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예술인력육성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는 만 35세 이하 차세대 예술가의 연구, 창작, 발표 과정을 단계별로 집중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문학, 시각예술, 연극, 무용, 음악, 기획(aPD), 무대예술 총 7개 세부 분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18년도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전 분야 개요
분야 | 주제 | 연구단계 | 창작단계 | 지원인원 | |||
---|---|---|---|---|---|---|---|
중간평가 | 최종발표 | ||||||
창작 | 문학 | 시 | 창작지평 확장 및 작품 집필 | 취재 및 조사‧연구 강의, 멘토링, 워크숍 등 참여 |
- |
개별창작집 발간 시/소설 분야별 공동창작집 발간 |
8명 |
소설 | |||||||
시각예슬 | 창작 | 창작지평 확장 및 작품 집필 | - |
인사미술공간 전시 개최 ※ 시각예술부 협력 |
4명 | ||
기획 | 이론(비평) 연구 및 전시 기획 | 상반기 연구 실적 및 하반기 계획 발표 |
연구집 발간 전시 개최(2명 내외 선발 지원) |
4명 | |||
연극 | 연출 | 작품 연출 제작 | 주요장면 연출(20분) | 공연 발표 | 4명 | ||
극작 | 극작 소재 개발 및 창작 | 대본리딩(60분) | 공연 발표(리딩) | 4명 | |||
무용 | 안무 | 안무 기초 역량 강화 및 사례 분석 | 안무 쇼케이스(15분) | 공연 발표 | 8명 | ||
음악 | 융합음악 | 국악‧양악 융합 관현악곡 작곡 | 15분 이내 관현악 및 Piano Score 심사 | 공연 발표 | 6명 | ||
무대음악 | 오페라, 무용음악 등 작곡 | 15분 이내 관현악 및 Piano Score 심사 | 공연 발표 | ||||
기획(aPD) | 지정주제 공동연구 (예술공간 확장, 문화기술 활용) | 기획안 프리젠테이션(그룹 또는 개별) | 프로젝트 실행(2건 내외 선발 지원) | 9명 | |||
무대예술 | 무대,조명 음향,영상 | 무대예술 디자인 및 시스템 연구 | - | 프로젝트 발표(자유 형식) | 9명 |
창작 분야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창작 분야는 한국 예술을 이끌어갈 만 35세 이하 차세대 유망 예술가를 발굴하여 창작 소재 개발, 조사‧연구 활동, 작품 제작 및 발표 과정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18년도에는 각 장르별로 문학 8명, 시각예술 8명, 연극 8명, 무용 8명, 음악 6명을 지원합니다.
사업방향
조사‧연구 → 창작 → 작품 발표(시범공연), 전시 개최, 작품집 및 연구자료집 발간으로 이어지는 단계별 집중 지원
사업 추진 절차
-
Step 1
연구생 선발 4월 1차 서류
2차 인터뷰 심의 -
Step 2
연구과정 5 ~ 8월 교육과정 지원
조사‧연구비 지원 -
Step 3
중간발표 8 ~ 10월 상반기 성과 및 하반기 계획 점검
-
Step 4
창작과정 10~12월 창작지원금 지원
멘토링, 워크숍, 네트워킹 지원 -
Step 5
최종발표 12월 ~ ’19.3월 작품집 및 결과자료집 발간
전시 및 실연 개최
홍보 지원
지원사항
-
- 문학
-
- 교육 프로그램, 합평회 및 멘토링 지원
- 조사‧연구비(2백만원) 지원
- 창작지원금(최대 8백만원) 지원
- 작품집(앤솔로지) 발간 지원
-
- 시각예술
-
- 교육 프로그램, 멘토링 및 네트워킹 지원
- 조사‧연구비(2백만원) 지원
- 창작지원금(최대 3백만원) 지원
- 전시 개최 및 연구자료집 발간 지원
- 작가 : 인사미술공간 전시 지원
- 큐레이터 : 인사미술공간 전시(최대 2천만원, 총 2명 내외) 개최 및 연구자료집 발간 지원
-
- 공연예술
-
- 교육 프로그램, 멘토링 및 네트워킹 지원
- 조사‧연구비(2백만원) 지원
- 중간발표 지원금(4백만원) 지원
- 최종발표 지원금(최대 30백만원) 지원
- ※ 지원금액 등 세부 지원사항은 사업 추진 중 변경될 수 있습니다.
사업문의
- 문학 : 02-760-4642
- 시각예술 : 02-760-4682
- 연극 : 02-760-4681
- 무용 : 02-760-4643
- 음악 : 02-760-4661
기획자(aPD) 분야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기획(aPD) 분야는 만 35세 이하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지닌 차세대 예술기획자를 발굴하여, 기획역량강화 및 아이디어의 구체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발전된 아이디어의 창·제작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18년도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기획 분야 연구생은 9명입니다.
사업방향
지정 주제에 대한 공동연구(Collective형) 및 기획활동 지원
공동연구과정을 통해 기획된 프로젝트 실현화 지원
사업추진 절차
-
Step 1
연구생 선발 4월 1차 서류
2차 인터뷰 심의 -
Step 2
연구과정 5 ~ 8월 교육과정 지원
조사‧연구비 지원
멘토링, 워크숍, 네트워킹 지원 -
Step 3
중간발표 9월 프로젝트 기획안 발표(피칭 형식)
-
Step 4
창작과정 10 ~ ‘19.2월 실행지원금 지원
멘토링, 워크숍, 네트워킹 지원 -
Step 5
최종발표 10 ~ ‘19.2월 공연, 전시, 발간, 영상회, 워크숍, 음원발표 등
지원사항
- 지정주제 공동연구를 위한 그룹연구프로그램 및 전문가 멘토링 지원
- 2018년도 공동연구 지정 주제
- ① 예술공간의 확장
② 문화기술의 활용
- 네트워킹을 위한 다양한 워크숍 프로그램 지원
- 조사‧연구비 지원 : 선발 연구생 전원에게 2백만원(예정) 연구비 정액 지원
- 실행보조금 지원 : 공동연구과정을 통해 기획된 프로젝트 중 2건 내외, 건당 최대 3천만원 내외로 차등 지원(중간평가 후, 실행지원을 결정한 프로젝트에 한함)
사업문의
02-760-4556, 4567
무대예술 분야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무대예술 분야는 1992년부터 추진된 무대예술아카데미를 이어받아 2016년도에 부활하여, 독창적인 디자인과 기술 운용이 가능한 차세대 무대예술 디자이너, 엔지니어를 육성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방향
자기주도 학습 및 창작화 중심 과정운영
연구주제 조사‧연구→창작→프로젝트 발표(단계별 집중 지원)
지원육성분야
세부분야명 | 무대기계장치 | 무대디자인 | 조명디자인 | 음향시스템 | 음향디자인 | 영상디자인 |
---|---|---|---|---|---|---|
선발인원 | 1명 | 1명 | 2명 | 2명 | 2명 | 1명 |
사업 추진 절차
-
Step 1
연구생 선발 4월 1차 서류
2차 인터뷰 심의 -
Step 2
연구과정 5 ~ 8월 연구계획 발표 / 조사‧연구비 지원
멘토링, 워크숍, 네트워킹 지원 -
Step 3
창작과정 9 ~ ’19. 1월 창작계획 발표 / 창‧제작 활동 지원
멘토링, 워크숍, 네트워킹 지원 -
Step 4
최종발표 12 ~ ’19. 1월 프로젝트 발표
- 자유형식
지원사항
- 조사‧연구비 지원 : 선발 연구생 1인 2백만원 정액 지원
- 창작 활동 및 프로젝트 발표 지원 : 공간, 장비 임차비 등 경비 지원(간접)
- 전문가 멘토링, 현장 견학 및 네트워킹 지원
사업문의
02-760-4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