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진흥원에서 하는 일 3.

문예회관 개관 10주년




연혁

1972년 8월 - 문화예술진흥법 제정, 공포

1973년 3월 - 문화예술진흥법 제6조 1항에 근거, 3월 30일 특수법인으로 한국문화예술진흥 원 설립

1973년 11월 - 개원

1974년 7월∼1976년 12월 - 연극인 회관, 정음사 빌딩(충무로 소재), 임차 사용

1976년 3월 - 종합문화예술회관(미술회관, 문예회관) 건립계획을 추진

설계자로 김수근 결정

1977년 1월∼1980년 12월 - 연극회관, 쎄실 극장(정동소재) 임차사용

1981년 - 문예회관 개관

시설

■ 건물규모

● 대지 : 1,496평(4,847.04㎡)

● 연건평 : 1,521평(4,928.04㎡)

-대극장 : 1,301평(4,215.24㎡)

-소극장 : 138평(447.12㎡)

-연습실 : 82평(97.68㎡)

● 좌석수

-대극장 : 709석(1층: 556석, 2층: 153석)

-소극장 : 200석(유동석)

■ 중요시설

구분

분야별

주 요 재 원

무 대

회전무대, 오케스트라 핏트, 소형 승강기, 음향반사기를 갖춘 17M×12M

액자무대

조 명

위치에 따라 개성이 다른 4종 500조명기 외 10종의 효과기기 및 컴퓨터

조광 조정

음 향

120여종의 효과자료, 녹음, 편집기능 및 무선 마이크 모니터 TV 시스템

무 대

132M×13M 다변형 이동식 무대, 객석 구분이 없음

조 명

4종 120여대 조명기 스튜디오식 배열 및 전자식 조광장치

음 향

동시 통역시설, 이동, 고정식 스피커 및 녹음편집 기능



문예회관 개관 10주년 기념 자료전 개최

한국문화예술진흥원(원장 : 여석기)에서는, 문예회관 개관 10주년을 맞아 오는 4월 2일부터 16일까지 문예회관 로비에서 문예회관 10주년 자료전을 개최한다.

이번에 개최되는 자료전은, 특히 `91년 「연극·영화의 해」를 맞아 공연예술분야에 있어서의 자료가 갖는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 귀중한 의의가 있다. 자칫 소흘히 다루기 쉬운 공연예술 자료는, 그러나 우리의 대부분 공연단체들이 무계획적인 즉흥성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필요하다고 볼 수 있는데, 일차적 공연예술 자료들을 바탕으로 철저한 시장조사와 과학적 작품분석 등을 토대로 향후 단체의 운영방향, 작품선정 등이 계획될 때, 윌 공연예술이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전시자료는, 문예회관 대·소극장에서 지난 10년 동안 공연된 공연예술 분야의 대본, 프로그램, 전단, 포스터, 공연사진 등과 문예진흥원 자료관에 소장되어 있는 공연예술 자료를 대상을 하고 있다. 각 자료들은 문예회관 소개(연혁, 시설)와 공연예술 행사, 관객 호응도가 높은 창작, 번역극, 국제교류, 공연실적 등으로 나뉘어 전시된다.

이번에 전시되는 자료들은 총 1,138점으로서, 벽면 게시 219점(포스터 80점, 공연사진 111점, 문예회관 연혁·시설 14점 관람권 등)과 진열장 전시점(연극대본 137점, 프로그램 710점, 전단 27점, 대본 마이크로 필름 20점, 희곡집 10점, 사진앨범 10점, 신문스크랩 5점 등), 영상자료 50점이다.

자료관람 시간은 일반관람이 오전 10시에서 오후 3시까지(낮 공연 매표전), 공연관람객들의 관람은 오후 3시부터 7시 30분까지(밤 공연 시작전)이다.

문예회관 10년 연혁

문예회관이 개관된 것은 지난 1981년 4월이었다. 당시의 우리 사회는 고도성장에 의한 후기산업사회로의 진입단계였으며, 경제적 부의 획득과 함께 문화예술에 대한 수요가 급증되었고, 공연예술 또한 질적, 양적 팽창이 요구된 시기였다. 그러나 전문 공연예술 공간의 절대적 부족으로 각 공연단체들이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자, 문예진흥원에서는 지난 73년 개원이래 운영해오던 연극인 회관을 더욱 확대해야할 필요성을 절감하고 현 동숭동 위치에 문예회관을 준공하게 된 것이다.

문예회관이 개관될 당시만 해도 문화공간이 거의 없었던 대학로 일대는, 이후 문예회관을 중심으로 공연 예술 전문 소극장들이 들어서서 현재는 서울 시내의 가장 핵심적인 공연예술지역으로 발전하게 되어 '한국의 브로드웨이'F를 형성하고 있다.

문예회관은 개관 이후 서울연극제, 대한민국무용제 등의 대규모 공연예술 행사를 연례적으로 유치하였고, 86 아시안게임 문화예술축전 공연행사 등 국제적 행사도 유치하여 명실공히 공연예술의 메카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정립하게 되었다. 타극장에 비해 현저하게 값싼 임대료, 그리고 좋은 지리적 위치, 훌륭한 극장시설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서 많은 공연 예술인들이 문예회관을 최고의 공연장으로 손꼽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의 관객동향의 추이를 보면, 총관객수가 2백 13만 명이고 가자 DRHKSROR이 많았던 해는 서울 올림픽 문화예술축전이 개최되었던 88년으로 37만 명을 기록하고 있다. 연도별 추이를 보면, 85∼88년까지 4년 동안은 각각 연 20만 명을 넘고 있으며 89년 이후에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문예회관은, 지난 81년 4월 1일 준공되었는데(설계 : 김수근) 대지 1,496평에 연건평 1,521평으로서, 대극장은 3,301평에 좌석수 709석(1층 556석, 2층 153석)이고 소극장은 138평에 200석(이동식) 그리고 연습실(82평)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예회관 주요임차

1974년

6월 26일∼7월 5일

-연극인 회관 상량식

-연극인 회관 개관

-중구 충무로 5가 정음사 빌딩 6-7층 76. 12. 31까지 임차

1975년

5월 30일

-연극인 회관 운영위원회 개최(2차)

1977년

1월 26일

-연극인 회관 이전

-중구 정동 대한성공회 내 세실극장

2월 29일

-종합 문예회관 건립을 위한 대지매입 및 설계착수

6월 1일

-종합 문예회관 건립확정

9월 11일∼11월 9일

-제1회 대한민국 연극제 개최

-세실극장, 세종문화회관 별관, 8개 단체 참가

10월

-종합 문예회관 건축계획 및 분야별 전문 인사 자문위원 구성

1978년

9월 8일∼11월 8일

-제2회 대한민국 연극제 개최

-세실극장, 세종문화회관 별관, 10개 단체 참가

1979년

7월 2일

○ 시공기간: 79. 7. 6∼81. 2. 8

○ 시공자: 현대건설

○ 설계: 김수근

9월 10∼10월 29일

-제4회 대한민국 연극제 개최

-세실극장, 국립극장, 9개 단체 참가

1980년

9월 7일∼10월 29일

-제4회 대한민국 연극제 개최

-세실극장, 국립극장, 9개 단체 참가

1981년

2월 4일

-직제규정

-연극인 회관을 문예회관으로 명칭변경

3월 15일∼22일

-제3세계 연극제 개최

-문예회관, 세종문화회관, 국립극장

4월 1일

-문예회관 개관 기념공연

-정재만 무용단 "춤의 소리" 공연

5월 25∼6월 5일

-제6회 대한민국 음악제 개최

-문예회관, 세종문화회관, 국립극장

8월 31일∼10월 19일

-제5회 대한민국 연극제 개최

-문예회관, 드라마 센터, 8개 단체 참가

10월 12일∼22일

-제3회 대한민국 무용제 개최

-문예회관, 9개 단체 참가

1982년

6월 9일∼14일

-제2회 대한민국 국악제 개최

-문예회관, 12회 공연

8월19∼10월 19일

-제6회 대한민국 연극제 개최

-문예회관, 8개 단체 참가

10월 15일∼25일

-제4회 대한민국 무용제 개최

-문예회관, 10개 단체 참가

1983년

6월 17일∼22일

-제3회 대한민국 음악제 개최

-문예회관, 9회 공연

8월 16일∼10월 22일

-제7회 대한민국 연극제 개최

-문예회관, 8개 단체, 국내 초청 1개 단체

-지방 연극제 최우수상 수상 단체

10월 14일∼31일

-제5회 대한민국 무용제 개최

-문예회관, 10개 단체, 외국초청 1개 단체 스톤 무용단

1984년

4월 1일

-문예회관 3돌 기념공연

-제1회 국제인형극제 개최

-한국, 중국, 일본 11개 단체 참가

8월 14일∼10월 10일

-제8회 대한민국 연극제 개최

-문예회관, 8개 단체, 국내 초청 1개 단체

-지방 연극제 최우상 수상단체

10월 12일∼26일

-제6회 대한민국 무용제 개최

-문예회관, 10개 단체, 초청 2개 단체

1985년

5월 6일

-공연예술 종합 연습실 개장

-종로구 충정동 60 예일빌딩 4층

-연건평 220, 연극·무용·음악 소연습실

8월 5일∼9일

-전국 무대인 기술연수 본원강당 및 문예회관, 전국 20개 공연장 무대기술요원 120명 참가

8월 12일∼10월 8일

-제9회 대한민국 연극제 개최

-문예회관, 6개 단체 참가


1986년

1월 2일∼3일

-신년맞이 무용대공연 개최

-문예회관, 6개 단체 참가

3월 21일

-시내 공연전시 안내판 설치

-지하철 4개, 은행 5개, 호텔 4개

8월 22일∼10월 12일

-제10회 서울연극제 개최

-문예회관, 아시안게임 문화예술축전 7개 단체, 외국 초청 2개 단체, 국내 초청 2개 단체

1987년

8월 25일∼10월 8일

-제11회 서울연극제 개최

-문예회관 대·소극장, 8개 단체

-외국 초청 1개 단체 국내 초청 2개 단체

10월 11일∼30일

-제9회 대한민국 무용제 개최

-문예회관, 10개 단체, 외국 초청 3대 단체, 국내 초청 2개 단체

1988년

1월 2일∼3일

-신년맞이 대공연 개최(문예회관)

-제12회 서울연극제

-서울 올림픽 문화축전, 문예회관 외국 초청 6개 단체, 국내 초청 13개 단체

1989년

8월 24일∼10월 9일

-제13회 서울연극제

-문예회관 대·소극장, 외국 초청 1개 단체, 국내 초청 10개 단체

9월 21일∼22일

-불란서 비구니에 무용단 초청 공연

-문예회관(본원 초청)

1990년

1월 23일

-문예회관 대극장 조명실 컴퓨터 콘솔시스템 교체 설치

-리칼프렌 프레스티지 3000

8월 24일∼10월 4일

-제14회 서울연극제

-문예회관, 외국 초청 1개 단체, 국내 9개 단체

10월 11일∼29일

-제11회 서울무용제 개최

-문예회관, 13개 단체

12월 15일

-문예회관 소극장 덧마루 300개 제작

12월 29일

-문예회관 대극장 음향실 콘솔믹서 교체설치, D&R 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