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문예기금 정시공모 국제교류사업 시각예술분야 심의 총평 및 지원결정 세부내역
2019년도 문예기금 정시공모 국제교류사업 시각예술분야 심의 총평
2019년도 문예기금 정시공모 국제교류사업 시각예술분야 심의 총평

회의일시 : 2018. 12. 4(화) 10:00-18:00

회의장소 : 대학로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심의위원(가나다순) : 강재현, 박우찬, 우혜수, 임민욱, 조선령

  • 2019년도 문예진흥기금 국제교류사업 시각예술분야 지원 사업 심의는 <예술가해외 레지던스지원>과 <한국예술국제교류지원> 두 부문에 대해 이루어졌다. <예술가해외 레지던스지원> 부문에서는 베타니엔스튜디오, 테이트모던 인텐시브 프로그램, 프로젝트 에이스피랄, HIAP, 아라온호 승선 레지던스 등 총 5개의 지정형 프로그램 40건과 비지정형 프로그램 39건을 합하여 총79건을 대상으로 지원 대상자 혹은 후보자를 선정하였고, <한국예술국제교류사업>에는 총 83건 지원 중에서 15건을 지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심의 위원들은 많은 지원 사업의 내용들을 면밀히 검토하여 심의기준에 가장 부합하는 사업을 선정하고자 노력하였다.
  • <예술가해외레지던스지원>
    • (지정형) 작가 또는 기획자들을 지원하는 레지던스 프로그램은 해외에서의 경험을 통해 시각을 넓히고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자신의 역량을 높이고 이를 통해 한국 예술계에 기여함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의 효과적 실천을 위해 ‘사업계획의 충실성·타당성,’ ‘성공적인 프로그램 참여 가능성,‘ ‘사업계획의 기여도와 파급효과’를 기준으로 심의하였다. 심의위원들은 제안서의 내용들을 세세히 살펴 위의 기준에 충실하게 부합하는지 정확히 판단하고자 노력하였다. 눈에 띄었던 점은 다수의 지원자들이 레지던스가 위치한 장소의 특성, 현지에서의 협업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제안도 장점이 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프로그램 참가 이후 변화와 역량의 성장 가능성도 고려되었다.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적 계획을 가진 지원자들 중에서 한정된 인원을 선발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지만, 작가로, 기획자로 오랜 경험을 가진 심의위원들간에 심도 있는 토의를 통해 결정되었음을 말씀드린다.
    • (비지정형) 예술가해외레지던스 비지정형에는 지정형 못지 않게 많은 지원이 있었고, 지원자들은 다양한 지역의 레지던시들을 탐구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주었다. 이 부문을 심사함에 있어서는 위에서 언급한 기준 외에도 지원자가 뚜렷한 계획을 가지고 있는가, 레지던스의 성격과 지원자가 추구하는 방향이 상승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고 보았다. 사업의 타당성, 추진계획과 예산의 구체성이 부족한 서류들이 다수 있었다는 점이 아쉬웠지만, 새로운 지역의 레지던스, 신선한 주제와 뚜렷한 목표를 제시한 지원들도 눈에 띄었다. 심사위원들은 각각의 레지던스와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자 노력하였고, 짧은 기간에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에 참가하여 효율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수이므로 이 점도 고려되었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총 19건이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 <한국예술국제교류지원>
    • 한국예술국제교류 부문에는 총83건의 지원 신청이 있었고 면밀한 검토를 통해 15건을 지원 사업으로 선정하였다. 이 부문에서는 ‘사업계획의 충실성·타당성·실현가능성,’‘프로그램의 예술성,’ ‘사업계획의 기여도와 파급효과’를 심의 기준으로 삼았고, 이 중에서도 특히 사업의 구체적인 실현 가능성과 실질적인 국제교류가 이루어지는가에 중점을 두고 보았다. 신청 서류들을 검토한 결과, 심도 있는 사업 계획과 치밀한 예산 수립, 향후의 추진 계획에 이르기까지 충실히 작성한 기획서들을 발견할 수 있었던 반면, 불확실한 계획, 예산 수립에 있어서의 불투명함이 여러 건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되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국제교류사업의 중요한 목적은 참가하는 개인이나 단체뿐만 아니라 국내 예술계에 활력과 신선한 변화를 가지고 오는 것이다. 이 사업에 선정된 개인 혹은 단체에게는 지원의 결과가 국내 예술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거시적인 관점을 가지고 계획을 실천해 주시기를 기대한다.
  • 심의위원들은 가급적 객관적인 관점을 유지하면서 실현의 구체성, 기여도, 지원자의 잠재적 역량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관점에서 판단하고자 노력하였다. 거듭된 논의 끝에 지원이 결정된 사업들에 대해서도 예산 계획의 항목들을 하나하나 살피면서 한정된 예산을 적절히 배정하고자 끝까지 고심하였음을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 향후 지원 신청을 계획하는 개인이나 단체들께는 구체적 실현 계획, 지원의 타당성을 설득할 수 있는 근거 제시, 그리고 합리적인 예산 계획에 중점을 두어 지원서를 꼼꼼하게 작성해 주시기를 당부 드린다. 마지막으로, 2019년도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분들께서는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책임감을 가지고 각자 설정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성실하게 임해 주시기를 바라며 심사평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심의위원 일동

2019년도 예술가해외레지던스지원 심의결정 세부내역(시각예술)
2019년도 예술가해외레지던스지원 심의결정 세부내역
분야 연번 단체명 지원신청사업명 지원예정액
시각 1 정희영 HIAP 큐레이터 레지던시 참가 후보군
시각 2 손광주 극지연구소 협력 아라온호 승선 레지던시 5,000,000
시각 3 박은하 베타니엔 스튜디오 후보군
시각 4 염지혜 베타니엔 스튜디오 후보군
시각 5 유영주 베타니엔 스튜디오 후보군
시각 6 정자영 베타니엔 스튜디오 후보군
시각 7 차혜림 베타니엔 스튜디오 후보군
시각 8 최 선 베타니엔스튜디오 후보군
시각 9 김정현 테이트모던 인텐시브 프로그램 후보군
시각 10 이설희 테이트모던 인텐시브 프로그램 후보군
시각 11 이한범 테이트모던 인텐시브 프로그램 후보군
시각 12 윤미연 프로젝토 에이스피랄 레지던시 후보군
시각 13 강선영 베를린 소모에스 아트 하우스 예술가 레지던시 2019년 프로그램 5,600,000
시각 14 곽문희 핀란드 For the Sake of Being(s) 레지던스 참가 5,000,000
시각 15 구민자 도쿄 토카스 레지던시 (구 원더사이트) 3,000,000
시각 16 김수영 아이슬란드 SIM 레지던스 3,100,000
시각 17 김양우 일본 3331 아트 치요다 레지던스 참가 5,000,000
시각 18 김재민이 AIR in Bangkok2019@TENTACLES 3,000,000
시각 19 김희수 미국 레지던시 언리미티드 레지던스참가 8,000,000
시각 20 박보오리 뉴욕 Artists Alliance Inc. LES 스튜디오 레지던시 프로그램 참가 8,000,000
시각 21 박지희 MAK Artists and Architects 레지던시 프로그램 참가 10,000,000
시각 22 신미경 네델란드 선데이모닝 세라믹 워크센터 레지던시 참가 10,000,000
시각 23 유모나 일본 야마키와 아트호텔 (Yamakiwa Art Hotel) 레지던스 프로그램 참가 4,000,000
시각 24 이진풍 아이슬란드 시각예술협회 레지던스 참가 5,000,000
시각 25 이향안 노르웨이 아트하우스 메센 2019 레지던스 참가 5,500,000
시각 26 장맑은 베를린 소모스 레지던스참가 6,200,000
시각 27 정광희 독일 뮌헨시 초청 빌라 발드베르타 (Villa Waldberta) 레지던스 참가 5,000,000
시각 28 정 승 대만 STUPIN/ 타이페이 디지털아트센터 레지던시 참가 3,100,000
시각 29 차지량 베를린 레지던시 프로그램 6,400,000
시각 30 천대광 에니거 하우스 데어 쿤스트 4,600,000
시각 31 호상근 2019 엔스헤데 예술가 레지던스 참가(Artist Residencies Enschede) 3,500,000
2019년도 한국예술국제교류지원 심의결정 세부내역(시각예술)
2019년도 한국예술국제교류지원 심의결정 세부내역
분야 연번 단체명 지원신청사업명 지원예정액
시각 1 SORO 퍼포먼스 유닛 10주년 판아시아(퍼포먼스 아트 네트워크 아시아) 국내·외 개최 30,000,000
시각 2 강서경 가제: 곳,자리,가 Land Sand Strand 45,000,000
시각 3 곽윤주 오직 우리에게 충실한 항구들 10,000,000
시각 4 김 범 덴마크 쿤스트할 오르후스 김범 개인전 초청사업 30,000,000
시각 5 김수정 싱가포르 국립 갤러리 협력 전시 프로그램 《이강소:소멸(선술집)》 6,000,000
시각 6 김진주 <Magnet Spaces> 중동아랍권 국제교류기획사업 사전준비 리서치 10,000,000
시각 7 닻올림 닻올림-AME (영국) 사운드아트 국제교류초청사업 6,000,000
시각 8 문화공간 양 Pink Island Jeju-Berlin 30,000,000
시각 9 배찬효 제 2 회 인도 첸나이 사진비엔날레 2019 13,000,000
시각 10 아트선재센터 Sympathy(가제) 30,000,000
시각 11 옥인 콜렉티브 일본 마에바시 시립미술관(Arts Maebashi) 기획전 <Blaze Carved in Darkness> 10,000,000
시각 12 유신애 Petrichor (현대미술센터 퓨추라 FUTURA Center for Contemporary Art 초청사업 13,000,000
시각 13 일민미술관(일민문화재단) <인류세 프로젝트: 한국-브라질 수교 60주년 기념 국제교류기획전> (가제) 40,000,000
시각 14 조태복 ZKM | Giga-Hertz Award Exhibition 12,000,000
시각 15 최원준 최원준 콩고 루뭄바시 비엔날레, 베를린 마인블루 개인전 25,000,000
인쇄하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