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규승(Kyu Sung Woo)
추모공원 + 납골당 Memorial Park + Columbarium


 
작품보기

 

한국내 대지 소모율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위기상황은 한국 사회 문화전반에 걸쳐 인식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현재까지의 장례와 매장문화의 형태가 심각한 토지소모의 증가를 초래한 것이 사실이다.  통계에 의하면, 국내에서 묘지로 이용되는 토지의 점유율은 전국토의 1%를 상회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생산적으로 전용될 수 있는 토지의 손실은물론 도시면적의 팽창, 교통정체, 그리고 환경파괴와 같은 심각한 문제들을 야기하게 될 것이다.이러한 문제들을조금이나마 완화하는 방법으로써 매장문화 변화의 필요성과 요구들이 대두되기시작했는데, 1997년의 통계를 보면 전체 유가족의

 

30%가 화장을 매장의 방법으로써 채택했으며2000년에는 무려 50%(대도시의 경우 86%)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대지 계획

이 프로젝트는 화장장과,장례식장, 납골당 그리고 주변의 조경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추모공원의 계획을 요구하고 있다. 대상부지는 비교적 울창한 산림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는 완만한 계곡에 위치한다. 계곡으로의 접근은 두 방향에서의 진입이 가능한데, 일반 방문객의 편의를 위한 진입로와 유족들의 프라이버시와 엄숙한 장례를 위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진입로가 그것이다.  공원내 건물들의 배치에 있어서는, 계곡의 흐름과 같은 방향으로 건물들을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계곡의 중앙부분을 열어주어 시각적인 개방성과 시냇물의 자연적 흐름을 유지하려 하였고, 특히 화장장과 장례식장을 계곡상부 교통 진입로의 남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접근의 편의와 함께 계곡의 중심부를 진입로와 주차장으로부터 고요함과 경건함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끔 의도하였다.

 

납골당

납골당은 대상부지의 서측에 남북방향으로 길게 자리잡게 된다. 이 건물은 50,000기의 유골들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이며, 건물로의 접근은 산자락에 위치한 방문객 안내소에서부터 시작하게끔 되어있다. 방문객들은 계곡의 동쪽면을 따라 걷게될 것이며 중앙의 시냇물을 건너 서측에 면한 납골당을 향해 접근하게 될 것이다. 외부 마당들은 낮은 담장들과 지형에따라 구성되는 기단들로정의되어진다. 건물들은 항상 계곡의 축을 향하여 최소한의 입면만을 보여줌으로서 시각과 동선이 자유롭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해준다. 납골당의 건물들은 계곡에서 산으로 이어지는 산세를 보호함과 동시에 방문객과 자연과의 연결을 증진하기 위하여  나누어져 배치함으로써 조선시대 이씨왕조의 종묘에서 사용되었던 것과 유사한 디자인적 방법론을 응용하고 있다.  빌딩의 동선에 관해서는, 개별적으로 조상을 참배하는 경우와 추석과 같은 명절에 대규모의 인원이 방문하는 두가지의 경우를 고려하여 계획되었으며 무엇보다도 방문자들의 다양한 추모의 분위기안에서도 경건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납골당은 경건, 평안, 그리고 자연으로의 회귀 등의 표현에 의해 규정되어질 수 있다. 하얀 대리석 마감과 폐쇄적이며 내향적인 동선 그리고 중앙집중식과 같은, 건축에 있어서 자주 인용되는 ‘기념관’의 형태언어를 사용하는 대신 이번 계획안은 전체적인 유리마감과 외부지향적인 동선 그리고 대지형태에 의해 조정된 형태언어에 의존한다.  이러한 장치들을 통하여 방문객들은 선택적인 동선을 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항상 계곡과 납골당 너머의 자연세계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납골당시설을 지원하기 위한 필요한 부가적 프로그램들은 건물외부에 위치시킴으로서 의례중에 있는 추모자들의 엄숙함이 방해받지 않도록 계획하였다

 

 

   우규승(Kyu Sung Woo)

   우규승 건축사무소, Cambridge, Massachusetts

   MIT 건축대학원 초빙교수

 

 

 

 

 

[학력]

196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 학사

1966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 석사  

1968      콜럼비아대학 건축대학원 건축계획 석사

1970       하버드대학 건축대학원 도시계획 석사

 

[현상설계]

1973       Manchester Street Park 도시계획 국립현상설계 당선

1975       New York Roosevelt Island housing 국립 현상설계 당선

1985       1988 서울올림픽 선수촌 기자촌 국제현상설계 당선

 

[수상]    

1980     Progressive Architecture Award

1984     Presidential Design and Achievement Award: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1997     건축가 협회 New England 지역 우수건축상 수상 (역대수상: 1992, 1993)

1998     Boston 건축가 협회 우수건축상 수상 (역대수상: 1988, 89, 91)

2000     메트로폴리탄 미술관내 한국관 설계로 미국 건축가 협회 New  England 지역

           건축디자인 명예상 수상

 

[출판]                 

환기 미술관 - Architectural Record, 1992                                      

Architecture Magazine, 1990

Whanki Museum, Rockport Publishers, 1999

Museum Architecture, Rockport, 1998

메트로폴리탄 뮤지움 한국관 - The New York Times, 1998

The Architectural Review, 1999

The Wall Street Journal, 1998

Details in Architecture, Images Publishing Group, 1999

Bennington College Houses - Architectural Record, 2002

CASAS Internacional, Kliczkowski Publishers, 1999

Contemporary Asian Architects, Taschen, 1995

The Best of American Houses, Kliczkowski Publishers, 2000  외 다수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