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호(Jong Ho Yi)  

박수근미술관  Park Soo Keun Museum


 
작품보기

 

序   형태에서 공간으로 다시 場所로 .......

건축이 가장 건축다운 순간은 바로 그 속에 우리들의 삶이 담겨지는 場所가 될 때이며 더 나아가서는 그 삶을 충동할 수 있는 場所 이상의 어떤 의미를 지닐 때이다. 삶이란 자기 안에 깃들인 생명을 실현해 나가는 과정이다. 그리고 그 과정 속에 우리는 수많은 관계들을 만들어 나간다. 그러기에 삶은 하나의 커다란 관계망 위에 놓인 생명실현의 흐름이기도 하다.건축이 만일 이와 같은 관계망 위의 삶들을 담아내며 구축해 나가야 하는 것이라 한다면우선 먼저 건축이 해내야 할 일은 나와 너를 만나게 하는 일이 될 것이다.

 

또한 나와 이 세상의 값진 현상들을 만나게 하는 일이 될 것이다.

그리고 그 관계망의 흐름 밑바닥에 깔린, 그들을 그렇게 움직이게 하는 힘들을, 장소와 공간 그리고 사물이 가진 맥락과 감각의 질에 결합시키는 일 또한 건축이 해내야 할 것이다.  

여기 이 미술관에서 건축이 해야할 일이 서로를 만나게 하는 새로운 場所를 만들어 내는 일임에 틀림없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우선 중요한 것은 朴壽根, 그가 일생을 통해 보여준 삶과 우리를 만나게 하는 일 일 것이다. 그리고 그 만남을 통하여 우리가 가지고 있을 삶의 충동을 저 深淵으로부터  길어 올리게 하는 일이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 여기 이 미술관의 건축에서는 우리로 하여금 朴壽根, 그와 그의 작업을 경험할 수 있게 만드는 일련의 공간적 전개과정이 가장 중요한 작업중의 하나로 떠오르게 된다.

그리고 전체로써.............

대/지/에/ 미/술/관/을/ 새/겨/나/간/다.                     마 /티 /에 /르.

 

 

 

 

    이종호(Jong Ho Yi)

    건축연구소 studio METAA 대표

 

 

 


[학력]

1980 한양대학교 건축학과.  

 

[수상경력]

1992    건축가협회상  율전교회

1993    건축문화대상  용두리주택

1994    건축문화대상  홍천휴게소

1995    건축가협회상 아천상  홍천휴게소

1995    김수근문화상   바른손센터

2000    건축가협회상   명지대 방목기념관 및 행정동

 

[전시경력]

1990    DMZ 展     서울시립미술관

1991    아름다운 서울 展    국립현대미술관

1996    sa architects 展     김수근문화재단

1999    삶과 건축 展      기미술관

1999    현대건축100년 展    국립현대미술관

1999    99양평00 展       두물워크숍, 양평군청

2000    김수근 문화상 수상자 展  김수근문화재단

 

[학술경력]

1997    건축의 한국성 세미나    플러스문화사 주최 (발표자)

1999    ICAS21 국제세미나       서울특별시  (발표자)

1999    sa 여름워크숍-무주      김수근문화재단 (전체 코디네이션)

1999    99 양평00 포럼     두물워크숍 (전체 코디네이션)

2000    sa 여름워크숍-양평       김수근문화재단 (전체 코디네이션)

 

[주요Article]

1994    건축인 30대의 꿈     도서출판국제

1994    건축과 환경 특집 studio METAA C3

1996    세계의 건축가 591인    갤러리 MA

1999    밀레니엄 연구보고서    건축가협회

1999    공간 특집 이종호     공간사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