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문화예술 협력단체
윤인선 / 전주대 교수, 불문학
문화의 개념 속에는 필연적으로 그 내용의 다양성이 존재한다. 왜냐하면 문화적 활동이란 개인적 자유의 영역, 즉 주관성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문화는 여러 가지 문화형상 - 예술, 언어, 학문, 종교, 법률, 정치조직, 습관, 경제, 기술 등 문화를 구성하는 요소- 이 일정한 질서에 따라 결합하고 관련되어 통일적이고 전체적인 구조를 이루는 데에서 성립한다는 것을 감안할 때, 그 토대가 되는 민족이나 국가를 단위로 하여 나름대로의 통일성과 집단성을 지닌다. 이러한 문화에 있어서 다른 민족 또는 다른 국민의 문화교섭과 접촉으로 인한 상호간 또는 일방적인 영향은 중대한 의의를 가진다. 곧 민족 또는 국민 문화간에 빈번하고도 활발한 교섭과 접촉이 있을 경우에는 문화가 융성하여 우수한 문화가 생겨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유럽은 문화 협력 단체를 통하여 각 국가 간에 활발한 문화적 접촉과 교섭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유럽이란 유네스코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오스트리아, 벨기에, 사이프리스(지중해 동부에 있는 영국령의 섬),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교황청,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이탈리아, 릭텐스타인(독일과 스위스 사이에 있는 소후국), 룩셈부르크, 말타(지중해에 있는 영국령의 섬),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칼, 스웨덴, 스위스, 터어키, 영국 등 서유럽을 말한다. 유럽문화는 아직도 고도의 세계성이라고 할 수 있는 특질을 가지고 있다 할 수 있는데, 이는 유럽 문화의 소산이 오늘날 우리 자신의 것처럼 의심 없이 사용되고 있다는데서 여실히 드러나는 것이다. 이는 바로 문화의 전통이다. 유럽 각 국가 간에 문화 협력을 통하여 과거 그 찬란한 문화의 영광과 전통을 지키려는 노력은 유럽의 문화 협력 단체의 활동으로 나타난다.
그 단체들로는 먼저 대표적인 기관으로 유네스코(Unesco), 유럽 심의회(Council of Europe), 유럽 공동체(European Communities)를 들 수 있고, 그 외 각 행정부간의 협력 기구들로 국제 노동 기구(ILO :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서유럽 연합(WEU : Western European Union), 세계 지적 소유권 기구(WIPO :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 ation) 등이 있다. 또한 유럽의 각 지역에 따라 그 특성에 맞게 이루어지는 문화 협력 기구들이 있으며 문화 발전을 위해 결성된 재단(foundation)이 있다. 여기서는 먼저 이 언급된 기구들에 대하여 그 조직과 활동 사항 등에 대하여 소개하고, 다음에 문화의 각 분야별로 이루어져 있는 문화, 예술 단체에 대해 언급하겠다.
먼저 유네스코는 1946년 20개 국가로서 창설된 국제연합 산하의 교육, 과학, 문화기구로서, 그 본부를 파리에 두고 있다. 현재 (1950년에 초 기준) 회원국은 160국이며 우리나라는 1950년에 가입하였다. 문화 부문에 있어서 주요 부분은 바로 상호의존적인 두 가지 과제인데, 그것은 서로의 풍요를 위한 세계의 각 문화간의 교류를 증진하는 것과 각 사회마다의 문화적인 동일성을 받아들여 그 독창성을 보존하는 것이다. 유네스코의 조직 내에는 문화 증진을 위한 국제 기금(International Fund for the Promotion of Culture)이 있어, 각 지역 또는 국가 간의 협력, 예술행위, 또는 국가적 문화활동의 증진을 위한 계획에 기술적, 재정적 도움을 준다. 지역과 관련된 대표적 사업으로는, 문학 번역 사업, 세계적 유산 보존 사업, 유럽 문화 보존 사업(유럽 문화자료 은행 결성), 문화 발전 문제에 대한 유럽 공동 연구, 문화 정책에 있어서의 행정적, 조직적, 재정적 문제에 대한 공동 관심사에 대한 연구 등을 들 수 있다. 유네스코는 사업과 관련하여「유네스코연감」등 많은 출판물을 내고 있다.
유럽심의회는 그 본부를 프랑스의 스트라스부르에 두고 있으며, 1949년에 결성되어 회원국은 유럽 공동시장의 10개국을 포함한 서유럽의 21개국으로 되어 있다. 유럽의 화합을 증진하고, 민주주의와 인간의 권리를 보호하며, 생활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이 기구는 광범한 분야에서 유럽의 정부 간, 그리고 의회간의 협력을 관장하는데, 그 중 문화사업에 주력한다. 유럽심의회의 구조를 살펴보면, 각 국의 의무부장관들로 구성되어 유럽심의회의 정치적 결정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각료 위원회와, 각 국회의 연장이랄 수 있는 의회가 기본이 되고 있다.
의회는 나름대로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다양한 위원회를 갖는데, 그 중 하나가 문화 교육 위원회다. 이 위원회는 건축 및 미술 유산, 청년과 관계된 문제들, 스포츠, 유네스코와 또 다른 국제기구들과의 관계, 유럽의 문화 협력과 동서 협력, 교육, 예술과 예술가들(표현의 자유 포함), 전기 통신, 유럽 외에서의 문화 기구들 사이의 협력, 유럽에서의 소수민족어와 방언으로 발생하는 교육과 문화의 문제를 다룬다. 각료 위원회와 의회를 기본으로 구성되는 사무국은 하부 전문기관으로 스포츠, 문화, 교육국을 두고 있는데, 이것은 교육과 스포츠에 관계된 사업뿐만 아니라 유럽의 문화유산을 보호 육성하고 대중에게 보다 더 잘 인식시키기 위한 활동을 한다. 또한 현재, 유럽 미술 전시회, 문화 산업의 역할에 대한 연구, 도시에서의 문화 정책의 비교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다.
유럽 심의회가 1954년 채택한 유럽 문화 협정을 유럽의 공동 문화유산을 위한 각 국가의 기여를 고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문화 협력 심의회를 1961년 결성하게 하였다. 이 기구의 1984년 사업계획의 주안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각 지역 수준에서 문화정책을 도울 수 있게 하기 위한 지역 발달 원조, 문화사업과 문화 정책에 대한 요람 발간, 문화발달 분야에서 연구원과 자료학회 사이의 공동연구, 유럽의 영화 예술적 유산의 보호, 유럽에서의 영화 공동분배의 문제, 시청각 언어 교육, 유럽의 문화적 표현-전통적인 또는 현대적인-을 비교, 확산시키고, 하나의 문화적 공동 유산을 물려받은 여러 국가로 이루어진 한 집단에 속하는 감정을 강화시키기 위한 유럽 예술 전시회, 유럽의 아동연극 제2차 모임, 성인 교육 등. 문화 협력심의회의 위와 같은 사업은 문화 분야에 있어서 유럽심의회가 하고 있는 사업을 말해 주는 것이다. 유럽 심의회 내부의 다른 문화기구들로 유럽의 각 지역 상임협의회, 유럽 청소년 센터, 청소년을 위한 유럽 기금, 비정부 차원의 국제 기구들이 있다. 또한 유럽 심의회는 「문화 정책」,「광장」등 문화 사업에 관한 출판물을 발행하고 있다.
유럽공동체는 유럽 경제 공동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유럽 원자력 공동체의 일반적 총칭이다. 현재 10개국으로 되어 있는 유럽 공동체는 그 주요 기관으로 14명으로 구성된 위원회, 10 가맹국의 정부 대표로 구성된 각료 이사회, 각 국에서 직접 선출된 434명으로 된 의회, 그리고 공동체의 기본이 되는 로마조약의 해석, 적용을 결정짓는 재판소 등이 있다. 공동체의 중요기구의 회의는 브뤼셀, 룩셈부르크, 스트라스부르에서 개최된다. 로마조약은 문화에 대해서 특별히 장을 할애하진 않고 있지만 위원회와 재판소의 판단에 따라 문화상품과 문화에 관계하는 사람들에게 적용될 수 있다. 1969년에서부터 1983년 사이에 있었던 공동체 국가 정상들의 일련의 회담은 문화 분야에 있어서 공동체의 좀 더 특별한 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위원회가 '문화와 발전'을 지키기 위하여 활동하도록 고무하였다. 1977년에 열린 각료 이사회의 첫 번 회담에서, 위원회는 그것이 '문화 영역에 있어서 공동체 사업'의 틀 안에서 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지적하였으나 그 제의는 몇 회원국에서 능력의 문제로 인한 거부 반응을 받았다. 그래서 '문화 영역에 있어서 공동체 사업'과 '유럽의 문화 협력'사이의 관계는 아직 명쾌하게 정립되지 않은 것 같다.
1982년에 있었던 이사회와 의회의 두 번째 회담에서 위원회는 '문화 영역에서 공동체 사업의 강화'를 내걸고 그 사업에 좀 더 체계적인 성격을 부여하여 네 분야로 나누었다.
첫째, 문화용품의 자유로운 교환이다. 예술 작품, 악기, 또는 필름, 카메라 등의 이동은 아직도 여러 가지 장애로 어렵게 되어 있다. 유럽 위원회는 이미 예술작품의 자유 거래를 쉽게 하는 조정안을 제의하였고, 로마조약은 회원국들에게, 몇 몇 조건 하에서는, 예술적, 역사적 또는 고고학적 중요성을 지닌 국가적 보물의 수출을 제한 또는 금지시키고 있다. 거래의 자유도 훔친 물품에는 적용될 수 없으므로 위원회는 도난품목록을 만들어 봉사하고 있다.
둘째로, 예술가들의 생활환경과 노동 환경의 개선이다. 예술가들은 자신의 작품에 대하여 저작권을 갖게되는데, 위원회는 예술가의 경제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연구 위원회와는 별도로 저작권에 대한 모든 것을 관장하여, 그들이 안락한 사회적 보장 조건 하에서 일할 수 있도록 힘쓴다. 그들에게 일자리를 주기 위해서는 유럽 사회 기금과 유럽 지역 기금의 힘쓰고 있다.
셋째로, 문화 대중의 확대다. 문화 대중을 확대하고 구제 관계를 강화하며 예술가의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공동체는 회원국 소재 전문기구의 도움을 받아 교환 방문에 역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많은 순회 공연과 교환 전시를 개최하는데, 그 외에 詩의 생산과 소비를 증진시키는 계획도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문화 대중을 확대하는 길은 영화를 보호, 발달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미 유럽 영화 축제가 개최되었었다. 공동체는 현재 유럽 심의회와 협력하여 문학, 연극과 같은 전통적 문화 형식이 영원히 살아 남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을 찾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넷째로, 건축 유산의 보존이다. 이를 위해 공동체는 매년 50종류의 보조금을 지불하고 있다. 또한 대중에게 개방되는 역사적 건물의 소유자에게 세금을 감해 준다든가, 건축물의 오염도와 손상도를 조사하는 일등이 공동체의 환경 보존 계획에 포함된다. 문화란 말은 유럽 경제 공동체 조약의 131조에서 단 한번 쓰여지고 있다. '이 국가들의 주민들을 그들이 갈망하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달로 이끌기 위해서…'라고. 그러나 공동체가 수행하는 문화 영역의 활동비중은 매우 무겁다. 출판물로는 「유럽 공동체의 활동 보고서」등 기관지 이외에, 복제와 그에 관련된 권리, 문화 창조에 관련된 직업의 문제, 문화 산업, 박물관과 연극 그리고 축제, 지역에 따른 체험담, 그 외 다른 주제들 등의 분야로 나뉘어져 문화 영역에 있어서의 40이 넘는 연구가 담겨진 문화 연구 시리즈가 있다.
국제노동기구는 1919년 국제 연맹 내에서 발족하였으며, 현재 140이 넘는 회원국을 갖고 있는 정부 차원의 국제 연합 산하 특수 단체로서 본부는 제네바에 있다. 이 기구의 중요 과업은 노동 조건을 개선하고, 생활 수준을 높이며 풍부한 고용을 증진하는 것이다. 문화 창조 직업을 위한 작업 환경의 개선은 계속적으로 이 기구의 관심 대상이었다. 그 성과 중 하나는 1975년에서 1977년 사이에 '예술가의 지위'에 대한 국제 연구가 유네스코와 협력 하에 이루어진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는 1961년 24개 회원국의 경제, 사회적 번영을 위해 창설된 기구로 본부는 파리에 있다. 회원국은 서유럽 국가들과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일본, 뉴질랜드, 미국 등이다. 이 기구는 정책을 세우는 것을 도와 주고, 나라 발전을 위한 회원국의 노력을 격려하고 조화시키기도 한다. 이 기구를 이끄는 것은 각 국의 대표로 이루어진 심의회다. 문화적 사업이 비록 그 주된 관심사가 아니라 하더라도, 그 활동은 가끔씩 필연적으로 사회, 문화 영역에 들어가게 되는데, 그 예가 1981년에 열린 '오락 활동을 통한 장애 어린이의 사회적 통합과 교육'에 대한 국제 세미나다.
서유럽연합은 1948년에 체결되고 1954년에 재심리된 경제, 사회, 문화 사업에 있어서의 협력과 집단적 자체 방어를 위한 50년 조약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회원국은 벨기에,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등이고, 본부는 런던에 있다. 이 기구의 대부분의 원 기능은 다른 국제 기구(북대서양조약 기구, 유럽 경제 공동체)에 인계되었고, 사회·문화적 사업은 1960년에 유럽 심의회로 이양되었다.
세계지적소유권기구는 1967년에 창설된 후 1974년에 국제 연합의 전문 기구가 되었다. 현재 회원국은 90이 넘는다. 이 기구의 과업은 전 세계 지적 소유권의 보호와 여러 가지 조약에 의해 성립된 연합체들 사이의 행정적인 협력의 관장이다. 이 조약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산업 재산의 보호를 위한 파리 협정과 문학 예술 작품의 보호를 위한 베른 협정, 그리고 연주자, 레코드 생산자, 방송 기구 - 이들은 WIPO, ILO, 유네스코의 공동 관할 대상이다-를 위한 로마 협정이다.
이제 유럽의 각 지역에 따라 이루어지는 문화협력 기구를 살펴보겠다. 유럽에서 각 지역 사이의 국가 간 문화 협력은 일반적 성격의 기구들의 구조 내에서 결성된다. 그 중 오랜 전통을 가진 것으로 스칸디나비아문화협력이 있는데, 이것은 주로 문화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지역적 하부구조다. 다음에 언급되는 정부 차원과 비정부 차원의 모든 기구들은 유네스코와 유럽 심의회와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북유럽 지역이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의 5개국으로 나뉘어져서 나름대로의 언어와 역사, 힘을 보유하는 문화가 스칸디나비아 문화다. 이 지역에서 문화적 접촉을 증진하고 협력을 강화하려는 욕망은 19세기에 대학에서 생겨나서 곧 대중의 지지를 얻게 되었다. 문화 영역에서 정부 차원의 기구로 처음 결성된 것은 스칸디나비아 문화 위원회(Nordic Cultural Commission)다. 회원은 스칸디나비아 각 국의 고급 행정관리, 학자, 교수, 편집인, 예술가 등 문화, 교육, 학술 영역의 전문인들인데, 이 기구는 각 정부 차원에서 스칸디나비아 협력의 가능성을 문의하는 자문기관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1952년 덴마크,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이 창설한 스칸디나비아 심의회(Nordic Council) 역시 각 정부에 스칸디나비아 협력 발전을 문의하고 토의하는 자문기구로서 1955년에 핀란드도 가입하였다. 1971년에는 스칸디나비아 문화협정(Nordic Cultural Agreement)이 조인되었다. 이 협정에서 5개 조인국들은 스칸디나비아의 문화적 공동체의 발달을 추구하고, 교육, 문화연구, 그 외 문화 활동 등의 영역에서 각 국의 공동 연구를 활발히 하고자 하는 의도를 표명하고 있다. 또한 이 협정에는 스칸디나비아의 문화 생활을 외부 세계에 소개하고 국제 문화 협력에 참여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심의회는 5개의 상임 위원회를 두었는데, 그 중 하나인 문화 위원회(Cultural Committee)의 업무가 과중해지자, 상임기구인 스칸디나비아 각료, 심의회(Nordic Council of Ministers)와 스칸디나비아 상급 관리 위원회(Nordic Committee of Senior Officials)가 문화 위원회를 대신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두 위원회를 지원하는 스칸디나비아 문화 협력사무국(Nordic Secretariat for Cultural co-operation)이 생겨서 기초적 예산을 대주었다.
스칸디나비아 문화 협력의 주된 영역은 문화, 연구, 교육이다. 문화 사업의 범위는 회원국들의 방대한 문화 정책 내에서 새로운 관념의 발달과 함께 변한다. 연구분야는 스칸디나비아 협력 중에서 가장 제도화된 분야로 협력을 위한 수요가 특히 1970년대 후반에 들어 더욱 증가하였다. 교육 협력의 중요 목표는 스칸디나비아 내의 문화의 이해를 증진시킴으로써 이웃 나라의 언어, 문학의 교육이 교육의 모든 차원에서 도움 받도록 하는 것이다. 이외에 스칸디나비아 문화 협력 사업이 세부적인 사항을 들자면, 문학, 미술, 음악, 연극 등의 독자성을 인정하면서 제도적 차원에서 협력 도모, 문학서의 번역 및 출판, 연극의 교환 공연과 공동연습, 음악에 있어서 교환 연주 및 정보의 교환, 회화에 있어서 전시회 개최와 작업실 제공, 공동 인공위성을 통한 TV와 라디오 등의 방송 협력 등을 들 수 있다. 문화 협력 차원에서 결성된 스칸디나비아 공동협회는 그 수가 많은데, 이를 문화 분야와 학술 분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문화 분야의 협회로는 스카디나비아 미술 협회(Nordic Art Association), 스칸디나비아 미술 센터(Nordic Arts Centre), 스칸디나비아 심의회 음악상 위원회(The Nordic Council Music Prize Committees), 스칸디나비아 음악 협력 위원회(Committees for Nordic Music Coo- peration), 스칸디나비아 연극위원회(Nordic Theatre Committee), 스칸디나비아 아마추어 연극 심의회(Nordic Amateur Theatre Council), 스칸디나비아 심의회 문학상 위원회(The Nordic Council Literature Prize Committee), 스칸디나비아 저널리즘 학회(Nordic School of Journalism), 스칸디나비아 언어 사무국(Nordic Language Secretariat), 스칸디나비아 언어 정보 센터(Nordic Language and Information Centre), 스칸디나비아 청소년 협력 위원회(Nordic Youth Cooperation Committee) 등이 있다. 그리고 학술 분야의 협회로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대중 통신 연구에 대한 정보를 다루는 스칸디나비아 대중 통신 연구 자료센터(Nordic Documentation Center for Mass Communication Research), 그리고 민속과 전통 분야에 관한 연구를 주임무로 하는 스칸디나비아 민속 협회(Nordic Institute of Folklore)가 있다. 또한 그 외에 스칸디나비아 도시 및 행정구 계획 연구 협회(Nordic Institute for Studies in Urban and Regional Planning)와 스칸디나비아 영화 연구소 (Nordic Film Seminars)도 있다. 위에 열거한 많은 기관들은 나름대로 연구 책자를 출판하고 있다.
스칸디나비아 지역 외에 지역적인 특성을 갖는 기구로서, 유럽의 국경지대의 공동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유럽 국경지역 협회(Association of European Border Regions)와 알프스산맥과 접해 있는 이탈리아, 스위스, 오스트리아, 독일로 구성되어 알프스 지역을 위한 활동 그룹(Working Group for Alpine Regions), 그리고 전 세계의 불어 사용국이 문화를 발전시키고 그들 사이의 문화 협력과 친목을 도모하기 위해서 1970년 창설한 문화 기술 협력 기구(Agence de Cooperation Culturelle et Technique)가 있다. 이들 기구들은 모두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해 유럽의 문화권으로부터 독립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한 부분으로서 문화 협력을 도모한다.
유럽의 문화 발전과 협력을 위해 유럽에는 또한 유럽재단(The European Foundation)과 유럽 문화 재단(European Cultural Foundation)을 위시하여, 유럽 지역과 관련된 재단들이 있다.
유럽재단은 1975년, 유럽 공동체 내에서의 공동 문화유산과 국민들의 유럽적 일체감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설립이 제창된 후, 1982년 유럽 공동체 10개국 외무부 장관의 조인으로 발족되어, 현재 그 협정은 각 국 의회에서 비준 과정에 있다. 유럽 재단은 그 기본 자금을 유럽 공동체로부터 받고 그 외에 개인이나 공공기관으로부터 기부를 받는다. 이 재단의 주된 기구는 심의회와 시행 위원회이며, 현재는 단지 준비 위원회가 파리에서 그 업무를 보고 있을 뿐이다. 이 재단이 추구하는 목표는 유럽 경제 공동체의 국민들 사이의 상호 이해의 증가와 다양함과 통일성을 갖는 유럽의 문화 유산에 대한 좀 더 나은 지식의 증진, 그리고 유럽적 통합에 대한 더 큰 이해를 도모하는 것이다. 문화 사업과 관련된 재단의 과업은, 공동체 국가들이 그들의 공동 문화 유산을 보존하고 발달시킬 수 있는 방법의 연구, 공동체 국가들의 언어 연수의 장려 등이다. 이러한 과업은 특히, 청소년을 위한 활동, 문화적인 견지, 정보와 시청각적 방법, 언어 연수의 네 분야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이 재단이 활동을 시작하면, 다른 기구들과도 협력하여 왕성한 사업을 수행할 것이다.
유럽문화재단은 1954년 제네바에서 창설된 민간 국제기구인데 1960년 암스테르담으로 옮긴 후 네덜란드 법의 보호아래 있다. 이 재단은, 문화, 교육, 환경, 국제 사건, 사회 문제 등 유럽 국가들의 상호 이해와 국가 간의 활동 증진을 목표로 한다. 사업 수행은 유럽 심의회, 유네스코, 국제연합, 국제 노동 기구, 다른 재단들 등의 기구들과 상호 협력 하에 이루어진다. 재단의 구조는 크게 정책자 회의(Board of Governors), 재정 집행 위원회(Executive and Finance Committees), 사무국(General Secretariat)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업무 수행 시에는 다음의 기구들이 관계한다. 곧, 각 국의 국가 위원회(National Committees),유럽 협력 기금(European Institute for European Environmental Policy) 등과 협력하여 재단 목표에 맞는 사업, 곧 회의 개최, 다양한 출판, 연구 작업, 도서관 경영, 각 국의 위원회로부터 새로운 정보의 수용, 유럽 환경 영화 축제와 유럽 청소년 경연대회(음악 분야)의 개최 등을 수행한다. 출판물로는 「年鑑」등과 수행 사업에 관한 연구 책자들이 있다.
그 외에 유럽 지역과 관련된 재단들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유럽의 재단들과 그 최고 책임자들의 협력체로서 1971년 창설된 헤이그 클럽(The Hague Club), 구조상 재정과 행정이 분리되어 운영되고 집행위원회는 파리에 있으며 1982년 창설된 비영리 단체인 유럽과학 미술 문화 재단(European Foundation for Science, Art and Culture), 프랑스 공동체인 벨기에에서, 그리고 유럽과 국제 문화 협력에서 사회 문화적 발달에 기여하는 출판, 연구 계획을 원조하고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1980년 창설된 비영리 단체인 문화적 민주주의를 위한 마르셀 익떼르 재단(Foundation Marcel Hicter pour la Democratie Culturelle), 산 죠르지오 마기오레 (San Giorgio Maggiore)섬과 베니스의 복구를 위해 1951년 설립되어 그 곳과 관련된 교육, 사회, 문화, 예술 기구의 창립을 도모하는 시니 재단(Cini Foundation), 포르투갈에 우선권을 주기는 하지만 자선, 예술, 교육, 과학 활동의 증진을 목표로 하며 1956년 창설된 국제 규모의 민간 재단인 칼루스트 굴벤키안 재단(Calouste Gulbenkian Foundation), 국가적으로나 국제적으로 교육 문화 부문에서의 성취를 돕기 위해 1965년 창립된 페테르 스튜베산트 재단(Peter Stuyvesant Foundation), 그리고 1931년 창설되어 포상, 장학금, 출판지원, 회의 등을 통하여 유럽에서 의 문화적, 학문적 성과를 높이고 문화유산과 환경을 보호하는 사업을 하는 F. V. S. 재단 (F. V. S. Foundation)
유럽의 문화 협력에 있어서 비정부 차원의 단체들이 문화 정책의 수행에는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 단체들의 대부분은 유럽 심의회나 유네스코와 밀접한 협력 관계를 이루고 활동을 한다. 이들 중 중요한 것들을 문화의 각 부문별 일반 단체, 문화 연구 등 예술가를 위한 법적·사회적 도움, 문화 유산, 문학, 시각예술, 음악, 공연예술, 건축환경 디자인, 영화, 방송 신문, 여가 등 문화 행사, 기타로 나누어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단체
유럽 미술, 과학, 인문 아카데미(European Academy of Arts, Sciences and Humanities), 유럽 문화 센터(European Cultural Centre), 문화의 상호 교환 유럽 연맹(European Federation for Intercultural Learning)
2. 문학연구, 자료조사, 통계
유럽 문화 자료 은행(European Cultural Data Bank), 유럽 교육 관계 자료 조사와 정보 시스템(European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System for Education), 문화 발달을 위한 자료 조사, 정보, 연구센터(Clearing House Research Centre for Cultural Development)
3. 예술가를 위한 법적, 사회적 도움
탄압 받는 희생 예술가 보호 국제 협회(Association Internationale de Defense des Artistes Victimes de la Repression dans Ie monde), 국제 저작권 정보센터(International Copyright Information Centre), 국제 저작권 협회(International Copyright Society), 국제 노동기구, 세계 지적 소유권 기구.
4. 문화유산
도시 건축 유산 보존의 유럽 연구 센터(Centre for European Studies Conservation of the Urban Architectural Heritage), 유로파 노스트라(Europa Nostra), 국제 城 협회(Inter- national Castles Institute), 국제 박물관 심의회(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국제 고문서 심의회(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국제 예술 작품 보호 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Works of Art), 국제 환경 연구와 보존을 위한 청소년 연맹(International Youth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Studies and Conservation)
5. 문학
유럽 번역가 센터((European Translator's Centre), 유럽 작가 대회(The European Writers Congress), 국제 시 협회 연맹(Federation of International Poetry Associations), 국제 문학 비평가 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Literary Critics), 국제 PEN(International PEN), 국제 출판인 협회(International Publisher's Association ), 국제 독서 협회(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6. 시각예술
유럽 사진작가 연맹(Federation of European Photographers), 그래픽 디자인 협회 국제 심의회(International Council of Graphic Design Associations), 국제 사진 예술 연맹(Interna- tional Federation of Photographic Art)
7. 음악
유럽 음악 페스티발 협회(European Association of Music Festivals), 유럽 피아노 교수 협회(European Piano Teachers Association), 국제 음악 경연 연맹(Federation of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s), 전통 음악 국제 심의회(Inter 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국제 음악가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Musicians), 국제 비교 음악 연구와 자료 조사 협회(International Institute for Comparative Music Studies and Documentation), 국제 재즈 연맹 (International Jazz Federation), 국제 음악 센터 (International Music Center), 국제 음악 심의회 (International Music Council)
8. 공연예술
국제 연극 비평가 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Theatre Critics), 국제 무용 심의회(International Dance Council), 국제 배우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Actors), 국제 연극 협회(International Theatre Institute)
9. 건축, 환경, 디자인
유럽 환경 사무소(European Environmental Bureau), 국제 산업 디자인 심의회(International Council of Societies of Industrial Design), 국제 건축가 연합(International Union of Architects)
10. 영화
국제 카톨릭 영화 기구(International Catholic Film Organization),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국제 영화 센터(International Centre of Films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국제 영화·TV심의회(International Film and Television Council)
11. 방송, 신문
유럽 저널리스트 협회(Association of European Journalists), 유럽 방송 연합(European Broadcasting Union), 국제 편집장 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Chief Editors), 국제 신문 협회(International Press Institute), 국제 라디오·TV기구(International Radio and Television Organization)
12. 여가, 애니메이션, 사회 문학적 발달
유럽 성인 교육 사무소(European Bureau of Adult Education), 유럽 청소년 센터(European Youth Centre), 세계 여가 및 오락 협회(World Leisure and Recreation Association)
13. 유럽지역에서의 문화행사와 페스티발
유로팔리아 예술 페스티발(Europalia Festival des Arts en Belgique), 유럽 문화 도시(Eur- opean Cultural City), 유럽 영화 페스티발(European Film Festival)
14. 기타
유럽의 움직임(European Movement), 국제 미래학 연구가 협회(Futuribles International)
이상 유럽의 문화 협력 단체의 소개는 C. I. R. C. L. E.(Cultural Information and Research Centres Liaison in Europe)에서 간행한 유럽의 문화 사업 안내서(Handbook of Cultural Affairs in Europe), Nomos Verlagsgesellschaft, Baden - Baden, 1985를 참고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