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노말Abnormal
변태, 이상, 병적의 뜻. 노말Normal의 반대어. 세기말 문학에서 탐미주의나 근대의 고뇌를 노래한 데카당스의 작품에 그런 경향이 있다.
●부조리 Absurd
조리에 맞지 않음, 이치에 어긋남을 뜻함. 실존주의적인 용어로 인간이 자기 자신의 존재 의의를 상실하여 무목적, 무의미, 충동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 말은 까뮈의 「시지프스의 신화」에 의해 대두되었으며 이후 에슬린M.Esslin에 의해 「부조리극」이라는 용어가 일반화되었다.
부조리의 대표적 작품으로 까뮈의 「이방인」이 있으며 전형적인 부조리극으로는 「고도를 기다리며」를 들 수 있다.
●유미주의Aethleticism
19세기 후반 유럽에서 일어났던 문예사조의 하나. 탐미주의라고도 함.
흔히 「예술을 위한 예술」로 아름다움만을 최고의 목적으로 신봉한다.
이론적 기초는 칸트, 셸링, 괴테, 실러 등에 의해 다져졌다. 프랑스에서는 보들레르에 의해 고조되었고, 영국에서는 페이터, 라파엘로에서 오스카 와일드에 이르면서 가장 화려한 꽃을 피웠다.
●아지 프로문학Agitation Propaganda
어떤 사회적인 그룹이나 계급의 선동·선전을 목적으로 씌여진 문학 혹은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민중을 선동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어.
●아라모드 문학Alamode Literatur
여러나라 특히 프랑스 문학을 모방하거나 재간이 없는 문학을 멸시해서 쓰는 말이다.
17세기 30년 전쟁 후 독일은 프랑스의 오락문학, 여행기 등을 모방했는데 이러한 경향에 대하여 주류에 속하지 않는 사람들.
●알레고리Allegory
비유·풍자·우화 등의 뜻. 그리스어의 알레고리아allegoria에서 유래된 것으로 표면에는 인물과 행위, 배경 등의 이야기 요소를 갖추고 있으나 이면에는 반드시 정신 또는 도덕, 역사적 의미 등의 주제의식이 깔려 있다.
이런 수사법을 사용한 작품으로 번연J.Bunyan의 「천로역정」「장미이야기」등을 들 수 있다.
●두운Alliteration
시에서 어두를 같은 음으로 반복하는 수사법. 영시에 쓰이는 압운의 하나.
●아나크로니즘Anachronism
작품 속에 나타나는 시대착오를 뜻함. 그리스어의 아나ana와 크로노스khronos의 합성어.
주로 사극이나 역사소설 등에 주로 나타난다. 그 시대의 생활양식이나 시대의식보다 앞서가거나 뒤떨어지는 등 그 시대와 동떨어져 있는 것.
●동화체Anderinglich
심리소설에 주로 쓰는 문체.
문장주체가 현실 속에 들어가 현실과 동화되어서 그것을 문장으로 만든 문체.
●앤솔리지Anthololgy
사화집, 시가선집. 일반적으로 고금의 우수한 시나 산문을 모은 책이다.
그리스어의 꽃anthos+수집logia의 합성어로 기원전 90년 경 멜레아그로스의 「에피그람Epigram」이 최초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악학궤범」「악장가사」등도 문학적 측면에서만 본다면 사화집이라고 할 수 있다.
●아포리즘Aporism
간결한 말속에 깊은 체험적인 진리가 교묘하게 표현된 단문.
금언, 격언, 잠언 등이 여기에 속하며 니이체F.Nietzche, 파스칼B.Pascal등이 대표적인 사람이다.
●계시문학Apocalyptic Literature
후기 유대교와 초기 그리스도교 사이에서 이루어진 어떤 특수한 경향을 띤 종교문학.
대개 상황이 급변하는 시대, 위기가 고조되는 시기에 대두되는 경향이 있음.
이런 유형의 문학으로는 구약의 「다니엘서」, 신약의 「묵시록」등이 대표적.
●아케이즘Archaism
의고체. 작품에서 이미 고어가 된 말을 이용해서 독특한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뜻함.
●아스팔트 문학Asphalt Literatur
나찌스 정권하에서 반나찌스적 문학에 대하여 나찌스 측에서 붙인 이름. 그당시 문학의 사회주의나 인터내셔널한 코스모폴리탄적 경향의 문학에 대하여 향토감, 국가관이 결여된 것으로서 나찌스가 그렇게 명명, 금지시켰다.
●아방 게르Avant-guerre
제1차 대전 전의 예술상의 모든 사조로 자연주의, 현실주의, 인상주의를 포함하는 말.
2차 대전 후 아프레 게르에 대하여 낡고 비민주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발라드Ballade
자유로운 형식의 짧은 서사시로 영국·프랑스·이태리·독일 등에서 행해진 고대의 시형이다.
내용은 그 형식에 있어 주로 고대 서사시의 전통을 본떴기 때문에 극적인 이야기로 되어있다.
●베스트 셀러Best-seller
원래 가장 잘 팔리는 물건을 뜻하는데, 보통 잘 팔리는 책을 의미한다.
유행에 따라 베스트 셀러는 달라질 수 있다.
●전기Biography
문학의 한 장르로 한 개인의 생애·행적 등 개인의 역사를 기록한 글.
보통 전기에는 자서전, 자서전적 소설, 전기문학, 전기소설 등이 모두 포함된다.
처음에는 주로 교훈을 목적으로 쓰여졌으나 차츰 개인의 인간성 내지는 시대정신을 표현하려는 경향으로 발전 되었다.
전기가 본격적인 문학 장르로 등장하게 된 것은 18세기 경 존슨에 의해서였다.
대표적 전기로는 플루타크의 「영웅전」을 비롯 모르와의 「셸리의 생애」, 보즈웰의 「존슨 박사의 생애」등을 들 수 있다.
●무운시Blank Verse
명시의 한 형식으로 리듬의 제약없는 억양 5보격의 시형.
영국의 시인 서리E.Surrey에 의해 최초로 시작되었으며 그 이후 세익스피어의 극, 밀턴의 실락원」, 워어즈워어드의 「서곡」, 키츠의 「하이페리온」등에서 그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
희곡, 서술시, 극시 등의 기본적 형식이 되었으며 자유시의 모태를 이루었다.
●청탑파Blue-stocking
사교계의 부인들이 푸른 양말은 신었다는 데에서 유래된 말로 18세기 런던의 사교계에서 문학에 취미있는 부인들을 조롱해서 하는 말. 나중에 진보적 여성을 비하해서 부르기도 하였다.
●고전Classic
옛날의 작품이나 서적 등을 뜻함.
라틴어의 클라시쿠스Classicus에서 유래된 말로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대표적인 저술을 가르킨다.
그러나 오늘날은 그 뜻이 넓어져 오랜 세월을 겨쳐 현재에 이르러서도 높이 평가되는 작품을 뜻한다.
●비교문학Comparature Literature
한 나라의 문화와 타국의 문화와의 관계, 즉 문화의 교류 및 그 영향 관계를 연구하는 문학이다.
비교문학이 문학연구방법으로 대두된 것은 1920년대 말 경 소르본느 대학에서 A.F.빌만이 비교문학 강좌를 개설하면서 부터였다.
이 비교문학은 세계 제2차 대전 후 미국에서 좀더 확대된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기상Conceit
문학에 있어 상상의 한 형식을 뜻하였으나 직유나 은유 가운데 잠재된 비교의 한 방식으로 가르키기도 한다.
16,17세기 영국의 형이상학파들이 즐겨 쓴 수사학의 한 방법.
●고백문학Confessional Literature
자기 자신의 내·외적 생활의 잘못이나 약점 등을 거침없이 드러낸 문학.
대표적 작품으로 루소의 「참회록」을 들 수 있다.
●콘트라스트Contrast
대조. 문학작품에 있어서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자연과 인생, 선과 악, 신과 구 등 상반되는 것을 대조적으로 그려 효과를 내는 것.
●델리커시Delicasy
문학에 있어 표현상이 섬세한 정교함, 우아함을 말하는 데 쓰이는 용어.
●묘사Descripion
서술양식의 하나. 문장에서 대상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것.
●디테일Detail
작품에 그려진 각각의 부분을 가르키며 인물묘사나 테마에 직접 연관이 없는 삽화 등을 뜻한다.
디테일의 많고 적음은 작품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친다.
●탐정소설DetectiveStory
범죄적 사건을 탐정·추리하는 흥미를 줄거리로 하여 이루어진 소설의 한 형태.
본래 이 탐정소설은 19세기 중반 경 포우E.A.Poe의 「모르그가의 살인사건」에서 비롯되었으며 그 밖에 도일C.Doyle, 르블랑M.Leblanc등의 작품이 있다.
●도큐멘트Document
참고자료란 뜻으로 라틴어의 문서, 증서의 의미에서 유래된 말이다.
이것은 문학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기록문학Documental Literature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기록한 문학. 르포르타지, 보고문학이라고도 한다.
●이모우셔널리즘Emotionalism
정서를 중시한 전통적 경향의 문학. 모더니즘Modernism의 대어(對語).
●각운End Rhyme
시운율의 하나. 시구의 끝에 다는 운.
정형시에서 많이 사용. 각운에 대한 규칙은 한시와 영시에서 엄격하게 지킴.
●앙가제의 문학Engagee Literature
2차 대전 당시 프랑스의 레지스탕스운동 시대에 발랄한 문학. 정치에 대한 봉사적 의미를 지닌 문학.
●서사시Epic
현실이나 가정의 사건을 객관적으로 기술한 시. 원래 이것은 「이야기 된 것」으로 민족이나 국가·사회집단의 역사적인 사건. 특히 영웅의 사적을 장시화하여 꾸민 것이다.
●에피그램Epigram
경구. 원래 묘비나 종교적 기념물에 쓰여진 짧은 사문(詞文)을 의미했는데 예리한 글귀에 기지와 풍자가 곁들여 있으면서 간결해야 한다.
●에피소우드Episode
어떤 사람의 아직 남에게 알려지지 않는 흥미로운 이야기. 일화 또는 여러 이야기 가운데 일부분의 이야기를 칭할 때도 쓰인다.
●유페미즘Euphemism
장식체, 미문체, 미사여구를 사용한 문장으로 16∼17세기에 영국에서 유행되었다.
●수필Essay
어떤 형식에 구애를 받지 않고 마음속에 내포하고 있는 이야기들을 솔직하게 표현한 산물.
영어의 에세이essay는 프랑스어의 essai에서 온 말로 계량하다, 음미하다의 라틴어 엑시게레exigere에서 온 말이다.
서양에서는 프랑스의 몽테뉴의 그의 「수상록Les Essais」에서 「에세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썼으며 동야에서 중국 남송 때의 홍매(洪邁)가 쓴 「容齋隨筆」에서 이 말을 썼다.
수필은 크게 에세이와 미셀러리로 나눌 수 있는 데 전자에는 객관적이며 사회적·논리적 성격을 지닌 소평론 등이 포함되며 후자에는 신변잡기, 즉 감정적이고 주관적인 특성을 지닌 좁은 의미의 수필을 뜻한다.
●우화Fable
동식물을 의인화하여 인간 생활의 단면을 풍자하는 뱫은 이야기.
원래 그리스어 알레고리아allegroia에서 유래된 것으로 그 속에는 도덕적인 교훈이 담겨져 있다.
대표적인 우화로는 「이솝이야기」, 퐁덴의 「우화시」, 오웰의 「동물농장」, 우리나라의 「금수회의록」등이 있다.
●민요Folk Song
입에서 입으로 전승되는 노래. 민족적 집단의 노래로서 단순 소박한 민중속에서 자연히 발생한 노래.
민요의 종류로는 노동요·종교요·유희요 등이 있다.
민요는 구전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해지는 동안 그 내용이나 곡조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늘 조금씩 변하여 민요의 주(主)곡조와 내용이 여러 다른 민요들과 혼합되어 증가하기도 한다.
●민담Folk Tale
흥미본위로 이루어진 옛날 이야기. 사람들에 의해 말로 전승되는 것으로 작자가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민담은 민속문화forklore중 가장 문학과 관계 깊은 것으로 고담·동화·우화·소화(笑話)등을 총칭하는 것이다.
기원은 인류초기의 언어생활에서 비롯되었으며 세계 도처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비교문학의 특별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자유시Free Verse
정해진 율격에 관계없이 불규칙한 시행들로 짜여진 운문의 한 형태.
자유시 운동은 휘트만W.Whitman을 중심으로 1880년 이래 프랑스의 보들레르C.Baudelair가 「파리의 우수」에서 자유시의 정신을 주장하여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여러나라로 전파되어 현재는 서정시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역사소설Historical Novel
역사적으로 유명한 인물이나 사건등을 주제로 하여 쓰여진 소설.
역사상의 사물들을 소재로 하되, 주로 작가가 사실에다가 독자의 해석을 가하고, 또 상상력에 의해서 재구성한 것.
서양에서 본격적인 역사소설이 나온 것은 19C초이다.
대표적인 역사소설로서는 이광수「원효대사」,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등이 있다.
●사상시Gedankenlyrik
서정적인 시의 일종이나 정서, 감정, 감각적 지각 없이 사상을 예술적으로 표현한 시.
●그랜드 스타일Grand Style
고전 예술의 특징은 장대하면서도 격조 높은 형식이나 그런 분위기를 띤 작품. 오늘날은 거창하지만 실속없는 작품을 야유해서 쓴다.
●이히 로만Ich Roman
19세기 초 독일문학에 나타난 소설의 한 형식. 작중인물이 일인칭으로 스스로의 생활이나 체험을 말하는 자전적 고백형식의 소설. 일인칭이라 하더라도 방관자의 입장에서 사건을 말하는 경우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아이딜Idyll
전원을 주제로 한 시. 전원을 대상으로한 단시로 그리스에서 발생하였으며 테오크리토스Theocritus가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이미지즘Imagism
1909년 런던에서 흄T.E.Hulme, 파운드E.Pound를 비롯 청년시인들의 모임에서 비롯되어 1971년 경에 이르는 미국과 영국에서 전개된 새로운 시운동.
이들은 첫째, 일상어의 정확한 사용 둘째, 새로운 리듬의 창소 셋째, 제재선택의 완전한 자유 넷째, 명확한 영상의 표현 다섯째, 윤곽이 선명한 시 여섯째, 집중력의 중시 등을 주장했다.
이미지즘은 고담하고 정확한 표현으로써 그 이전의 낭만주의를 포함한 19세기 영미시가 지닌 인습을 탈피하여 현대시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는 데 공헌했다.
●인상비평Impressionistic Criticism
과학적 객관적인 기준에 의하지 않고 작품이 비평자에게 주는 인상에 중점을 두고 직관적으로 하는 비평.
●즉흥시Improvisation
미리 준비함이 없이 그 자리에서 흥에 따라 지은 시로 오늘날은 지적 조작이 없다고 해서 인정하지 않는다.
●계몽주의Illuminism
16세기 말에서 18세기 후반에 걸쳐 유럽 전역에서 일어난 구시대의 묵은 사상을 타파하려는 혁신적 사상운동.
인간의 이성(理性)을 존중하는 교회로 대표되는 구사상의 권위와 특권에 반대하여 인간적·합리적 사유의 자율을 제창하고 이성의 계몽을 통하여 인간생활의 진보·개선·행복의 증진이 가능하다고 믿었다. 프랑스혁명의 사상적 모태가 되었다.
●귀납적 비평Inductive Criticism
문학 비평의 하나.
하나의 설명을 가능한 한 많은 재료들로부터 귀납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유도해 내려는 방법.
●아이러니Irony
풍자, 반어. 말하려고 하는 것의 반대로 표현하여 상대방으로 하여금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방법.
그리스어 아이로니아eironeia에서 유래된 것으로 이 말은 고대 그리스의 희곡에 등장하는 인물 아이론eiron에서 파생된 것이다.
현대 비평에서는 아이러니의 개념을 극적 아이러니와 언어 또는 표현의 범주에 드는 것으로 크게 대별한다.
●재단비평Judical Criticism
18세기 초 영국, 프랑스 등에서 행해지던 문예비평의 하나.
미리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그 기준에 따라 작품을 다루는 비평으로 일종의 형식주의, 막시즘 비평에 좋은 예이다.
●카타르시스Katharsis
그리스어로 배설, 정화의 뜻.
이 말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비극의 속성을 설명한 데에서 비롯되었다.
그에 의하면 비극에 나타나는 주인공의 고민은 관객에게 큰 불안과 연민·긴장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관객들은 이러한 해로운 감정을 배설해 내지 않으면 안된다. 즉 비극을 봄으로써 관객의 마음에 쌓인 울적한 감정을 쏟게 하여 정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전설Legend
옛날부터 전해오는 이야기의 총칭인 설화 중의 하나.
설화 가운데 신격화한 것은 신화라 부르고, 신격이 중심되지 않고 인간과 그 행위를 주제로 한 것을 전설이라 한다.
특징으로는 구체성·체험성·설명성·미약성·신뢰성 등을 들 수 있다.
●리리시즘Liricism
서정주의. 문예작품을 서정적으로 나타내는 문학용어. 일반적으로 영탄조이다.
●로스트 제너레이션Lost Generation
미국문학에서 1차 대전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젊은 세대로 가르키는 말.
미국의 문화적 전통의 결여를 발견하고 고향상실의 비원과 환멸감이 작품 속에서 나타났기 때문에 그들을 로스트 제너레이션이라 불렀다.
●서정시Lyric
주관적인 감정이 중심이 되어 이루어진 시.
리라Lyra라는 현악기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서정시가 시의 독특한 장르로 된 것은 중세의 음유시인들에 의해 개인의 종교적 정소를 사랑의 노래로 띫은 데서 비롯되었다.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버언즈R.Burns, 블레이크W.Balake, 셸리P.B.Shelley등을 들수 있다.
●리리시즘Lyricism
서정성, 서정주의. 시·소설 등에 주로 쓰이며 주관적인 체험을 정서로 펴는 입장에서 표현하는 형식.
주로 사랑, 자연, 인간생활의 희노애락이 제재가 되며 우리나라에서 김소월, 김영랑 등의 시에서 이런 측면을 두드러지게 발견 할 수 있다.
●매너리즘Mannerism
늘 같은 수법에만 집착하여 신선한 맛이나 독창성을 상실한 것.
문학에서는 20세기 문예의 기조를 근대시에서 이루고 있다고보는 사람들에게 매너리즘은 현대 문학 예술의 시원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동화Marchen
동심을 바탕으로 하여 지은 옛날이야기.
아동문학의 시초라고 보는 입장에서 광의로는 아동문학 전체를 뜻하며 동화·동시·동극 등으로 아동문학을 분류하는 입장에서 협의로는 아동문학의 한 장르로 본다.
동화는 설화를 모태로 하고 있지만 단순한 옛날 이야기가 아닌 어린이들을 위해서 예술적 의도로 창작된 것이다.
유럽의 경우 그림형제에 의해 동화가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정리되었고, 우리나라의 경우 「금도끼 은도끼」「선녀와 나무꾼」등의 유명한 전래동화가 있다.
●가면극Mask
가면을 쓰고 하는 연극. 원래 가면의 뜻은 사람이나 동물들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분장구.
서양가면의 기원은 2천 5백년 전 그리스의 디오니소스의 제례행렬에서 발생된 그리스 연극에서 볼 수 있으며 한국가면극의 기원은 9세기 신라 말엽의 오기(五伎)가 그 시초이다.
●회상록Memories
어느 한 개인이 자신의 생애와 관련된 일을 회상하여 서술한 기록.
보통 전쟁·내란 등 변화가 많은 사건들이 그 대상이 되는 수가 많다.
처칠의 「제2차 대전 회고록」, 루소의 「참회록」등이 유명하다.
●은유Metaphor
수사학에 있어서 비유의 하나. 두 개 이상의 사물이나 개념을 다른 사물이나 개념으로 나타내는 것.
주로 시에서 많이 이용한다.
●모티프Motif
작품의 동기된 작가의 중심 사상, 또는 그 사상이 새겨져 있는 소재.
●신화Myth
작가나 기원이 불확실한 신이나 영웅들의 행적 등을 신격화한 이야기.
어원은 그리스어의 미토스mythos로 이야기의 참과 거짓에 관계없이 어떤 상징을 나타내는 구전되는 이야기.
문학에서의 신화는 낭만주위를 상실한 신과 민족과 개개인의 유아기의 신화로 돌아가고 싶은 염원에서 생겼다.
대표적인 신화로「율리시스」 「단군 신화」등이 있다.
●국민 문학National Literature
종족·민족·혈족·언어 등 역사적으로 전승되는 한 나라의 국민성을 바탕으로 해서 이루어진 문학
근대국가의 확립에 의한 국민의식의 앙양을 위해 발생하였다.
국민문학의 선구자로는 단테, 세익스피어, 괴테, 라신 등을 들 수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1920년대 중반기부터 전개되었다.
●나찌문학Nazi Literature
1993년에서 1945년 사이의 나찌 정권 하에서 유행한 독일의 민족주의적 문학.
자국의 혈통과 영토를 신비적으로 찬양, 해외진출과 영웅주의를 고취시켰으며, 대표작가로 요스트 그레암, 그리제 등이 있다.
●네오 리얼리즘Neo Realism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탈리아에서 발생한 것으로 참다운 리얼리즘 문학이란 사회의 현실적인 모습을 추구하는 데 있어서 새롭게 솟아나는 서광이나 모랄이 추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신현실주의, 신사실주의.
●신비평New Ciriticism
1920년대 주로 미국에서 일어난 비평의 하나.
이 비평은 그 방법에 있어 재래적인 요소를 전면 배제하고 작품 그 자체로 평가하기를 주장하엿다.
랜섬J. C. Ransom, 브룩스 C. Brooks, 워렌 R. P. Warren 등이 중심인물이며 새로운 언어분석과 작품의 내부구조를 밝히는 인식·이론을 내세웠다.
●니힐리즘Nihilism
허무주의. 1855년부터 1970년 경 러시아에서 일어난 우상파괴운동에서 유행한 말이다.
문학에 있어서는 인간의 절망이나 허무를 그리면서 거기서 탈출구를 발견하려고 하였다.
●단편소설Novella
소설의 한 형태. 있을 수 있는 일을 단일한 줄거리, 긴밀한 구성, 간결한 형식으로 단일한 효과를 목표로 하는 짧은 이야기.
주로 인생에서 한 단면만을 면밀하게 계획하여 그려내는 서사문예의 일종이다.
단편소설의 창시자는 포우이며, 단편소설short story라는 말을 처음 쓴 사람은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수 매슈즈B.Mathews이다.
●성격소설Novel of Charater
소설 형식의 하나로 어떤 특정시대의 사회, 즉 공간을 중심으로, 사건·행동·시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뉘앙스Nuance
예술작품에서 보이는 복잡미묘한 감정의 차이,음영 (陰影), 분위기, 명암 등을 일컫는 말.
●구비문학Oral Literature
대대로 전하여 오는 말로 된 문학으로 글로 된 문학인 기록문학과 대칭되는 용어.
유동문학, 표박문학, 적층문학이라고 함.
특징은 첫째, 말로 된 문학 둘째, 구연되는 문학 셋째, 공동작의 문학 넷째, 단순하며 보편적인 문학 다섯째, 민중적·민족적 문학 등을 들 수 있다.
구비문학의 범주에는 설화·민요·무학·판소리·가면극·수수께끼·속담 등이 포함한다.
●패러독스Paradox
역설, 논리적으로 모순되나 진리를 말하기 위해 필요한 아이러니컬한 표현법.
●고답파Parnassiem
1860년대 프랑스에서 일어난 유미주의적 경향의 한 시파.
객관주의 강조, 비개인성 중시 등 실증주의의 영향을 받고 낭만주의를 배격했다.
사화집「현대고담집」에서 그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고티에, 방빌 등이 대표적 시인이다.
●풍자Parody
어떤 작가 또는 그 작품의 특징을 풍자적으로 비평하거나 익살스럽게 하기 위하여 어조를 흉내만 시문.
그리스어의 페로디아parodia에 어원을 두고 있으며 패로디의 대표적 작품으로는 18세기 필딩Pielding의 「조셉안들즈」를 들 수 있다.
●전원문학Pastoral
전원의 정경과 생활을 제재로 한 문학. 즉 간접적이든 직접적이든간에 도시와 농촌의 대조를 드러난다.
전원문학 양식의 선구자로는 그리스의 시민 테오크리스Theocritus를 들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현대의 도시문명의 비판을 암시적으로 하면서 반대로 전원생활의 단순·소박함을 옹호하는 문학은 궁극적으로 전원문학과 일맥상통한다.
●개성 Personality
한 개인을 다른 개인들과 구별하는 특성 전제를 가리키는 말.
본래 심리학의 용어였으며, 문학·예술에 이 용어가 사용된 것은 18세기 말에 등장했다.
●의인법Personification
무생물 또는 추상적인 개념을 마치 살아있는 사물처럼 표현하는 수사법의 하나.
●물리시Physical Poetry
랜섬 J. C. Ransom이 분류한 세 종류의 시 가운데 하나.
그는 시를 제재에 따라 사물을 다루는 시와 관념을 다루는 시로 나누었다.
사물만을 강조하는 그 밖의 것을 무시하려는 시를 물리시라고 한다.
●악한소설Picaresque Novel
악한의 자서전적 이야기. 피커레스크picaresque는 스페인어 피카로우picaro에서 유래되었다.
일종의 사회적 모험담으로 프랑스와 영국의 작가들에 의해 근대 소설의 중요한 장르로 정착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프랑스 르 사즈Le Sage의 「걸 블라스」,영국 내쉬T.Nashe의 「불쌍한 나그네 재그 윌턴」 등이 있다.
●플롯Plot
구상, 결구, 짜임새.
일정한 이야기를 형성하는 사건 전개의 줄거리, 작품의 주제를 구상적으로 상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사건들을 통일적으로 엮어나가는 방법
이 플롯의 개념은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시학」에서 「행위의 모방」으로 정의하였다.
플롯의 유형에는 주제 플롯, 보조 플롯, 체인 플롯, 더블 플롯, 성격대립의 플롯, 플롯 드라마등이 있다.
●산문시Poem in Prose
보통 시는 운문의 형식을 취하는데 산문시는 운이나 리듬을 갖지 않은 산문에 가까운 시형을 뜻한다.
●계관시인Poet-Laureate
고대 희랍에서 명예있는 시인이나 영웅에게 표창할 때 월계관을 수여했던 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영국 왕실에서 종신연봉을 받는 명예로운 시인을 일컫는 말이다.
1670년 드라이든Dreiden이후 관직화되어 워어즈워어드Wordsworth, 테니슨Tennyson등이 유명하다.
●시학Poetics
시에 관한 체계적인 이론이나 시의 원리를 뜻한다.
이 용어는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피리 포에티크스Peri Poietikes에서 유래되었다.
그의 시학은 서정시보다 극시·서사시를 논의함으로써 서양 최초의 문학이론이 되었다.
●동반자문학Poputnicheskaja Literatura
프로문학에 동조하면서 그 작품 내용이 그에 준한 문학.
초기 소련문학에 있어서 혁명에는 찬성하나 마르크스주의나 프롤레타리아 문학에도 동조하지 않는 자유주의적 작가의 문학에 대한 호칭.
대표적 작가로는 세파피온 형제, 필니야크, 세이뽈리 등을 들 수 있고 우리나라에는 1920년대 후반에 형성되어 유진오, 이효석 등이 있다.
●프롤레타리아 문학Proletariat Literature
프롤레타리아 생활에 근거를 두고 계급적 자각과 요구에서 생긴 문학.
19세기 중엽부터 1930년대에 걸쳐 활동했으며 후에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으로 발전하였다.
●산문Prose
운문의 대립어. 정형이나 운율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기술하는 보통의 문장.
어원은 라틴어 프로르수스prorsus에서 온 말로 이야기·묘사·해설·대화 등으로 이루어진다.
●산문시Prose Poem
운율에 구애됨이 없이 산문형식으로 쓰인 시.
서정적 내용을 가지면서 리듬의 단위를 한 문장 또는 한 문단에다 둔다.
산문시의 일종의 장르로 인식된 것은 보들레르의 「파리의 우울」이후부터였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마라르메, 클로델, 구르몽, 투르게네프, 한용운, 이상 등이 있다.
●순수문학Pure Literature
문학에 있어 순수성만을 중시하며 그것을 추구하는 문학.
즉, 문학에 있어서 계몽성, 정치성, 목적성 등을 배격하고 인간성 옹호에 입각하여 문학의 독자적인 예술적·창조적 세계만을 추구하는 문학.
우리나라에서는 1930년대를 전후하여 「예술파」「기교파」「예술지상주의」등의 명칭으로 나타났다.
●순수시Pure Poetry
시에서 비시적인 불순요소들을 제거한 시. 순수시의 이념은 1850년 포우E.A.Poe의 「시적원리」에 영향을 받은 보들레르, 말라르메, 발레리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순수」는 필연적으로 음악성을 존중한다. 한편 한국 시사에서 순수시를 제작해 낸 최초의 집단은 「시문학파」였다.
●르포르타지Reportage
세계 제1차 대전 이후에 생긴 문학상의 한 장르.
현지보고의 문학으로 기록이나 사실을 그대로 객관적으로 묘사하면서 문학적 가치를 지닌 작품.
노우E. P .Snow의 「중국의 붉은 별」, 카로사H.Carossa의 「루마니아 종군 일기」,렌 L.Renn의 「전쟁」등이 있다.
●운율Rhythm
시가(詩歌)의 청각적인 형상(形象)을 이루는 형식. 운(韻)과 율(律)을 합쳐진 말로 압운rthym과 율격metre을 동시에 지칭하는 용어.
오늘날은 압운이나 율격뿐아니라 형태로 포착할 수 없는 내재적 리듬도 포함한다.
넓은 뜻에서 운율은 자연현상이나 인간생활에서 일정한 간격을 나타나는 모든 반복적인 흐름이나 운동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로망Roman
장편소설. 전기적 요소가 많은 것으로 영국에서는 노벨novel.
●로마네스크Romansesque
문학에 있어 예술적 또는 현실에서 유린된 공상적 소설.
●대하소설Roman-fleure
1930년 경에 프랑스에서 많이 나타난 현대 장편소설의 한 형태.
한 개인의 역사를 여러 세대에 걸쳐 파악하기 위해 시대를 일관한 큰 대하로 보고 인간 정신의 내면적 움직임을 분석하면서 외부의 움직임도 표현하는 창작방법.
마르탱 뒤 가르의 「티보가의 사람들」,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등이 있다.
●낭만주의Romanticism
18세기말부터 19세기에 걸쳐 고전주의 반동으로 나타난 근대 문예사조.
로맨티시즘Romanticism은 로맨스Romance에서 유래된 말이다.
고전주의와 합리주의에 반대하고, 개성·감정·정서 등을 중시하였다.
대표작가로는 영국의 쿠퍼W.Cowper, 번즈R.Burns, 프랑스의 스탈Stael, 메리메 R. Merimee, 독일의 괴테, 쉴레겔 등이 있다.
●롱도Rondeau
전연 8행과 후연 5행으로 되는 프랑스 시체(時體)의 하나.
두 개의 운으로 10행, 또는 13행으로 이루어지며 첫말이 두 번 첩구로서 사용된다.
●농촌소설Rural Novel
농촌의 생활과 풍속을 그리되 등장인물 역시 농촌환경 속의 인물로 한 소설.
농촌소설이 문학의 장르로 확립된 것은 1839년 독일의 고텔프Gotthelf가 「바우언스피겔Der Bauernspiegel」을 발표하면서 부터였다. 대표적 작가로는 졸라E.Zola, 아우에르바하B.Auerbach, 하디T.Hardy등을 들 수 있다.
●풍자Satire
현실의 부정적 현상이나 모순을 빗대어 비웃으면서 폭로하는 것.
라틴어 새투라satura에서 유래되었으며 골계의 변용이다.
본래 로마시대에는 문학의 한 장르였으나 지금은 모든 장르에 나타나는 특유한 태도나 어조를 뜻한다.
로마의 루키아노스, 호라티우스 등에 그 원천을 두며, 버틀러, 하이네, 스위프트가 대표적 작가이다.
●풍자문학Satire Literature
인물·사회·시대의 모순, 불합리 등을 지적, 냉소적으로 그린 문학.
풍자는 아이러니와 비스하나 보다 날카롭게 대상의 약점을 폭로한다.
근대 풍자작가로는 버틀러S.Bulter, 스위프트J.Swift, 볼테르Voltaire등이 있다.
●세미 도큐멘터리Semi-documentary
반기록적이란 뜻으로 처음에는 영화용어였으나 2차 대전 후 문학에도 사용되었다.
창작에 기록적 방법을 가미한 것.
●관능주의Sensualism
감각을 만드는 감각기관의 기능이 미(美)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에서 출발, 미적 관능을 추구하려는 사상.
문학에서는 18세기의 퇴폐파, 19세기 후반의 가면주의 문학의 일부를 가르키는데 인간의 관능해방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감상주의Sentimentalism
18세기 중엽 서구에 나타난 문예상의 한 조류. 고전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난 낭만주의적 문예작품의 특징적 경향으로, 인간의 오성편중(悟性偏重)에 반대하고 감정에 빠져 영탄 또는 비탄하는 태도를 강하게 표현하고자 했다. 감상주의, 정조주의의 작가로는 스터언Strene, 루소 등이 있고 작품으로는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대표적이다.
●소네트Sonnet
10음절 14행으로 된 정형시로 13세기 경 이태리에서 비롯되었다.
특수한 운에다 세련된 기교를 요구하는 시형으로 단테, 페트라르카 등에 의해 완성되었다. 이 시형은 16세기에 유럽 여러나라에 유입, 전파되었다.
●스탠자Stanza
시의 연. 일정한 운율을 밟은 4행 이상으로 된 시의 단위.
내용적으로나 형식적으로 통일에 있고 스트로피strophe라고도 한다.
●의식의 흐름Stream of Consciousness
인간의 의식은 하나의 흐름처럼 변화하는데 이러한 의식의 흐름을 잘 더듬어 인간적 진실을 파악하려는 문학이다.
20세기 초 제임스W.James가 처음으로 주장했으며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즈」가 대표적 작품이다.
●스타일Style
작가의 개성을 표출하는 것으로 문체, 필치라고 한다. 문학이외의 다른 예술 분야에서도 쓰이는 용어로 표현기교에 특히 주의하여 우수한 문장을 쓰는 사람을 스타일리스트styleist라고 부른다.
●상징Symbol
불가시의 세계, 정신의 세계를 전제로 가시의 세계, 물질 또는 형태의 세계로 나타내는 것.
그리스어의 심발레인Symballein과 심볼론symbolon에서 유래된 말이다.
상징에는 크게 관습적 상징conventional symbol, 약속상징stero symbol, 사적상징 private symbol, 장력상징 tensive symbol등이 있다.
●제유Synecodoche
비유법의 하나로 사물의 한 부분을 전체로, 전체를 한 부분으로 표현하는 방법
그리스어의 sun+ek+dakhe에서 온말.
●테마Theme
주제, 제재, 작품에서 나타내려는 중심적 문제, 사상 내용을 말한다. 소재는 그 테마를 작품화하는 데 있어 적절한 재료가 된다.
등장인물보다 테마에 더 많은 비중을 둔 소설을 테마소설이라 한다.
●템포Tempo
문학작품 줄거리나 내용의 진전속도. 템포의 지속은 작품의 효과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신문소설이 그렇다.
●경향문학Tendeney Literathe
광의로 유미주의에 딸라지 않는 문학을 의미하여 협의로는 작가의 사상, 주의, 신조 등을 작품 속에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을 뜻한다.
문학성은 그 수단이며, 정치·종교·도덕 등에 이용되었다.
●민족시Volkspoesie
예술시Kunstpoeise의 반대어. 자연시라고 함.
특정한 기교없이 민족전체의 공통된 감정과 체험의 발로에서 자연적으로 탄생한 시를 총칭한다.
가요, 메르헨, 원시서사시 등에 민족시가 많고 신화나 전설도 여기에 속한다.
민족시는 독일 나찌스 정권하에서 국민문예의 주장과 밀접히 관계된다.
●베리에이션Variation
윤색. 문장을 다듬어 풍아한 맛을 내도록 하는 것.
하나의 주제를 발전시켜 갖가지 변화를 갖게 만드는 것.
●베리티즘Veritism
1890년대 초 미국에서 생겨난 문학이론. 사실주의 일종이며 주창자는 가아랜드였다.
●바이탈리즘Vitalism
2차 대전 당시 많은 작가들이 파리를 퇴거하려고 할 무렵, 문단의 불건강한 것을 청산하고 생명력 있는 예술의 재건을 꾀한 운동.
●기지Wit
골계의 한 범주로 재치있게 경구에 따라 변통되는 슬기.
사람들의 의표(意表)를 찌르는 가운데 전혀 뜻밖이라고 생각되지만 그러나 딱 들어맞게 어떤 사실을 표현하여 웃음을 터뜨리고 위안을 가져다 주는 것.
●졸라이즘Zolaisme
자연주의 문학의 주지를 가르킴.
에밀 졸라가 창작함에 있어서 응용한 과학 내지 실험적 방법이며 자연주의 문학과 대체로 같다. 후에 이 방법이 너무 극단으로 치우쳐 반대자들이 이러한 경향을 공격하는 뜻으로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