본 및 그  해설)좦, 좬창작과 비평좭  8권 3, 창작과 비평사, 1973. 9.
1973    김성대, 좥양주별산대놀이 연희본좦, 좬창작과 비평좭 30, 창작과 비평사, 1973 겨울.
1973    김세중, 좥한국 민속극 춤사위의 연구좦, 중앙대 석사논문, 1973.
1973    김의경 외, 좬봉산탈춤 종합연구좭, 중앙대, 1973.
1973    김청자, 좥한국민속인형극 꼭두각시놀음에 관한 일연구좦,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73.
1973    김학주, 좥唐樂呈才 및 판소리와  중국의 가무극 및 唐唱좦,  좬한국사상대계좭 1,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73.
1973    성병희, 좥원놀음의 전파좦, 좬한국민속학좭 제6호, 민속학회, 1973.
1973    심우성, 좥동래들놀음연희본(천재동本 및 그 해설)좦, 좬창작과 비평좭 8권 4호, 창작과 비평사, 1973.
1973    심우성, 좥민속극 자료(대사본, 연희자, 전수단체)좦, 좬연극평론좭, 1973.
1973    심우성, 좥민속극 전승 방향의 모색(그 방향설정을 위한 시론)좦, 좬상황좭 5, 상황사, 1973.
1973    심우성, 좥민속극의 무대공간좦, 좬공간좭, 공간사, 1973. 8-1974. 9.
1973    심우성, 좥전통극과 서구극의 대응좦, 좬문화비평좭 16, 1973.
1973    원전희, 좥전통문화의 유산좦, 좬농민문화좭 45, 농민문화사, 1973. 6.
1973    임동권, 좥강릉관노가면극좦, 좬서낭당좭 4, 1973. 4.
1973    임영찬, 좥18∼19세기 우리나라 민간명절행사좦, 좬고고민속논문집좭 15, 사회과학원 고고학 연구소, 1973.
1973    정상박, 좥한국가면극 ‘야류'의 연구좦, 동아대 석사논문, 1973.
1973    조동일, 좥민중의식의 해학과 분노(탈춤의 사상)좦, 좬월간중앙좭 63, 1973. 6.
1973    조동일, 좥봉산탈춤 노장과장의 주제좦, 좬연극평론좭 9, 1973. 겨울.
1973    천재동, 좥동래야류 연구좦, 좬서낭당좭 4, 1973.
1973    최정여, 좥산대도감극 성립의 제문제좦, 좬한국학논집좭 1, 계명대, 1973.
1973    최한복, 좥야류 대본좦, 좬창작과 비평좭 8권 3호, 창작과 비평사, 1973 가을.
1974    종목, 좥한국민속가면극 대사의 표현법 연구좦,  동아대 석사논문, 1974. (좬민속문화좭 3, 동아대 한국민속문화연구소, 1981.)
1974    송동준, 좥서사극과 한국민속극좦, 좬문학과 지성좭 17, 문학과 지성사, 1974.
1974    심우성, 좬남사당패 연구좭, 동화출판공사, 1974.
1974    윤환준, 좥관노가면희와 봉산탈춤 비교연구좦, 좬강원어문좭 2, 강원대, 1974.
1974    임한순, 좥서사극의 소외효과좦, 서울대 석사논문(독문과), 1974.
1974    정문자, 좥한국가면극 의상에 대한 연구좦, 홍익대 석사논문, 1974.
1974    정상박, 좥들놀음 명의고좦, 좬문화인류학좭 6, 한국문화인류학회, 1974.
1974    조동일, 좥봉산탈춤 미얄과장의 웃음과 눈물좦, 좬연극평론좭 10, 1974.
1974    조동일, 좥양주별산대 포도부장놀이의 갈등구조좦, 좬연극평론좭 11, 1974.
1974    천재동, 좥동래들놀음 연희본좦, 좬창작과 비평좭 32, 창작과 비평사, 1974 여름.
1974    최정여·서대석, 좬동해안무가좭, 형설출판사, 1974.
1974    허술, 좥전통극의 무대공간좦, 좬창작과 비평좭 32, 창작과 비평사, 1974.
1975    권형집, 좬봉산탈춤 리듬 변형의 연구좭, 후반기출판사, 1975.
1975    김열규, 좥제의적 연극의 성격에 대한 몇가지 생각좦, 좬ITI 논문집좭, 1975.
1975    김열규, 좥현실문맥 속의 탈춤좦, 좬진단학보좭 39, 진단학회, 1975.
1975    김우탁, 좥한국 민속가면극의 고유 무대 구성을 위한 연구좦, 좬대동문화연구좭 10,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소, 1975.
1975    김우탁, 좥한국창극의 고유 무대구성을 위한 연구좦, 성균관대 박사논문, 1975.
1975    김정녀, 좥봉산탈춤의 미학적 고찰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75.
1975    대한민국예술원, 좬한국예술개관-민속편좭, 1975.
1975    민혜숙, 좥한국가면극의 미학적 고찰좦, 서울대 석사논문, 1975.
1975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좬문학예술사전좭,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5.
1975    송기영, 좥산대극 소고-주로 양주산대극을 중심으로-좦, 좬연극학보좭 8, 1975. 9.
1975    심우성, 좥전통극 놀이판의 이해좦, 좬연극평론좭 13, 1975.
1975    심우성, 좥한국 살롱드라마의 한 형태, 자리판놀음 '발탈'좦, 좬공간좭 102, 공간사, 1975. 12.
1975    심우성, 좬한국의 민속극좭, 창작과 비평사, 1975.
1975    류동식, 좬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좭, 연세대 출판부, 1975.
1975    류민영, 좥한국 인형극의 유래좦, 좬논문집좭 14권, 예술원, 1975.
1975    정상박, 좥오광대 형성에 관한 서설좦, 좬어문학좭 33, 한국어문학회, 1975.
1975    조동일, 좥양주별산대 상좌 옴 목중 연잎과장좦, 좬연극평론좭 12, 1975.
1975    조동일, 좥양주별산대의 침놀이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관계좦, 좬연극평론좭 13, 1975.
1975    조동일, 좬한국가면극의 미학좭, 한국일보사, 1975.
1975    최상수, 좥민속놀이.인형극좦, 좬한국예술개관좭, 예술원, 1975.
1975    한국민속박물관, 좬민속사진특별전도록좭, 양서문화사, 1975.
1976    국수호, 좥한국 민속연희 연구-지역적 특징을 중심으로-좦, 중앙대 석사논문, 1976.
1976    김백봉, 좬봉산탈춤무보좭,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
1976    김열규, 좥굿과 탈춤좦, 좬한국연극좭 통권 7호, 1976. 7.
1976    심우성, 좥전통연극의 현대적 수용좦, 좬서울여대논문집좭 6, 서울여대, 1976.
1976    심우성, 좥한국 민속극 개관좦, 좬이화좭 30, 이화여대, 1976. 5.
1976    양재연, 좬국문학연구산고좭, 일신사, 1976.
1976    류민영, 좥가면극, 한국민속예술의 맥박좦, 좬수도사대좭 9, 1976. 11.
1976    윤여송, 좥問川별신가면무극고-연극학적 접근을 시도하면서-좦,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76.
1976    이두현, 좥양주소놀이대사좦, 좬문화재좭 54, 문화재관리국, 1976. 6.
1976    이상오, 좥한국연극의 연구-가면극을 중심으로좦, 좬논문집좭 10집, 원광대, 1976.
1976    이훈상, 좥민족문화의 유산-가산오광대편-좦, 좬서강좭 6, 서강대, 1976. 10.
1976    장한기, 좬한국민속극좭, 정음문고 150, 정음사, 1976.
1976    조동일, 좥서평; 한국가면극좦, 좬문화비평좭 2권 3·4호, 아한학회, 1976.
1976    조동일, 좥포수의 행방을 통해 본 한국가면극의 기원과 발전좦, 좬한국연극좭 6, 1976. 6.
1976    천재동, 좥한국 민속 가면극의 이해-동래야류편-좦, 좬海技좭 117, 120, 1976.10, 1977. 1.
1976    한국민속극연구소, 좬무형문화재좭, 1976.
1977    강용권, 좬野遊 五廣大좭, 형설출판사, 1977.
1977    김방옥, 좥한국 가면극의 연극미학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77.
1977    김석출, 좬동해안별신굿 탈놀이 대사좭, 1977.
1977    김세중, 좥한국 민속극 관계 문헌목록좦, 좬문학사상좭 55, 문학사상사, 1977. 4.
1977    김세중, 좥탈과 탈춤좦, 좬문학사상좭 55, 문학사상사, 1977.4.
1977    김종일, 좥한국연극 문헌에 관한 조사좦, 동국대 석사논문, 1977.
1977    여석기, 좥민속극 대중화의 문제좦, 좬현대예술좭 1, 현대예술사, 1977.1.
1977    원복엄, 좥한국 가면무용에 대한 연구좦, 좬서울교대 논문집좭 10, 서울교대, 1977.
1977    류동식, 좥탈춤과 제의좦,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소 학술발표 유인물, 1977.
1977    류민영, 좥가면극과 인형극의 현대화좦, 좬목화좭 6, 동덕여대, 1977.
1977    이두현, 좥한국의 연희좦, 좬한국학좭, 현암사, 1977.
1977    이상일, 좥‘굿' 관념과 그 반응의 통계적 분석-그 연희적 측면에 대한 예비조사좦, 좬한국민속학좭 10, 민속학회, 1977.
1977    이상일, 좥굿의 연극학과 사회적 기능좦, 좬세계의 문학좭, 민음사, 1977 봄.
1977    장사훈, 좬한국전통무용연구좭, 일지사, 1977.
1977    정상박, 좥들놀음 관련 민속놀이 소고좦, 좬하서 김종우박사 화갑기념논총좭, 제일문화사, 1977.      
1977    정화영, 좥들놀이(내고장 민속놀이)좦, 좬월간문화재좭 67, 1977. 7.
1977    정화영, 좥양주소놀이 경기양주좦, 좬월간문화재좭 70, 1977. 10.
1977    채희완, 좥가면극의 민중적 미의식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좦, 서울대 석사논문, 1977.
1977    현대예술사, 좥봉산탈춤좦, 좬현대예술좭 2, 1977.
1977    황선철, 좥한국 남도 가면의 조형  특성에 관한 연구좦,  좬마산교대논문집좭 8, 마산교대, 1977.
1978    강구중, 좥한국 민속가면극 각본의 비교연구-수영야류를  중심으로-좦, 좬어문학교육좭 1, 부산대 국어교육학회, 1978.
1978    김수진, 좥하회별신놀이대본좦, 안동하회가면극연구회, 1978.
1978    김승찬, 좥한국의 전통문화와 민속극좦, 좬한바다좭 12, 1978. 12.
1978    김우탁, 좬한국 전통연극과 그 고유무대좭, 개문사, 1978.
1978    김철순, 좥무용의 조각성과 조각의 무용성 , 백제조각과  한국탈춤이 찾은 불후·불멸·영원의 아름다움에 대하여좦, 좬춤좭 30, 1978. 8.
1978    김택규·성병희, 좥하회별신굿놀이 내용좦, 좬조사보고서좭, 1978.
1978    김흥규, 좥꼭두각시놀음의  연극적 공간과 산받이좦, 좬창작과 비평좭  49, 창작과  비평사, 1978 가을.
1978    김흥규,  방자와 말뚝이좦 좬한국학논집좭 5, 계명대, 1978.
1978    명인서, 좥한국 가면극과 동양 연극의 비교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78.
1978    문예진흥원 편, 좬한국민속예술좭, 1978.
1978    박진태, 좥조선후기 풍자문학의 유형-풍자소설과 가면극을 중심으로-좦, 서울사대 국어과 석사논문, 1978.
1978    신찬균, 좥자리판놀음 발탈을 찾아좦, 좬민속의 고향좭, 진문출판사, 1978.
1978    심우성, 좥민속극의 연구 어디까지 왔나 , 보존과 전승의 문제를 중심으로좦, 좬한국학의 모색좭, 1978. 10
1978    심우성, 좬민속문화와 민중의식좭, 대화출판사, 1978.
1978    유수해, 좥한국가면의 조형에 관한 연구좦, 효성여대 석사논문, 1978.
1978    이두현, 좥가면극에 대한 미국인들의 반응, 봉산탈춤 미국순회공연을 중심으로좦, 좬문예진흥좭 34,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8. 4.
1978    이혜구, 좥양주별산대 가면극에서의 등장과 퇴장의 형식좦, 좬동방학지좭 20, 연세대, 1978
1978    장준보, 좥한국무대 조명사연구-특히 민속극을 중심으로좦, 동국대 석사논문, 1978.
1978    채희완, 좥가면극의 미의식 연구대상으로서의 의의좦, 좬미학좭 5, 1978. 12.
1979    김온경, 좥경남 가면무의 미적 연구-문둥이춤을 중심으로-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79.
1979    김은숙, 좥한국 민속극에 나타난 무용과 연극의 공존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79.
1979    김인환, 좥놀이의 본질-양주별산대놀이좦, 좬문학과 문학사상좭, 열화당, 1979.
1979    김진희, 좥민중극으로서의 가면극에 대한 일반적 고찰, 전통문화의 재고좦, 좬복현문화좭 13, 1979.
1979    김한영, 좥양주별산대의 인물연구좦, 서울대 석사논문, 1979.
1979    박성희, 좥설화적 측면에서의 가면극 연구좦, 서울대 석사논문, 1979.
1979    박전열, 좥초란이의 민속학적 고찰좦, 좬어문논집좭, 중앙대, 1979.
1979    서연호, 좥민속극의 보존 전수 실태조사좦, 좬문예진흥좭,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 2-12.
1979    서연호, 좥강령탈춤좦, 좬문예진흥좭 49,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 7.
1979    서연호, 좥고성오광대놀이좦, 좬문예진흥좭 50,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 8.
1979    서연호, 좥가산오광대놀이좦, 좬문예진흥좭 52,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 10.
1979    서연호, 좥밤마리·창원·진주·의령 오광대좦, 좬문예진흥좭 53,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 11.
1979    성병희, 좥한국 가면극의 여역좦, 좬여성문제연구좭 8, 효성여대 한국여성문제연구소, 1979
1979    심우성, 좥발탈 연희고좦, 좬문화재좭 12, 문화재관리국, 1979.
1979    안민수, 좥봉산탈춤에서 좥하멸태자까지, 우리문화 해외소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좦, 좬동서문화좭 59, 1979. 5
1979    오숙자, 좬덧뵈기좭, 수문당, 1979.
1979    이두현, 좬한국의 탈춤좭, 일지사, 1979.
1979    이두현, 좬한국의 가면극좭, 일지사, 1979.
1979    이은주, 좥강릉단오굿의 춤사위 연구좦, 세종대 석사논문, 1979.
1979    이정석, 좥가면과 가면극의 제작좦, 좬기독교교육좭 148, 1979. 10.
1979    이춘옥, 좥양주별산대춤의 무보채록 시도-기본춤과 노장춤을 중심으로-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79.
1979    임동철, 좥한국민속극의 서사극적 수법좦, 좬대학논문집좭 8집, 청주사범대학, 1979.
1979    임재해, 좥꼭두각시놀음 갈등양상의 유형적 고찰좦, 영남대 석사논문, 1979.
1979    임혜자, 좥경북가면무의 미적 연구;하회별신탈춤을 중심으로좦, 좬대구교대 논문집좭 17, 대구교대, 1979.
1979    임혜자, 좥경북가면무의 미적연구-하회별신탈춤을 중심으로-좦, 영남대 석사논문, 1979.
1979    정상박, 좥들놀음의 양반마당의 대사 전개 양상좦, 좬한국문학논총좭 2집, 한국문학회, 1979.
1979    조동일, 좬탈춤의 역사와 원리좦, 홍성사, 1979.
1979    한국문화예술진흥원편, 좬민속악체계정립자료집좭,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
1979    현영학, 좥한국 가면극 해석의 한시도, 신학적 해석좦, 좬논총좭 36,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1979.
1980    김성배, 좬한국의 민속좭, 집문당, 1980.
1980    김열규, 좥북한의 탈춤,  북한지방의 민속좦, 좬북한좭 101-108,  북한연구소, 1980. 5.-1980. 12.
1980    김온경, 좥원양반춤과 말뚝이 춤사위에 대한 비교연구좦, 좬논문집좭 8, 부산여대, 1980.
1980    김흥규(편), 좬전통사회의 민중예술좭, 민음사, 1980.
1980    박성희, 좥설화적 측면에서의 가면극 연구(1)좦, 좬구비문학좭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어문연구실, 1980.
1980    박장순, 좬한국인형극의 재조명좭, 유림사, 1980.
1980    박혜자, 좥경북 가면무의 미적 연구좦, 영남대 석사논문, 1980.
1980    서연호, 좥꼭두각시놀음의 연극적 구조좦, 좬한국민속대관좭 5, 고대 민족문화연구소, 1980.
1980    서연호, 좥민속극좦, 좬우리 민속문학의 이해좭, 개문사, 1980.
1980    서연호, 좥민속극의 현실과 장래좦, 좬한국예술지좭, 예술원, 1980. 12.
1980    서연호, 좥하회탈춤의 연극적 구조좦, 좬전통사회의 민중예술좭, 민음사, 1980.
1980    성병희,   하회별신탈놀이좦, 좬한국민속학좭 12, 민속학회, 1980.
1980    송파산대놀이보존회, 좬송파산대놀이의 대본좭, 1980.
1980    안효선, 좥국문학에 나타난 무격사상-신화·가면극을 중심으로좦, 중앙대 석사논문, 1980.
1980    이병옥, 좥송파산대놀이의 재담과 원형에 대한 논의좦, 좬한국민속학좭 12, 민속학회, 1980.
1980    이병옥, 좥산대놀이춤사위연구좦, 좬한국민속학좭13, 민속학회, 1980.
1980    이상일, 좥굿의 양면성좦, 좬전통사회의 민중예술좭, 민음사, 1980.
1980    임재해, 좥꼭두각시놀음의 대립양상과 사회의식좦, 좬한국민속학좭 12, 민속학회, 1980
1980    장한기, 좥한국연극의 소재와 국극연구의 대상좦, 좬논문집좭 19, 예술원, 1980.
1980    전신재, 좥양주별산대놀이의 생명원리좦, 성균관대 석사논문, 1980.
1980    정상박, 좥들놀음의 空間과 時間좦, 좬구비문학좭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어문연구실, 1980. 1.
1980    조동일, 좥민속극의 전개와 발전 과정좦, 좬구비문학의 세계좭, 새문사, 1980.
1980    채희완, 좥공동체의식의 분화와 탈춤구조좦, 좬세계의 문학좭 17, 민음사, 1980. 9.
1980    최길성, 좥세존굿과 '도둑잡이'의 구조 분석좦, 좬한국민속학좭 12, 민속학회, 1980.
1980    최정숙·이정리, 좥봉산탈춤에 따른 복식에 대한 연구좦, 좬살림본좭 창간호, 1980. 2.
1980    허규·정병호, 좥왜 우리나라에는 고전극이 없나? 한국민속극의 고전극화에 관한 제언좦, 좬동서문화좭 77, 1980. 11.
1980    허술, 좥인형극의 무대좦, 좬전통사회의 민중예술좭, 민음사, 1980.
1980    황루시, 좥무당굿놀이 개관좦, 좬이화어문논집좭 제3집, 이화여대, 1980.
1980    황순연, 좥양주별산대놀이좦,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0.
1980    황연화, 좥하회가면극의 원초적 의미좦, 좬어문논집좭 21, 고려대 국어국문학연구회, 1980.
1980    황연화, 좥하회별신가면극의 연구좦, 고려대 석사논문, 1980. 2.
1981    강용권, 좥민속예능의 변천에 관한 고찰좦, 좬민속문화좭 3, 동아대 한국민속문화연구소, 1981.       
1981    국민대편, 좥남사당·궁시장(특집)좦, 좬북악좭 32, 국민대, 1981.
1981    김아정, 좥한국 가면무용의  예술성에 대한 고찰-봉산탈춤을 중심으로좦, 좬무용한국좭 14, 1981. 11.
1981    김옥진, 좬한국 민속극 춤사위좭, 이공도서출판사, 1981.
1981    한국문화재보호협회편, 좬탈춤대사집좭, 한국문화재보호협회, 1981.
1981    박광옥, 좥탈춤 가요의 기능연구좦, 서강대 석사논문, 1981.
1981    박석기, 좥침묵의 미학, 곰과 쑥의 가면극좦, 좬월간조선좭 6, 1981. 6.
1981    백향화, 좥나례와 나례무고, 나례무 형성과정을 중심으로좦, 좬무용한국좭 14, 1981. 5.
1981    유양선, 좥통영오광대 분석좦, 좬한국문화좭 2,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981.
1981    류종목, 좥한국 가면극 대사의 표현법고좦, 좬민속문화좭  3, 동아대  한국민속문화연구소, 1981.
1981    윤광봉, 좥향약잡영 오수론좦, 좬동악어문논집좭 14, 동국대 국문과, 1981.
1981    이두현, 좥한국 가면극의 특질좦, 좬자유좭 101, 1981. 3.
1981    이병옥, 좥송파산대놀이연구좦,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1.
1981    이병옥, 좥송파산대놀이의 옛놀이판과 배경좦, 좬한국민속학좭 14, 민속학회, 1981.
1981    이보형, 좥마을굿과 두레굿의 의식구조좦, 좬민족음악좭 제4집, 서울대 동양음악연구소, 1981.
1981    이상일, 좬한국인의 굿과 놀이좭. 문음사, 1981.
1981    이윤자, 좥봉산탈춤의 노장춤 연구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81.
1981    이충희, 좥탈춤과 희곡 교육의 방향좦, 좬배달말 가르침좭 5, 1981. 3.
1981    이혜경, 좥제의의 맥락 속에서의 한국가면극의 구조-봉산탈춤을 중심으로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81. 2.
1981    임재해, 좬꼭두각시놀음의 이해좭, 홍성사, 1981.
1981    장사훈, 좥삼국시대의 음악과 인접국가 음악과의 관계좦, 좬한국고대문화와 인접국가 음악과의 관계좭,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1981    장사훈, 좬한국전통음악의 이해좭(대학교양총서 9), 서울대출판부, 1981.
1981    장정룡, 좥강릉관노가면희연구좦, 중앙대 석사논문, 1981.
1981    전신재, 좥양주별산대놀이의 분석좦, 좬도남학보좭 4, 도남학회, 1981.
1981    정병호, 좥동래와 야류좦, 좬공간좭 163, 공간사, 1981. 1.
1981    정상박,  좥고성오광대의 대사  전승양상좦,  좬민속문화좭 3,  동아대 한국민속문화연구소, 1981.
1981    정상박, 좥오광대 홍유순서 및 자담에 관하여좦, 좬송천 김용태선생 회갑기념논문집좭, 소문출판사, 1981.
1981    정양모·조동일, 좥탈에 담긴 조형과 상징좦, 좬계간미술좭, 중앙일보사, 1981. 9.
1981    조동일, 좥이규보가 본 꼭두각시놀음좦, 좬민속문화좭 3집, 동아대 한국민속문화연구소, 1981.
1981    최상수, 좥봉산 탈춤놀이, 내고장의 민속놀이좦, 좬새마을금고좭 37, 1981. 10
1981    최상수, 좥인형, 한국의 민속좦, 좬동아약보좭 151, 동아제약주식회사, 1981.
1981    최상수, 좬한국 인형극의 연구좭, 정동출판사, 1981.
1981    한명옥, 좥양주별산대놀이 춤사위 연구-맞춤과 음중춤을 중심으로-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81.
1981    한옥근, 좥한국 가면극의 현대적 구조에 대한 시론좦, 좬인문과학연구좭 제3집, 조선대 인문과학연구소, 1981.
1982    국립민속박물관, 좬한국의 탈좭, 통천문화사, 1982.
1982    김광순, 좥한국가면극의 특성좦, 좬와성좭 5, 경북대, 1982.
1982    김기택, 좥한국 가면극의 특성연구좦, 충북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2.
1982    김용훈, 좥한국 가면극에 나타난 민간상 연구좦, 경희대 석사눈문, 1982.
1982    박미라, 좥사자무에 관한 연구좦,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2.
1982    박진태, 좥처용무가에 대한 연극학적 연구좦, 좬국어국문학좭 88, 국어국문학회, 1982.
1982    박진태, 좥판소리 가면극 인형극의 비교연구좦, 좬영광문화좭 5, 대구대, 1982.
1982    서연호, 좥한국무극의 원리와 유형좦, 좬한국무속의 종합적 고찰좭,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82.
1982    원미영, 좥하회별신가면극연구좦,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2.
1982    유해정, 좥인간해방의 표현, 탈춤, 전통예술의 이해좦, 좬청대춘추좭 26, 1982. 2.
1982    이두현, 좥하회별신굿탈놀이좦, 좬한국문화인류학좭 14, 한국문화인류학회, 1982
1982    이병옥, 좥한국가면극의 구성요소 분석좦, 좬한국민속학좭 15, 민속학회, 1982.
1982    이병옥, 좬송파산대놀이연구좭, 집문당, 1982.
1982    임재해, 좥꼭두각시놀음의 놀이적 성격과 연극적  성격좦, 좬민속학논총좭 (석주선박사고희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82.
1982    장정룡, 좥강릉관노가면극 연구좦, 좬민족문화좭 8집, 민족문화추진회, 1982.
1982    장한기, 좥한국민속극연구좦, 좬한국문학연구좭 5집,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1982.
1982    정상노, 좥탈놀이에 나타난 무극적 요소의 연구좦, 중앙대 석사논문, 1982.
1982    정상박, 좥가면극의 지역적 분포와 성격좦, 좬한국문학연구입문좭, 지식산업사, 1982.
1982    정영자, 좥봉산탈춤의 춤사위에 관한 연구좦,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2.
1982    조오근역, 좥Pongsan T'alch'um:A Mask-dance Drama of Hwanghae Province Ⅱ좦, 좬Korea Journal좭 22, 1982. 6.
1982    키스터, 다니엘A., 좥무당굿과 서구 드라마좦, 좬환상과 현실좦, 1982.
1982    황루시, 좥할미 영감놀이 연구좦, 좬이대 어문론집좭 5, 이화여대 한국어문학연구회, 1982.
1983    강용권, 좥집단연희의 원형에 관한  고찰좦, 좬석당논집좭 8집, 동아대 석당전통문화연구원, 1983.
1983    강인숙, 좥사자춤소고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83.
1983    강혜숙, 좥밀양백중놀이의 춤사위좦, 좬한국민속학좭 11집, 민속학회, 1983.
1983    김선풍, 좥강릉관노가면극의 현장론적 반성좦, 좬강원민속학좭 창간호,  강릉무형문화연구소, 1983.
1983    김온경, 좥경남덧뵈기춤고좦, 좬한국무용연구좭 2, 1983.
1983    김용태, 좥한국가면극에 나타난 춤의 극적 기능에 관한 연구좦,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3. 8.
1983    김우탁, 좥연극으로서의 창극의 형식좦, 좬한국인의 생활의식과 민중예술좭, 대동문화총서 2,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83.
1983    김진이, 좥경기도  지방의 산대놀이와 해서지방의 탈춤의 비교연구좦, 조선대  석사논문, 1983.
1983    김흥규, 좥봉산탈춤 1936년 채록본에 대하여좦, 좬최정여 박사 회갑기념논문집좭, 계명대출판부, 1983.
1983    박진태, 좥가면극의 발전원리(1)-할미마당좦, 좬난대 이응백박사  회갑기념논문집좭, 보진재, 1983.
1983    박진태, 좥가면극의 발전원리(2)좦, 좬어문학좭 43, 한국어문학회, 1983.
1983    박진태, 좥비극적 가면극의 연극사적 위상좦, 좬국어국문학좭 90, 국어국문학회, 1983.
1983    박혜경, 좥가면극에 나타난 해학과 상징적 조형화 연구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83.
1983    배도식, 좥무안 용호놀이 연구좦, 좬한국민속학좭 16집, 민속학회, 1983.
1983    백정민, 좥밀양백중놀이 춤사위 연구좦, 숙명여대 석사논문, 1983.
1983    서연호, 좥사회계층과 연극좦, 좬문예중앙좭, 1983. 3.
1983    서연호, 좥호상(好喪)놀이와 광대극의 전승좦, 좬문예진흥좭 85,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3.1.
1983    신찬균, 좥'발탈'의 민속학적 고찰-전승자 및 현장조사를 중심으로좦, 좬동악어문논집좭 18집, 동악어문학회, 1983.
1983    심우성, 좥인형극을 중심한 한국전통예능좦, 좬자유좭 127, 1983. 9.
1983    류민영, 좥가면극과 인형극의 세계좦, 좬한국인의 생활의식과 민중예술좭, 좬대동문화총서좭 2, 성대 대동문화연구원, 1983.
1983    유영대, 좥민속극의 전승과 보급;전통문화예술의 확산좦, 좬문예진흥좭 86,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3. 4.
1983    이동연, 좥민요 선후창과 가면극 양반과장의 연행 분석좦,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3.
1983    이미순, 좥한국민속가면무의 지역적 특성;춤사위 및 내용전개를 중심으로좦,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3.
1983    이병옥, 좥각급학교 탈춤교육과정의 모형개발연구좦, 중앙대 석사논문, 1983.
1983    이병옥, 좥탈춤의 이해와 당면과제좦, 좬청야좭 11, 1983. 2.
1983    이상일, 좥무용극으로서의 가면극;가장 한국적이고도 동양적인 탈춤좦, 좬자유좭 121, 1983. 1.
1983    임재해, 좥꼭두각시거리에 나타난 부부갈등과 여성의식좦, 좬여성문제연구좭 12집, 효성여대 한국여성문제연구소, 1983.
1983    임혜경, 좥가면극에 나타난 해학의 상징적 조형화  연구 - 봉산탈춤에 등장하는 가면을 중심으로-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83. 2.
1983    장한기, 좥민속축제와 놀이정신;탈춤을 중심으로좦, 좬광장좭 115, 1983. 3.
1983    장한기, 좬민속극과 동양연극좭, 우성문화사, 1983.
1983    전규태, 좥가면극을 통한 한국연극좦, 좬서울여대좭 13, 1983. 10.
1983    정병호, 좥가산오광대좦, 좬전통문화좭 132, 1983. 7.
1983    정병호, 좥발탈 연희에 대하여좦, 좬한국민속학좭 16, 민속학회, 1983.
1983    정상박, 좥오광대와 들놀음연구-대사분석을 중심으로좦, 좬동아논총좭 20집, 동아대, 1983.
1983    정상박, 좥오광대의 갈래좦, 좬이응백박사회갑기념논문집좭, 보진재, 1983.
1983    정상박, 좥통영오광대 풍자탈 마당 전승양상좦, 좬국어국문학 논문집좭 5, 동아대  국문과, 1983.     
1983    정상박, 좥할미·영감놀이 단위의 극적 내용좦,  좬태야 최동원선생 화갑기념논문집좭, 삼영사, 1983.
1983    조우현, 좥민속극의 시간성과 공간성좦, 동국대 석사논문, 1983.
1983    조우현, 좥전통극의 시간성좦, 좬인문과학연구좭 5, 조선대 인문과학연구소, 1983.
1983    채희완,  좥집단연희에 있어서 예술체험으로서의 신명좦, 좬호서문화논총좭 2, 청주사대, 1983.
1983    채희완, 좥탈춤의 창조적 계승좦, 좬청지좭 11, 1983. 10.
1983    채희완, 좬탈춤의 사상좭, 현암사, 1984.
1983    최상수, 좬해서 가면극의 연구좭, 정동출판사, 1983.
1983    최임규, 좥북청 사자놀음좦, 좬강원민속학좭 창간호, 강원도 민속학회, 1983. 3.
1983    최정여, 좥처용 전후 구나(驅儺)의 양상좦, 좬신라문화재 학술발표회 논문집좭 4집, 1983.
1984    Dieter Eikemeier, 좥가면극 내의 백구타령좦, 좬의민 이두현박사 회갑기념논문집좭, 학연사, 1984.
1984    김문희, 좥강릉관노가면극의 춤사위 연구좦, 세종대 석사논문, 1984.2
1984    김정란, 좥양주별산대의 생성과정에 관한 연구좦, 한양대 석사논문, 1984.
1984    남기종, 좥고성오광대 탈 연구좦,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4. 8.
1984    문무병, 좥제주도굿의 연극성에 관한 연구좦, 제주대 석사논문, 1984.
1984    박인선, 좥집단사회 사업의 프로그램으로 본 탈춤의 효과좦, 좬이화여자대학원연구논집좭 12, 1984. 8.
1984    박진태, 좥가면극의 발전원리(3)좦, 좬의민 이두현박사 회갑기념논문집좭, 학연사, 1984.
1984    박진태, 좥한국신화와 제의, 연극의 대응양상좦, 좬국어국문학좭 93, 국어국문학회, 1985.
1984    서연호, 좥한국의 민속극과 근대극좦, 좬문학의 지평좭, 고려대출판부, 1984.
1984    성병희, 좥꼭두각시인형극고좦, 경북대 박사논문, 1984.
1984    성병희, 좥한국 가면극의 남역좦, 좬안동대론문집좭 6, 안동대, 1984. 12.
1984    송경애, 좥탈춤에 있어서의 소외극복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84.
1984    양종승, 좥강령탈춤연구좦, 좬한국민속학좭 17, 민속학회, 1984. 3.
1984    류민영, 좥한국의 가면, 그 심미적 고찰좦, 좬탈춤의 사상좭, 현암사, 1984.
1984    류민영, 좬전통극과 현대극좭, 단국대 출판부, 1984.
1984    유영대, 좥탈춤 미얄과장 분석좦, 좬문예진흥좭 91,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4.
1984    윤여송, 좥하회가면극의 내용 연구좦, 좬호남대논문집좭 4, 호남대, 1984. 2.
1984    이두현, 좥탈 그리고 탈춤좦, 좬전통문화좭 142, 1984. 7.
1984    이명진, 좥봉산탈춤과 가부끼 비교연구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84.
1984    이미영, 좥은율탈춤 춤사위의 분석에  관한 연구; 목중춤을 중심으로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84.
1984    이병옥, 좥한국 가면무용변천사 연구좦, 경기대 석사논문, 1984. 2.
1984    이상란, 좥꼭두각시놀음 연구좦, 연세대 석사논문, 1984.
1984    이옥주, 좥탈춤에 나타난 민중적 미의식좦, 세종대 석사논문, 1984.
1984    임재해, 좥민속극의 전승집단과 영감, 할미의 싸움좦, 좬여성문제연구좭 제13집, 효성여대 한국여성문제연구소, 1984.
1984    장용수, 좥탈과 탈춤;실향의 문화재 은율탈춤의 전부좦, 좬전통문화좭 142, 1984. 7.
1984    장정룡, 좥동해안 별신탈놀음굿 연구좦, 좬관동어문학좭 3, 관동대 국어교육과, 1984. 2.
1984    장정룡, 좥서낭신제가면극 연구;관노가면극을 중심으로좦, 좬한국민속학좭 17, 민속학회, 1984. 3.
1984    장정룡, 좥한국의 포가면 연구좦, 좬강원민속학좭 2, 강릉무형문화연구소, 1984.
1984    전경욱, 좥탈춤과 판소리의 연행문학적 성격 비교좦, 한국학대학원 석사논문, 1984.
1984    전영운, 좥VormArz 시대의 Wien 민속극의 발전과 경향좦, 좬인문학연구좭 11, 1984. 2.
1984    정병호, 좥탈춤 춤사위에 내재한 동작소의 미학적 분석좦, 좬중앙대논문집(인문과학편)좭28, 중앙대, 1984. 10.
1984    정상박, 좥도동오광대·학산오광대좦, 좬의민 이두현박사 회갑기념논문집좭, 학연사, 1984.
1984    정상박, 좥오광대와 들놀음 연구-대사 분석을 중심으로 -좦, 부산대 박사논문, 1984. 2.
1984    정재만, 좥밀양백중놀이에 나타난 춤사위 연구좦, 좬논문집좭 11, 세종대, 1984.
1984    최경숙, 좥강령탈춤의 춤사위 연구좦, 좬공주전문대논문집좭 10, 공주전문대, 1984. 1.
1984    최상수, 좬야류·오광대 연구좭, 성문각, 1984.
1984    최상수, 좬한국 가면의 연구좭, 성문각, 1984.
1984    표주왕, 좥하회별신굿탈놀이 춤사위 구성에 관한 연구좦,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4.
1985    Dieter Eikemeier, 좥한국 가면극의 형성과 성격 규명에 대한 몇가지 가설좦, 좬정신문화연구좭 2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12.
1985    김명숙, 좥봉산탈춤과 양주별산대놀이 춤사위 비교연구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85.
1985    김선풍, 좥강릉관노가면극의 신격구조좦, 좬강원민속학좭 제3호, 강원민속학회, 1985.
1985    김양기, 좥탈에 투영된 흑백의 대립좦, 좬전통문화좭 153, 1985. 6.
1985    김양기, 좥동일계통의 민속인형극좦, 좬전통문화좭 155, 1985. 8.
1985    김용미, 좥동래야류의 탈춤에  관한 연구-배김사위를 중심으로-좦, 중앙대  석사논문, 1985.
1985    김청자, 좥한국 전통인형극의 새로운 접근좦, 좬한국연극학좭, 새문사, 1985.
1985    박진태, 좥가면극 양반마당의 인물구성과 발전원리좦, 좬영광문화좭 8, 대구대, 1985. 12.
1985    박진태, 좬한국가면극 연구좭, 새문사, 1985.
1985    박태상, 좥가면극에 나타난 갈등구조 및 죽음의식 연구좦, 좬논문집좭 4, 한국방송통신대학, 1985.
1985    배주옥, 좥하회별신굿탈놀이 춤사위 구성에 관한 연구좦,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5.
1985    서복화, 좥은율탈놀이에 나타난 춤의 연구좦, 영남대 석사논문, 1985.
1985    서연호, 좥1930년대 민속극의 전승과정(산대와 꼭두각시)좦, 좬예술과  비평좭, 서울신문사, 1985. 9.
1985    서연호, 좥민속극 전승과정연구좦, 좬예술과 비평좭 7, 서울신문사, 1985.
1985    서연호 역, 좥산대희좦(秋葉隆), 좬문화예술좭,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5. 5-6.
1985    서연호, 좥새로운 청년문화로 저변을  확대한 민속극좦, 좬문화예술좭,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5. 8.
1985    野村伸一, 좬假面 と放浪藝人; 韓國の民俗藝能좭, 東京, あり書房, 1985.
1985    류민영, 좥한국전통극에 나타난 한국인의 미의식좦,  좬제3회 국제학술회의논문집좭,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1985    이명경, 좥강령 말뚝이과장 연구좦, 좬한국무용연구좭 4, 한국무용연구회, 1985.
1985    이명경, 좥강령 말뚝이과장 연구;춤사위의 의미론적 연구를 중심으로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85.
1985    이미원, 좥가면극과 제의좦, 좬한국연극학좭 2, 새문사, 1985.
1985    이상일, 좥축제의 극화에 대한 비교연구좦, 좬한국연극학좭, 새문사, 1985.
1985    장정룡, 좥강릉관노탈놀음의 고증과 원형론좦, 좬관동어문학좭 4, 관동대 국어교육과, 1985
1985    장정룡, 좥강릉관노가면극의 기원과 상징좦, 좬강원민속학좭 3, 강원민속학회, 1985. 6.
1985    전경욱, 좥가면극 연구사좦, 좬한국학보좭 40, 일지사, 1985. 9.
1985    전경욱, 좥북청사자놀음의 연희양상좦, 좬한국민속학좭 18, 민속학회, 1985.
1985    전경욱, 좥탈춤의 연행원리좦, 좬구비문학좭 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어문연구실, 1985.
1985    정기채, 좥꼭두각시놀음의 분석 연구좦,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 1985. 2.
1985    정명환, 좥강령탈춤 춤사위 연구-곤장 말뚝이춤을 중심으로-좦,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5. 8.
1985    정병호, 좥강릉관노가면극의 춤사위좦, 좬강원민속학좭 3, 강원민속학회, 1985. 6.
1985    정상박, 좥경남지방 민속가면극의 분류문제좦, 좬박태권박사회갑기념논문집좭, 1985.
1985    정상박, 좥오광대의 제의성좦, 좬송랑 구연식박사회갑기념논총좭, 복지출판사, 1985.
1985    채희완, 좬공동체의 춤, 신명의 춤좭, 한길사, 1985.
1985    채희완, 좥탈의 조형성 탈춤의 상징성좦, 좬계간미술좭 35, 1985. 9.
1985    최상수, 좬한국민속놀이의 연구좭, 성문각, 1985.
1985    최철·설성경, 좬민속의 연구 1, 2좭, 정음사, 1985.
1986    Grund  Francoise 外, 좥가면과 연극좦, 좬꼭두극좭 14, 1986. 12.
1986    강용권, 좬한국민속극좭, 동아대출판부, 1986.
1986    강태봉, 좥봉산탈춤의 운동강도에 관한 연구좦, 성균관대 석사논문, 1986.
1986    김영석, 좥탈좦, 은하출판사, 1986.
1986    김영숙, 좥야류를 통해서 본 양반춤의 연구좦, 좬공주교대논총좭 제22권 1호,  공주교육대학, 1986.
1986    김용찬, 좥경기 지방의 산대놀이에 대한 연구좦, 단국대 석사논문, 1986. 8.
1986    김한초, 좥함북 재가승 마을의 가면극 “주지춤놀이”좦, 좬北韓좭 174, 1986. 6.
1986    김화경, 좥가면극의 내면적 기능체계좦, 좬계명좭 18, 1986. 1.
1986    문화재관리국 편, 좬중요무형문화재 해설(연극편)좭, 문화재관리국, 1986.
1986    박경신, 좥탈춤과 꼭두각시놀음의 관계좦, 좬한국문학사의 쟁점좭, 집문당, 1986.
1986    배도식 좥밀양백중놀이 연구좦, 좬한국민속학좭 19, 민속학회, 1986.
1986    배석호, 좥사자탈 속에 감춰진 애환과 절규좦, 좬음악교육좭 15, 1987.
1986    서대석, 좥탈춤의 기원좦, 좬한국문학사의 쟁점좭, 집문당, 1986.
1986    서연호, 좥하회별신굿놀이좦, 좬문화예술좭 104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6. 4.
1986    서연호, 좥박첨지가 가르치는 인형제작과정좦, 좬문화예술좭 105,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6. 6.
1986    서연호, 좥송파산대놀이좦, 좬문화예술좭 106,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6. 8.
1986    서연호, 좥양주탈놀이의 인물성격 연구-현지조사자료와 채록놀이본을 중심으로-좦, 좬예술과 비평좭 9, 서울신문사, 1986. 3.
1986    서종문, 좥가면극의 주제좦, 좬한국문학사의 쟁점좭, 집문당, 1986
1986    선희창·김내창, 좬조선의 민속좭,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6.
1986    심혁철, 좥양주별산대놀이의 춤사위에 따른 반주 음악의 기능 연구좦,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6
1986    양종승·김영석, 좥강령탈춤 연희대본좦, 좬탈좭, 은하출판사, 1986.
1986    이강렬, 좥황해도의 민속연희 장연 인형극좦, 좬북한좭 173, 북한연구소, 1986. 5.
1986    이균옥, 좥야류·오광대 연구좦, 경북대 석사논문, 1986. 2.
1986    장정룡, 좥강릉관노가면극의 원형론적 검토좦, 좬여맥좭 6, 강원일보사 출판국, 1986
1986    임재해, 좥탈과 조각품으로 본 하회탈의 예술성과 사회성좦, 좬안동문화의 재인식좭, 안동문화연구회, 1986.
1986    임재해, 좥하회탈춤에 나타난 민중적 세계관과 대동성좦, 좬전통과 예술좭 1, 1986. 12.
1986    장한기, 좬한국연극사좭, 동국대출판부, 1986.(좬증보한국연극사좭, 2000)
1986    정상박, 좥서구오광대·남구오광대-민속가면극의 새 자료좦, 좬월산 임동권박사 송수기념논문집좭, 집문당, 1986.
1986    정상박, 좥통영오광대·고성오광대좦, 좬중요무형문화재해설좭(연극편), 문화재관리국, 1986.
1986    정상박, 좬오광대와 들놀음연구좭, 집문당, 1986.
1986    정윤섭, 좥강릉관노가면극 연구좦,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6. 8.
1986    진경희, 좥송파산대놀이에 나타난 춤사위의 유형좦, 좬한국민속학좭 19, 민속학회, 1986.
1986    최상수, 좬산대 성황신제 가면극의 연구좭, 성문각, 1985
1986    키스터, 다니엘 A, 좥해학과 희극론; 한국 무속극에 나타나는 유우머좦, 좬비교문학좭 11집, 한국비교문학회, 1986.
1986    키스터, 다니엘 A, 좬무속극과 부조리극좭, 서강대출판부, 1986.
1986    한국민속극연구소편, 좥꼭두각시놀음좦, 우리마당, 1986.
1986    한옥근, 좥한국고전극의 희극성에 대한 연구좦, 좬인문과학연구좭 8, 조선대 인문과학연구소, 1986.
1986    한철수, 좥양주별산대 미얄할미마당의 구조 연구좦, 서울대  석사논문, 1986.(좬한남어문학좭 12집, (한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6).
1987    강성원, 좥꼭두각시놀음의 연구좦, 국민대 대학원 석사논문, 1987. 2.
1987    김기철, 좥전통민속극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좦, 좬대한건축학회논문집좭 9,  대한건축학회, 1987. 2.
1987    김기철·윤도근, 좥전통가면극의 고유공연장 건축계획요소에 관한 연구좦, 좬대한건축학회논문집좭 11, 대한건축학회, 1987.6.
1987    김수남·김선풍, 좬강릉단오굿좭(한국의 굿 19), 열화당, 1987.
1987    김용복, 좥양주별산대놀이에 나타난 움직임의  표현성에 관한 연구-음중춤을 중심으로-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87.
1987    김청자, 좥한국 전통인형극 꼭두각시놀음연구(1)좦, 좬한국연극학좭 2, 한국연극학회, 1987.
1987    노금선, 좥동래야류와 강령탈춤의 비교연구-말뚝이춤을 중심으로-좦,  동아대 석사논문, 1987.
1987    박순구, 좥양주별산대놀이와 통영오광대놀이의 비교연구좦,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7.
1987    박영경, 좥한국 가면극의 영감·할미과장 연구좦, 동아대 석사논문, 1987.
1987    박진태, 좥가면극기원론의 연구사적  검토와 전망좦, 좬열므나  이웅호 박사 회갑기념논문집좭, 한샘, 1987.
1987    서연호, 좥해서탈춤의 상좌·팔먹중·노장과장좦, 좬교육논총좭  16·17집, 고려대 교육대학원, 1987.
1987    서연호 역, 좥민중오락으로서의 봉산가면극좦(村山智順), 좬문화예술좭,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7. 1-2.
1987    서연호 역,  좥산대희와 처용무와  나례좦(安廓), 좬문화예술좭,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7. 3-4.
1987    서연호, 좬산대탈놀이좭, 열화당, 1987.
1987    안창경, 좥한국 무속의 연극성에 관한 연구좦, 중앙대 석사논문, 1987.
1987    여석기, 좬동양연극의 비교연구좭, 고려대출판부, 1987.
1987    오수경, 좥한국 민속극 대본의  문학성에 관한 연구좦, 좬신흥실전대논문집좭 10,  신흥실전, 1987.
1987    윤광봉, 좥서역악무의 변이양상-기악(伎樂)을 중심으로좦, 좬현곡  양중해박사 화갑기념논총좭, 1987.
1987    윤광봉, 좬한국연희시연구좭, 이우출판사, 1987.
1987    이창구, 좥브레히트(Brecht)연극의 서사화와 한국민속극좦, 좬청대춘추좭 31, 청주대, 1987. 2.
1987    이혜화, 좥민속극의 용(龍)사상고좦, 좬한국민속학좭 20, 민속학회, 1987.
1987    장세춘, 좥양주별산대연구좦, 경북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7.
1987    장한기, 좥전통연희와 문학좦, 좬한실 이상보박사 회갑기념논총좭, 1987.
1987    전유오, 좥봉산탈춤의 민중신학적 이해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87.
1987    조기룡, 좥하회별신굿탈놀이 연구좦, 서울대 석사논문, 1987.
1987    조향, 좥무속에 나타난 한과  신명, 그 양상에 관한 연구-살풀이춤과  탈춤을 중심으로-좦, 한양대 석사논문, 1987.
1987    최근, 좥팔관회에 대한 간단한 고찰좦, 좬역사과학좭, 평양, 조선역사편찬위원회, 1987. 5.
1987    홍애란, 좥봉산탈춤의 생성과정에 관한 연구좦, 서울대 석사논문, 1987.
1987    황루시, 좥무당굿놀이 연구좦, 이화여대 박사논문, 1987.
1988    김경환, 좥수영들놀음과 동래들놀음의 비교연구좦, 대구대 석사논문, 1988.
1988    김명자, 좥하회탈놀이의 구성과 전승좦, 좬민병하교수 정년 논문집좭, 1988.
1988    김수남, 좬한국의 탈춤좭, 행림출판사, 1988.
1988    김연숙, 좥가면극과 인형극의 대비연구좦, 좬서강어문좭 6, 서강대 국어국문학과, 1988. 12.
1988    김영미, 좥강령탈춤 기본동작의 운동강도에 관한  연구좦,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8.
1988    김희정, 좥해서지방 탈춤의 비교연구좦,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8. 8.
1988    박진태, 좥하회별신굿탈놀이의 형성과 구조연구좦, 고려대 박사논문, 1988. 8.
1988    서연호, 좥낙동강 유역의 탈·탈놀이 연구좦, 좬어문논집좭 33, 고려대 국문학연구회, 1988.
1988    서연호, 좥탈놀이, 옛터를 찾아 ; 오광대·야류  전승 인멸지역 현지조사기록 종합좦, 좬문화예술좭 117,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8. 5.
1988     서연호, 좬황해도 탈놀이좭, 열화당, 1988.
1988    신명숙, 좥신라가면무에 관한 연구좦, 경희대 석사논문, 1988.
1988    심명식, 좥한국 민속극 가면의 조형원리 연구: 현대극에의 수용방안과 연관하여좦, 홍익대 석사논문, 1988.2
1988    심우성, 좥마당굿 연희본좦, 깊은샘, 1988.
1988    여무종, 좥한국 전통인형극에 대한 연구좦, 단국대 석사논문, 1988. 2.
1988    위미숙, 좥가면극의 해학성 연구좦, 좬서강어문좭 6, 서강대 국어국문학회, 1988.
1988    류민영, 좥탈에 나타난 한국인의 이미지좦, 좬동양문학좭 5, 1988. 11.
1988    이미화, 좥하회가면극에 관한 연구좦,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8. 8.
1988    이병렬, 좬한국 연희사좭, 보건신문사, 1988.
1988    이애경, 좥등장인물로 본 탈춤의 변천사좦, 좬한국문화좭 9,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988.
1988    이애경, 좥탈놀이의 구조와 원리좦, 좬한국체육학회지좭 27(1), 한국체육학회, 1988. 6.
1988    임재해, 좬한국의 민속예술좭, 문학과 지성사, 1988.
1988    정병호, 좥청단놀음좦, 좬한국연극좭 146, 1988. 7.
1988    주강현, 좬북한의 민속학좭, 역사비평사, 1988.
1988    최상수, 좬해서가면극의 연구좭, 성문각, 1988.
1988    현용준, 좥영감본풀이와  영감놀이좦, 좬백록어문좭 5, 제주대 국어교육과  국어교육연구회, 1988. 2.
1988    황루시, 좬한국인의 굿과 무당좭, 문음사, 1988.
1989    구재연, 좥한국 가면극의 할미과장 연구좦,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9.
1989    김명길, 좥한국 민속극에 나타난 말뚝이형 인물연구좦,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9.
1989    김영일, 좥오광대놀이의 이중 구조좦, 좬가야문화좭 7, 1989. 12.
1989    김완배, 좥양반탈과 선비탈의 재검토좦, 좬안동문화연구좭 3, 안동문화연구회, 1989.
1989    김익두, 좥한국 민속예능의 민족연극학적 연구좦, 전북대학교 박사논문, 1989.
1989    김청자, 좥한국 전통인형극 꼭두각시놀음연구(2)좦, 좬한국연극학좭 3, 한국연극학회, 1989.
1989    김청자, 좥한국 전통인형극 꼭두각시놀음연구좦, 좬문학사상좭, 문학사상사, 1989. 9.
1989    남영애, 좥동래야류에 관한 연구:말뚝이 역을 중심으로좦,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9. 2.
1989    문무병, 좥제주도 굿의 연희적 특성좦, 좬제주도연구좭 6집, 제주도연구회, 1989.
1989    文化公報部, 좥韓國の民俗文化財좦, 岩崎美術社, 1989.
1989    민속학회, 좬민속예술좭, 교문사, 1989.
1989    박진태, 좥관노탈놀이의 형성 배경과 구조좦,  좬의민 이두현교수 정년퇴임기념논문집좭, 동 간행위원회, 1989.
1989    박진태, 좥마을굿과 탈놀이의 전승과 이서층의 역할좦, 좬운당 구인환선생 화갑기념논문집좭, 동 간행위원회, 1989.
1989    박진태, 좬하회별신굿탈놀이의 극작술좭, 좥창파 이태영총장 회갑논문집좦, 1989.
1989    서연호, 좥인형·인형놀이의 전승연구좦, 좬한국학연구좭 2집,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1989.
1989    서연호, 좥꼭두각시놀이 재담 구성과 내용좦, 좬예술세계좭 1호, 한국예총, 1989.
1989    서연호, 좬야류·오광대놀이좭, 열화당, 1989.
1989    심우성, 좬남사당패 연구좭, 동문선, 1989.
1989    양희철, 좥오광대 가면극의 지역문화성 연구; 중앙 선행문화의 수용과 변용을  통하여좦, 좬경남대가야문화좭 7, 경남대, 1989.12
1989    유정아, 좥하회탈놀이의 의미변화:마을 “의례”에서 지역 “표상”으로좦, 서울대 석사논문, 1989. 8.
1989    윤갑근, 좥전통극 공연장의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좦, 홍익대 환경대학원 석사논문, 1989.
1989    윤현중, 좥韓·日傳統劇の比較硏究;韓國假面劇と能と狂言を中心にして좦, 좬경북전문대논문집좭 8, 경북전문대, 1989. 3.
1989    이강옥, 좥가산오광대 대사의 유기적 분석;가면극의 유기적 해석을 위하여좦, 좬경남대 가야문화좭 7, 경남대, 1989. 12.
1989    이송, 좥판소리의 연극성에 관한 연구좦, 중앙대 석사논문, 1989.
1989    이훈상, 좥조선후기의 향리집단과 탈춤의 연행;조선후기 읍권의 운영원리와 읍의 제의좦, 좬서강대동아연구좭 17, 서강대, 1989. 2.
1989    장정룡, 좥동해안별신굿놀이의 연극적 고찰좦, 좬연극학연구좭 1권, 부산연극학회, 1989.
1989    장정룡, 좬강릉관노 면극 연구좭, 집문당, 1989.
1989    정상박, 좥민속극·민속공예·전설좦, 좬향토문화지좭, 경상남도, 1989.
1989    정영남, 좥밀양백중놀이의 사회적 기능좦, 서울대 석사논문, 1989.
1989    정형호, 좥굿에서 가면극으로서의 변이양상 연구;구조와 연희양상을 중심으로좦, 중앙대 석사논문, 1989. 2.
1990    권순종, 좥전통극과 근대극의 접맥양상연구좦, 계명대 박사논문, 1990.
1990    김몽상, 좥가산오광대 연구좦, 경남대 석사논문, 1990. 2.
1990    김연화, 좥탈춤의 춤사위 비교 연구:동래야류·양주별산대놀이·봉산탈춤의 말뚝이춤을 중심으로좦, 부산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0. 8.
1990    김화경, 좥가면극의 기능체계좦, 좬천봉 이능우박사 칠순기념논총좭, 동 간행위원회, 1990.
1990    민속학회, 좬가면극·세시풍속·산육속좭, 교문사, 1990.
1990    박경리, 좥민중예술로서의 탈춤 연구좦, 상명여대 석사논문, 1990. 8.
1990    박장순, 좥꼭두각시극의 표현양식적 특징과 본질적 실체좦, 좬연극학보좭 21집, 동국대 연극학과, 1990.
1990    박진태, 좥하회별신굿탈놀이좦, 좬비교민속학좭 6, 비교민속학회, 1990.
1990    박진태, 좥봉산탈춤의 제의적 구조좦, 좬천봉 이능우박사 칠순기념논총좭, 동  간행위원회, 1990.
1990    박진태, 좬탈놀이의 기원과 구조좭, 새문사, 1990.
1990    사진실, 좥소학지희의 공연방식과 희곡의 특성좦, 서울대 석사논문, 1990.
1990    서연호, 좥남사당 꼭두각시놀이 연희본좦, 좬꼭두각시놀이좭, 열화당, 1990.
1990    서연호·이강렬, 좬북한의 공연예술좭, 고려원, 1990.
1990    서연호, 좬꼭두각시놀이좭, 열화당, 1990.
1990    신복현, 좥탈춤과 굿을 통한 토착화 기독교 교육론좦, 감리교 신학대 석사논문, 1990. 2.
1990    유미경, 좥조선시대 계급사상이 탈춤에 미친 영향:양주별산대놀이를 중심으로좦,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0. 8.
1990    윤광봉, 좥북한문학사에 나타난 민속극에 대한 서술양상좦, 좬고전문학연구좭 제5집, 한국고전문학연구회, 1990.
1990    이금남, 좥한국탈춤, 춤사위의 구조와 의미좦, 중앙대 석사논문, 1990. 2.
1990    이명희, 좥탈춤의 사회성에 관한 일고찰좦,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0. 2.
1990    이미원, 좥한국 전통가면극과 코메디아 데아르테좦, 좬한국연극학좭 3, 한국연극학회, 1990.
1990    이보형, 좥창우집단의 광대소리 연구좦, 한명회 외, 좬한국전통음악연구좭, 고려대  민족문화 연구소, 1990.
1990    이상일, 좥민중극·마당극·민족극의 재정립-심미적·양식적 통일성의 요청좦, 좬예술과 비평좭 22, 서울신문사, 1990 겨울.
1990    이창헌, 좥양주별산대에 있어서 염불놀이의 의미와 기능좦, 좬국어국문학좭 103, 국어국문학회, 1990.
1990    임진택, 좬민중연희의 창조좭, 창작과 비평사, 1990.
1990    장권표, 좬조선구전문학개요좭(고대·중세편),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0.
1990    장한기, 좬연극학논총좭(張漢基博士華甲紀念), 원방각, 1990.
1990    전규태, 좬연극의 흐름좭, 백문사, 1990.
1990    전규태, 좥한국가면극(대본)의 희곡 장르  규정 논의좦, 좬돌곶 김상선 교수화갑기념논총좭, 중앙대 국어국문학과, 1990.
1990    정승희, 좥한국민속극 '할미마당'의 비교연구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90.
1990    정은희, 좥한국의 마당극 연구좦, 조선대 석사논문, 1990. 2.
1990    정윤수, 좥강릉단오제 근원설화와 관노가면극의 상관성에 광한 연구, 강원대 석사논문, 1990.(좬강원민속학 7.8, 1990).
1990    최리나, 좥전통의 현대적 수용에 관한 연구:탈춤·마당극·마당춤판을 중심으로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90. 8.
1990    최정일, 좥동양연극의 전승과정과 표현양식에  대한 비교연구; 중국의 경극, 일본의 능, 한국가면극을 중심으로좦, 좬경성대일본연구논총좭 4, 경성대, 1990. 12.
1990    최철·전경욱, 좬북한의 민속예술좭, 고려원, 1990.
1990    황경숙, 좥동래야류 연구:양반과장에 나타난 세계관을 중심으로좦, 부산대 석사논문, 1990. 2.
1991    권순종, 좬한국희곡의 지속과 변화좭, 중문, 1991.
1991    김기선, 좥탈춤에 나타난 양반풍자; 비판과 화해의 양면성좦, 좬성신여대인문과학연구좭 11, 성신여대, 1991. 12.
1991    김기형, 좥탈춤 ‘영노(비비.과장)'에 나타난  갈등의 양상과 의미좦, 좬우리어문연구좭 4.5합집, 우리어문연구회, 1991.
1991    김욱동, 좥탈춤의 유희적 기능좦, 좬예술과 비평좭 23, 서울신문사, 1991 봄.
1991    문수경, 좥탈춤극의 원리 1;봉산탈춤의 경우좦, 좬인천어문학좭 7,  인천대 국어국문학과, 1991. 2.
1991    박미영, 좥가면극 영감 할미과장에 나타난 할미의 수난좦, 경북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1.
1991    박진태, 좥민속극의 연행구조와 갈등양상좦, 좬비교민속학좭 제7집, 비교민속학회, 1991.
1991    박태우, 좥양주별산대놀이와  송파산대놀이의 비교연구좦,  영남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1.
1991    사진실, 좥한국연극의 화극적 전통 고찰좦, 좬한국극예술연구좭 1, 한국극예술학회, 1991.
1991    서연호, 좬서낭굿탈놀이좭, 열화당, 1991.
1991    신경숙, 좥양주별산대의 민중의식 성장론에 대하여좦, 좬한성어문학좭 10, 한성대 국어국문학과, 1991.
1991    신동흔, 좥들놀음 할미마당의 극적 짜임새와 주제좦, 좬한국극예술연구좭 1, 한국극예술학회, 1991.
1991    오수경, 좥상징이론의 관점에서  본 꼭두각시놀음의 인물에  관한 연구좦, 좬신흥실전논문집좭 14, 신흥실전, 1991.
1991    원종세·윤덕경, 좥사자춤에 나타난 상징성좦, 좬논문집좭 15, 건국대 교육연구소, 1991.
1991    윤상인, 좥민속무용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연구:농악과 탈춤을 중심으로좦, 중앙대 석사논문, 1991. 8.
1991    이종대, 좥열린연극-서사극과 봉산탈춤좦, 좬동악어문논집좭 28, 동악어문학회, 1991.
1991    임재해, 좬한국민속과 전통의 세계좭, 지식산업사, 1991.
1991    전경욱, 좥봉산탈춤의 주석적 연구 1좦, 좬한국어문교육좭 5, 고려대 국어교육학회, 1991.
1991    折野和己, 좥한일 사자무의 비교연구좦, 고려대 석사논문, 1991. 2.
1991    정병호, 좬한국의 민속춤좭, 삼성출판사, 1991.
1991    정형호, 좥시용향악보소재 나례가의 성격 고찰좦, 좬중앙민속학좭 3, 중앙대  민속학연구소, 1991. 12.
1991    주강현, 좬북한민속학사좭, 이론과 실천, 1991.
1991    村上祥子, 좥한국탈놀이와 일본 기악 연구좦, 고려대 석사논문, 1991.
1992    경남향토사연구협의회, 좬경남향토사논총좭, 경남향토사연구협의회, 1992-1993.
1992    김기선, 좥탈춤관중론좦, 좬성신여대연구논문집좭 32, 성신여대, 1992. 8.
1992    김태호, 좥조선후기 연극작품에 나타난 풍자양상:전통극의 희극적 미를 중심으로좦,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2. 2.
1992    김학주, 좥중국 고대의 가면희와 한·일 양국에의 영향좦, 좬인문과학연구좭 제10집, 대구대인문과학연구소, 1992.
1992    박선면, 좥한국 전통가면극의 풍자성 검토; 양반과장을 중심으로좦, 좬연극학연구좭 3, 부산연극학회, 1992. 12.
1992    박종성, 좥사신제의와 탈춤의 형성좦, 좬고전문학연구좭 7, 한국고전문학연구회, 1992.
1992 박진태, 좥민속극의 세속화 과정 2;사또놀이 내지 양반놀이를  중심으로좦, 좥대구어문론총좦 10, 대구대, 1992. 6.
1992    박찬미, 좥탈춤의 변천양상에 대한 사회미학적 일고찰:하회별신굿탈놀이와 봉산탈춤을 중심으로좦, 서강대 석사학위논문, 1992. 2.
1992    안치운, 좥놀이와 이야기, 그리고 가면;연극사회학적 접근좦, 좬한국연극학좭 제4호, 한국연극학회, 1992.
1992    오정희, 좥탈춤에 나타난 탈표정에 관한 연구:황해도 해서지방의 탈춤을 중심으로좦, 중앙대 석사논문, 1992.2.
1992    윤광봉, 좥한국가면극의 형성과정좦, 좬비교민속학좭 9, 비교민속학회, 1992.
1992    윤광봉, 좬한국의 연희좭, 반도출판사, 1992.
1992    이균옥, 좥탈춤 장단  신호의 종류와 기능좦, 좬문학과 언어좭 제13집, 문학과 언어연구회, 1992.
1992    이명세, 좥한국가면극에 대한 미학적 연구:극요소의 기호론적 분석좦, 숭실대 박사논문, 1992. 2.
1992    이반, 좥한국 가면극 등장인물 연구;양주별산대놀이를  중심으로좦, 좬한국외대한국어문학연구좭 4, 한국외대, 1992. 11.
1992    임석재, 좥양주별산대놀이 봉산탈춤 강령탈춤 대사채록과정에  대하여좦, 좬비교민속학좭 9, 비교민속학회, 1992. 10.
1992    임재해, 좥한국연희의 서평좦, 좬비교민속학좭 9, 비교민속학회, 1992.
1992    정상박, 좥들놀음의 놀이원리 서설좦, 좬연극학연구좭 3, 부산연극학회, 1992. 12.
1992    정상박, 좥오광대와 들놀음의 형성 연구좦, 좬동아대국어국문학논문집좭 11, 동아대 국어국문학과, 1992. 12.
1992    채희완 글, 김문호 사진, 좬탈춤좭, 대원사, 1992.
1992    하경화, 좥양주별산대놀이의 해학성이 보여준 사회악 개진에 관한 고찰좦, 동국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2.  
1992    한철수, 좥탈춤과 도덕극의 구조 비교연구좦, 좬논문집 인문과학좭 22, 한남대, 1992.
1993    강은실, 좥안동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집단적 학습결과좦,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3.
1993       김용수, 좥사회적 몸짓으로 본 양주별산대놀이;기존의 가면극 연구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모색좦, 좬서강대언론문화연구좭 11, 서강대, 1993. 12.
1993    김윤미, 좥산대놀이 춤사위의 특성연구:송파산대와 양주별산대놀이의 비교를 중심으로좦,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3. 2.
1993    김준기, 좥들놀음의 연희양상에 관한 연구좦, 중앙대 석사논문, 1993. 2.
1993    류필자, 좥들놀음·오광대에 나타난 골계미 연구좦, 서강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3. 8.
1993    박경신, 좬울산지방무가자료집좭(1-5권), 울산대인문과학연구소, 1993.
1993    사진실, 좥북청사자놀이의 제의적·곡예적·연극적 성격과 그 의미좦, 좬한국극예술연구좭 3집, 한국극예술학회, 1993.
1993    서연호, 좥가면극의 양식 및 전승적 측면에서 살펴본 오국의 위치; 일본 기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좦, 좬동국대일본학좭 12, 동국대 일본학연구소, 1993. 8.
1993    서영임, 좥극예술로서의 무용과 연극간의 관계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80.
1993    서울시, 좬서울민속대관좭 3-5 , 서울특별시, 1993.
1993    심이석, 좬한국의 나무탈좭, 열화당, 1993.
1993    유인목, 좥가면극에 나타난 화해정신:그 외연성을 중심으로좦, 한양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3. 2.
1993    윤혜숙, 좥대동놀이를 통한 탈춤 미의식에 관한 연구:양주별산대놀이를 중심으로좦, 세종대 석사논문, 1993. 2.
1993    이명주, 좥노장과장을 통한 탈춤의 구조적 방향모색좦, 세종대 석사논문, 1993. 2.
1993    이상란, 좥꼭두각시놀음의 담론분석Ⅰ좦, 좬한국연극학좭 5, 한국연극학회, 1993. 11.
1993    이승희, 좥야류(들놀음) 가면의 조형적 의미좦, 동아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3. 2.
1993    이은경, 좥가면극에 나타난 여성;하회별신가면극·양주별산대놀이·봉산탈춤을 중심으로좦, 좬숙명여대어문논집좭 3, 숙명여대 국어국문학과, 1993. 2.
1993    전경욱 주해, 좬민속극좭,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3.
1993    전경욱, 좬북한의 전통공연예술의 전승양상과 그 배경에 대한 고찰좭, 좥'93 북한·통일 연구 논문집좦 7, 통일원, 1993.
1993    전경욱, 좬민속극좭, 한샘, 1993.
1993    정상박, 좥한국 탈놀음의 갈래좦, 좬문학한글좭 7, 한글학회, 1993.
1993    정형호, 좥가면극의 전개원리 고찰좦, 좬한국민속학좭 25, 민속학회, 1993. 11.
1993    정희정, 좥꼭두각시놀음의 구성원리좦, 좬한남어문학좭 19, 한남대 국어국문학회, 1993. 12.
1993    정희정, 좥꼭두각시놀음 연구좦, 한남대 석사논문, 1993. 8
1993    조미정, 좥하회별신굿탈춤과 강릉관노탈춤의 비교연구좦, 중앙대 석사논문, 1993. 2.
1993    채명순, 좥한국 전통 탈춤에서의 춤의 기능좦, 좬경북사대체육학회지좭 21, 경북사대 체육교육과, 1993. 12.
1993    홍성숙, 좥동래야류의 양반과장에 관한 연구좦, 세종대 석사논문, 1993. 8.
1993    황정희, 좥한국춤에 나타난 `恨'과 `신명'에 관한 연구 : 살풀이 춤과 탈춤을 중심으로좦, 경남대 석사논문, 1993. 2.
1994    김선익·추대운, 좬인형극 입문좭, 바른글, 1994.
1994    김선익, 좬인형극 예술의 세계좭, 바른글, 1994.
1994    김세영 외, 좬연극의 이해좭(개정판), 새문사, 1994.
1994    김승옥, 좥가면극의 구조 및 주제에 관한 분석적 고찰; 봉산탈춤을 중심으로좦, 좬성신어문학좭 6, 성신여대, 1994. 2.
1994    김용선, 좥한국가면극 대사의 발음과 음성표현연구 : 송파산대놀이를 중심으로좦,  동국대 석사논문, 1994. 2.
1994    김욱동, 좬탈춤의 미학좭, 현암사, 1994.
1994    김종일, 좬한국가면극사전좭, 태양, 1994.
1994    김학주, 좬한·중 두 나라의 가무와 잡희좭,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1994    김헌선, 좥탈춤연구의 학문적 야유에 대하여좦, 좬현대문학좭 477, 현대문학사, 1994. 9.
1994    민속학회, 좬한국민속학의 이해좭, 문학아카데미, 1994.
1994    신택룡, 좥탈춤의 갈등 해결 양상좦,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4. 2.
1994    옥영미, 좥꼭두각시놀음 재담의 구조와 의미좦,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4. 8.
1994    윤광봉, 좥18세기 한양을 중심으로 한 산대놀이 양상좦, 좬문학 작품에 나타난 서울의 형상좭 한국고전문학연구회편, 한샘출판사, 1994.
1994    윤광봉, 좬유랑예인과 꼭두각시놀음좭, 밀알, 1994.
1994    이두현, 좬한국가면극좭,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1994    임재해, 미학없는 '탈춤의 미학'과  식민담론의 정체;김욱동의 좬탈춤의 미학좦에  대한 비판적 검토좦, 좬민족예술좭 4, 1994. 11.
1994    임재해, 좥민속연희 연구의 학사적 의의와 구조적 한계좦, 좬한국민속과 오늘의 문화좭, 지식산업사, 1994.
1994    임재해, 좥탈이 지닌 종교적 의미와 주술적  기능좦, 좬민속연구좭 제4집, 안동대민속학연구소, 1994.
1994    전경욱, 좥고성오광대 연희본좦, 좬구비문학연구좭 1, 한국구비문학회, 1994.
1994    전경욱, 좥관노가면극좦, 좬강릉단오제 실측보고서좭, 문화재관리국, 1994.
1994    田中博, 좥한국 구나의식 연구좦, 고려대 석사논문, 1994. 2.
1994    정임실, 좥近松門左衛門의 인형극 연구:좬曾根崎心中좭에 나타난 공연예술적 특성을 중심으로좦, 중앙대 석사논문, 1994. 2.
1994    최재석, 좥일본 정창원의 가면  기악에 대하여좦, 좬한국외대일본연구좭 9,  한국외대, 1994. 12.     
1994    홍순석, 좥나례 잡희 관계기사 집람(1)좦, 좬비교민속학좭 11, 비교민속학회, 1994.
1995    강령탈춤보존회, 좥강령탈춤 교본좦, 강령탈춤 보존회, 1995.
1995    강용권, 좥합천 밤마리와 오광대 들놀음 소고좦, 좬석당논총좭 21, 동아대, 1995. 12.
1995    김익두, 좥풍물굿의 공연원리와 연행적 성격좦, 좬한국민속학좭 제27집, 민속학회, 1995. 12.
1995    김창현, 좥탈춤의 기원에 얽힌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좦, 좬성균어문연구좭 30, 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 1995. 12.
1995    김현양, 좥민중연희의 전통과 탈춤의 성장좦, 좬민족문학사 강좌좭  상(민족문학사연구소 엮음), 창작과 비평사, 1995.
1995    박진태, 좥송석하의 민속극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좬구비문학연구좭  2, 한국구비문학연구회, 1995.
1995    서연호, 좥희곡연구의 성과와 반성좦, 좬광복 50년의 국학, 성과와 전망좭,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1995    신재홍, 좥전통 가면극의 춤과 대사의 관련 양상좦, 좬서울여대태릉어문연구좭 5·6, 서울여대, 1995. 2
1995    원용근, 좥해서지방 탈춤 이미지의 Rope-tie design 개발에 관한 연구좦, 서울산업대 석사논문, 1995. 8.
1995    윤광봉, 좥민속극과 불교-스님과장을 중심으로좦, 좬비교민속학좭 제12집, 비교민속학회, 1995.
1995    은혜진, 좥조선후기 탈춤의 문화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양주별산대놀이를  중심으로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95. 2.
1995    이경숙, 좥문화 창조에 관여하는 요인들과 그 문학교육적 의미;가면극의 “백구타령“을 중심으로좦, 좬선청어문좭23, 서울사대 국어교육과, 1995. 4.
1995    전경욱, 좥가산오광대연희본좦, 좬한국민속학좭 제27호, 민속학회, 1995.
1995    전경욱, 좥탈놀이의 형성에 끼친 나례의 영향좦, 좬민족문화연구좭 28,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5.
1995    전경욱, 좥탈춤의 형성에 끼친  무속의 영향좦, 좬어문논집좭 34, 고려대 국어국문학연구회, 1995.
1995    정형호, 좥가면극에 나타난 '중'의 성격 고찰좦, 좬한국민속학좭 27, 민속학회, 1995. 12.
1995    정형호, 좥한국가면극의 유형과 전승원리 연구좦, 중앙대 박사논문, 1995. 2.
1995    조만호, 좥탈춤 '辭說' 연구좦, 성균관대 박사논문, 1995. 2.
1995    조만호, 좬전통희곡의 제식적 미학좭, 태학사, 1995.
1995    홍헌일, 좥애오개(阿峴) 본산대놀이를 발굴하면서좦, 좬예술세계좭 56, 1995. 5.
1996    강용권, 좬한국 민속문화 연구좭, 집문당, 1996.
1996    김말애 편저, 좬한·중·일 궁중무용의 변천사좦, 경희대출판국, 1996.
1996    김열규, 좥오늘 우리가 왜 탈춤을 추는가?좦, 좬진주탈춤 한마당좭 제1호,  삼광문화재단, 1996.
1996    문채련, 좥탈춤의 사회성에 관한 연구:봉산탈춤, 양주별산대,  통영오광대를 중심으로좦, 좬광주예술학교논문집좭 3, 1996. 2.
1996    민희정, 좥한·일 가면극의 비교연구:봉산탈춤과 노오(能)춤의 역할을 중심으로좦,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6. 2.
1996    박전렬, 좥일본 산악의 연구좦, 좬한국연극학좭 제8호, 한국연극학회, 1996.
1996    박진태·유달선, 좬영남지방의 동제와 탈놀이좭, 태학사, 1996.
1996    박형순, 좥판소리와 탈춤의 문학교육적 분석:문학교과서에 게재된 작품을 중심으로좦,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6. 2.
1996 사진실, 좥조선전기 나례의 변별 양상과 공연의 특성좦, 좬구비문학연구좭3, 한국구비문학연구회, 1996.
1996    손태도, 좥과거 제도를 통한 광대의 가창 문화 연구좦, 좬판소리연구좭 제7집,  판소리학회, 1996.
1996    손태도, 좥판소리 단가를 통한 광대의 가창 문화 연구좦, 서울대 석사논문, 1996.
1996       윤광봉, 좥민속극의 역사좦, 좬한국민속사입문좭, 지식산업사, 1996.
1996    이두현, 좬한국무속과 연희좭, 서울대출판부, 1996.
1996    임재해, 좥남북한 꼭두각시놀음의 전승양상과 해석의 비교연구좦, 좬구비문학연구좭 제3집, 한국구비문학연구회, 1996.
1996    임재해, 좥민속놀이의 주술적 의도와 생산적 구실좦, 좬비교민속학좭 제13집,  비교민속학회, 1996.
1996    전경욱, 좥탈놀이 대사의 형성원리좦, 좬구비문학연구좭 제3집, 한국구비문학연구회, 1996.
1996    전경욱, 좬한국의 탈좭, 태학사, 1996.
1996    정미래, 좥동해안 탈춤의 특성 연구좦, 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6. 2.
1996    정형호, 김재철의 좬조선연극사 연구좭, 좬한국민속학좭28, 민속학회, 1996.
1996    조동일, 좥연극미학의 세 가지 기본원리, ‘카타르시스'·‘라사'·‘신명풀이' 비교연구좦, 좬구비문학연구좭 제3집, 한국구비문학연구회, 1996.
1996    조청차랑, 좥인형극 놀이를 통한 생활언어 확충지도가 말하기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좦, 좬교육연구좭 328, 1996. 11.
1996    한옥근, 좬한국 고전극 연구좭, 국학자료원, 1996.
1997    국립민속박물관 편, 좬한국민속의 이해좭, 국립민속박물관, 1997.
1997    김수업, 좥오광대 각본좦을 소개함좦, 좬배달말좭22, 배달말학회, 1997. 12.
1997    김영윤, 좥한국 가면극의 공연텍스트 연구:양주별산대놀이의 경우좦, 전북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7. 2.
1997    김익두, 좥한국풍물굿 잡색놀이의 공연적·연극적 성격좦, 좬비교민속학좭 제14집, 비교민속학회, 1997.
1997    김흥우, 좥한국과 중국의 가면좦, 좬동서희곡문학좭, 동서희곡문학회, 1997.
1997    남인숙, 좥청소년기에 있어서의 탈춤 모형 개발좦, 청주대 석사논문, 1997. 2
1997    노범섭, 좥봉산 춤의 연희문학적 연구좦, 공주대 석사논문, 1997. 2
1997    노현식, 좥한국민속춤과 택견의 비교분석을 통한 택견의 무용화작업:탈춤을 중심으로좦, 경희대 석사논문, 1997. 8.
1997    민현숙, 좥꼭두각시놀음 연구좦,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7. 8.
1997    박종성, 좥조선후기 탈춤의 부상과 향촌사회구조좦, 좬한국문화좭 20, 서울대, 1997. 12.
1997    박진태, 좥농악대 잡색놀이의 연극성과 제의성좦, 좬한국민속학좭 29, 민속학회, 1997.
1997    박진태, 좥진주오광대의 독자성과 시대성좦, 좬배달말좭 제22집, 배달말학회, 1997.
1997    박진태, 좥한국가면희의 종류와 제의성좦, 좬중국희곡좭 제5집, 한국중국희곡학회, 1997.
1997    사진실, 좥한국전통극 연구사 목록좦, 좬한국극예술연구좭 7집, 1997.
1997    사진실, 좥조선시대 서울지역 연극의 공연상황 연구좦, 서울대 박사논문, 1997.
1997    사진실, 좬한국연극사연구좭, 태학사, 1997.
1997    삼광문화연구재단, 좬진주 탈춤 한마당좭, 1997.
1997    서연호, 좥18세기 후반의 꼭두각시놀음좦,  좬문화예술좭 211,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97. 2. 좬한국전통연연희의 현장연구좭, 좥집문당), 1997.
1997    서연호, 좥20세기 가면극과 인형극의 예능전수과정 연구좦, 좬한국학연구좭 9,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1997.
1997    서연호, 좥낙동강유역의 가면문화와 오광대탈놀이좦, 좬배달말좭 22, 배달말학회, 1997. 12.
1997    서연호, 좥낙동강 유역의 탈·탈놀이 연구:야류·오광대를 중심으로좦, 좬고려대인문논집좭 33, 1988. 12.
1997    서연호, 좬한국 전승연희의 원리와 방법좭, 집문당, 1997.
1997    神谷丹路, 좬韓國の小さな村で : 近い昔の記憶좭, 凱風社, 1997.
1997    심상교, 좥민속극에 나타난 비극적 특성연구(1)좦, 좬한국연극학좭 9, 한국연극학회, 1997.
1997    심상교, 좥민속극에 나타난 비극적 특성연구(2)좦, 좬한국민속학좭 29, 민속학회, 1997.
1997    이동숙, 좥통영오광대의 신명적 특성 연구좦, 이화여대 석사논문, 1997. 2.
1997    이두현, 좥(주석본)한국가면극선좦, 교문사, 1997.
1997    이정임, 좥도제 탈춤인형의 조형연구좦, 성신여대 석사논문, 1997. 8.
1997    이준섭, 좬대도구수막무좭를 통해서 본 츄신구라(忠臣藏)의 희작공간좦, 좬일어일문학연구좭 31, 일어일문학회, 1997. 12.
1997    전경욱, 좬북청사자놀이연구좭, 태학사, 1997.
1997    정상박, 좥진주지역의 오광대 전승 양상좦, 좬배달말좭 22, 배달말학회, 1997. 12.
1997    정형호, 좥한국가면극에 나타난 여성의식좦, 좬한국문학과 여성좭, 박이정, 1997.
1997    조동일, 좬카타르시스, 라사, 신명풀이좭, 지식산업사, 1997.
1997    최창주, 좬한국의 가면극과 뮤지컬좭, 남지, 1997.
1997    한경자, 좥인형극놀이가 정신지체아의 화행에 미치는  영향좦,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7. 2.
1997    허용호, 좥봉산탈춤 속의 여성들좦, 좬구비문학연구좭 4, 한국구비문학회, 1997.
1997    황경숙, 좥고대 구나의례 연구좦, 좬한국문학논총좭 21, 1997. 12.
1998    강춘애, 좥나(儺)문화와 상악(喪樂)좦, 좬민족과 문화좭 제7집, 한양대민족문화연구소, 1998.
1998    강춘애, 좥나예와 방상씨의 고찰:특히 그 직능과 조형의 유풍을 중심으로좦, 좬연극학보좭 26, 동국대, 1998. 2.
1998    김삼성, 좥인형극 중재전략이 일반아동의 장애수용 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좦, 대구대 박사논문, 1998. 8.
1998    김소은, 좥농악과 탈춤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고찰좦,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8. 2.
1998    민찬, 좥양반과장의 성립과 한국가면극의 전개좦, 좬인문과학논문집좭 25, 대전대, 1998. 2.1998 박재섭, 좥한국 가면극과 인형극의  대비 연구:내용을  중심으로좦, 좬인문사회과학논총좭 5, 인제대, 1998. 12.
1998    박진태, 좥민속극 교육론좦, 좬구비문학연구좭 6, 한국구비문학회, 1998.
1998    박진태, 좥영광농악의 잡색놀이 연구좦, 좬비교민속학좭 제15집, 비교민속학회, 1998.
1998    박진태, 좬한국민속극연구좭, 새문사, 1998.
1998    사진실,  좥산대의 무대양식적  특성과 공연방식좦, 좬구비문학연구좭  7, 한국구비문학회, 1998.
1998    상정아, 좥한국 가면극의 구술문화적 성격 연구:문자문화의 인식이 양주별산대놀이의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좦, 중앙대 석사논문, 1998. 2.
1998    서경희, 좥인형극을 통한 영어 말하기 능력 신장좦,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8. 8.
1998    서연호, 좥꼭두각시놀음의 전승 연구좦, 좬한국문화연구좭 1, 경희대, 1998. 2.
1998    서연호, 좥탈놀이 사상연구좦, 좬한국학연구좭 10,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1998.
1998    성호경, 좥중국희곡이 한국 극문학에 끼친 영향에 대한 고찰좦, 좬국어국문학좭 제121호, 국어국문학회, 1998.
1998    송경희, 좥북청사자놀음의 춤사위에 대한 연구좦, 경희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8.
1998    양병화, 좥한국문화 속에 나타난 정서적 표상과 인지적 일관성 연구:시문학과 전통극(탈춤)을 중심으로좦, 좬사회과학연구좭 11, 중앙대, 1998. 12.
1998    원명수, 좥하회별신굿탈놀이의 희극성 연구좦, 좬어문학좭 제62집, 한국어문학회, 1998.
1998    윤광봉, 좥민속극 연희론좦, 좬구비문학연구좭 7, 한국구비문학회, 1998.
1998    윤광봉, 좥한국무속과 연희좦, 좬비교민속학좭 제15집, 비교민속학회, 1998.
1998    윤광봉, 좬조선후기의 연희좭, 박이정, 1998.
1998    이균옥, 좬동해안 지역 무극 연구좭, 박이정, 1998.
1998    임재해, 좥꼭두각시놀음의 역사적 전개와 발전양상좦,  좬구비문학연구좭 제5집, 한국구비문학회, 1998.
1998    전경욱, 좥세계 여러 나라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과정(상)좦, 좬한국민속학좭 30, 민속학회, 1998.
1998    전경욱, 좥탈놀이의 역사적 연구좦, 좬구비문학연구좭 제5집, 한국구비문학회, 1998.
1998    전경욱, 좬한국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좭, 열화당, 1998.
1998    정형호, 좥농악의 잡색놀이에 나타난 연극적 성격 고찰좦, 좬남도민속학의 진전좭, 태학사, 1998.
1998    조정현, 좥민속연행예술에 나타난 도둑잽이놀이의 구조와  미의식좦, 안동대 대학원 석사논문, 1998.
1998    최승수, 좥Bertolt Brecht의 서사극과 한국 가면극의  비교연구: '소외효과'를 중심으로좦, 단국대 석사논문, 1988. 2.
1998    허용호, 좥꼭두각시놀음의 연행기호학적 연구 시론좦, 좬구비문학연구좭 6, 한국구비문학회, 1998.
1999    김익두, 좥한국연극이론에 관한 시론좦, 좬국어국문학좭 제123호, 국어국문학회, 1999.
1999    김창현, 좥서사극의 장르적 성격과 결합 양상 연구 : 고소설, 탈춤,  판소리를 중심으로좦, 성균관대 박사논문, 1999. 2.
1999    박경신, 좬한국의 별신굿무가좭(1-12권), 국학자료원, 1999.
1999    박진태, 좥봉산탈춤의 중마당군의 양면성과 구성원리좦, 좬비교민속학좭 제17집, 비교민속학회, 1999.
1999    박진태, 좥중국 인형극의 수용과 변이양상(1)좦, 좬역사민속학좭9, 한국역사민속학회, 1999.
1999    박진태, 좥한국가면사의 시대구분좦, 좬비교민속학좭 제16집, 비교민속학회, 1999.
1999    박진태, 좬한국민속극의 실천좭, 역락, 1999.
1999    서연호, 좥꼭두각시놀음의 성립과정 연구좦, 좬민속예술의 정서와 미학좭, 월인, 1999.
1999    성택승, 좥신사료군 검증으로 구명된 기악 고지좦, 좬한국연극학좭 제13호,  한국연극학회, 1999.
1999    안동문화연구소, 좬하회탈과 하회탈춤의 미학좭, 사계절출판사, 1999
1999    안상복, 좥한중 우희의 관련양상에 대한 한  고찰좦, 좬구비문학연구좭 8, 한국구비문학회, 1999.
1999    이경숙, 좥양주별산대놀이의 경기성좦, 좬한국극예술연구좭 제9집, 한국극예술학회, 1999.
1999    임재해, 좬하회탈 하회탈춤좭, 지식산업사, 1999.
1999    전경욱, 좥세계 여러나라 가면극의 기원과  발전과정(하)좦, 좬한국민속학좭  31, 민속학회, 1999.
1999    전성운, 좥봉산탈놀이의 구성원리와 사유기반좦, 좬민속예술의 정서와 미학좭, 월인, 1999.
1999    전신재, 좥할미마당의 갈등구조와 할미의 인간상좦, 좬구비문학연구좭 제9집, 한국구비문학회, 1999.
1999    정형호, 좥양주별산대놀이에 나타난 미의식좦, 좬민속예술의 정서와 미학좭, 월인, 1999.
1999    최인학편, 좥한국민속학문헌총목록좦(1920-1995), 인하대출판부, 1999,
2000    강용권, 좥인형극의 희곡적 고찰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 Ⅵ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김학주, 좥당희(唐戱)를 통해 본 삼국시대 가무희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 Ⅱ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박경신, 좥동해안 무극의 양상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 Ⅵ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박진태, 좥고전희곡사의 시대구분좦, 좬한국희곡사 연구의 새로운 방향좭, 한국고전희곡학회 창립기념논문집, 2000. 3. 25.
2000    박진태, 좥중국 인형극의 수용과 변이양상(2)좦, 좬고전문학연구좭 17, 한국고전문학회, 2000. 6.
2000    박진태, 좬동양고전극의 재발견좭, 박이정, 2000.
2000    사진실, 좥고려시대 정재(呈才)의 공연방식과 연출원리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Ⅲ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사진실, 좥재담 공연의 전통과 연극사적 의의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 Ⅴ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사진실, 좥한국연극사 시대구분을 위한 이론적 모색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Ⅰ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서연호, 좬꼭두각시놀음의 역사좭, 연극과 인간, 2000.
2000    신동흔, 좥동해안 별신굿 거리굿좦, 좬구비문학연구좭 10, 한국구비문학회, 2000.
2000    신동흔, 좥민간연희 존재방식과 그 생명력좦, 좬구비문학연구좭 10, 한국구비문학회, 2000.
2000    심우성, 좥민속극의 전승방향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 Ⅵ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안상복, 좥한국가면극의 형성과 송대 잡극좦, 좬구비문학연구좭 10, 한국구비문학회, 2000.
2000    류민영, 좥가면극과 민속인형극의 미의식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 Ⅵ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윤광봉, 좥16-17세기 동아시아의 인형극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 Ⅵ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윤광봉, 좥일본에 있어서 한국  전래의 악무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 Ⅰ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이경엽, 좥삼설양굿의 희곡적 성격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 Ⅵ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장정룡, 좥강릉가면극의 신화적 구성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 Ⅵ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장한기, 좥한국민속극의 전개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 Ⅵ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전경욱, 좥서울의  본산대놀이와 그 놀이꾼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 Ⅵ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전경욱, 좥한국가면극과 몽골문화의 관련양상좦, 좬몽골과 한국 민속의 비교 심포지엄좭,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민속학연구소, 2000.
2000    전신재, 좥양주별산대놀이의 구성과 주제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 Ⅵ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최창주, 좬봉산탈춤좭(한국전통연희의 이해와 실제Ⅲ), 전통예술원, 2000.
2000    한옥근, 좥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연극적 구성과 표현좦, 좬한국희곡문학사의 연구 Ⅳ좭, 중앙인문사, 2000.
2000    한창훈, 좥가면극 삽입가요의 기능과 성격좦, 좬백록어문좭 16, 백록어문학회, 2000.
2000    허용호, 좥서산 박첨지놀이좦, 좬구비문학연구좭 10, 한국구비문학회, 2000.
2000    황루시, 좥동해안 별신굿과  일본 동북지역 레댜이 사이의 비교 연구좦, 좬구비문학연구좭 10, 한국구비문학회,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