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

Arts Council Korea
아르코는 투명하고 공정한 예술행정 실현을 지향합니다.

간행물

2.Diaspora: Korean Nomadism (디아스포라)

  • 조회수 6657
  • 등록일 2013.11.21
  • 발간년도 2011년 7월 20일
2.Diaspora 디아스포라 Korean Nomadism

세계를 누빈 한국 미술가들의 이야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현대예술시리즈 중 두 번째 『Diaspora: Korean Nomadism』은 ‘유랑’이라는 창조적인 삶의 방식을 통해 개방된 사고를 체득하고 수용하여 변화를 이끌어온 세계 속 한국의 미술가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흔히들 ‘유랑’이라고 하면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이동을 시도했던 유목민(nomad)이나 민족 혹은 종교의 갈등으로 이주를 강요당했던 이주민(diaspora)을 떠올리기 쉽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특정한 가치와 삶의 방식에 매달리지 않고 변화와 창조의 삶을 살아가는 ‘세계시민정신’으로 이해되며 그들에게 유랑하는 삶이란 하나의 생존방식을 너머 성장 그 자체를 의미한다.
이 책은 국제적인 노마드로서 한국의 미적 감수성과 예술적 창조력을 국제 미술계에 알리고 해외의 다양한 예술활동을 한국에 소개하고 한국미술계의 발전에 기여했던 이들에 관한 간략한 연구이다. 재일 미술가 이우환부터 “가장 민족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이상을 실천했던 김환기, 이응로, 더불어 세계라는 환경 속에서 그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가졌던 백남준 그리고 新노마드라 불리우는 강익중, 서도호, 니키 S 리와 같은 젊은 작가에 이르기까지, 저자는 세계 곳곳을 누비며 활동해 온 대표적인 한국의 미술가들을 선정하여 그들의 유목민적 삶과 예술 여정을 되짚어 보고 그들이 지닌 독특한 성격과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에 주목한다. 이 책은 그들의 땀과 열정, 그들이 일궈낸 새로운 생성의 땅으로의 여행이다.

01 머리말

02 노마디즘(Nomadism)과 디아스포라(Diaspora)에 대하여
유목주의(Nomadism)는 물리적인 것이 아니라 여러 학문을 넘나드는 새로운 형태의 지식을 의미하며 그들의 개방된 사고는 다양한 요소들을 차별하지 않으며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나아가 새로운 문화적 융합을 만들어낸다.

03 20세기 현대미술의 유목주의적 성향
노마드는 20세기 초반 모더니즘 미술을 발전시켰고 오늘날도 수많은 미술가들이 태어난 곳을 떠나 타지에서 자신의 역량을 기르고, 새로운 예술을 탄생시킨다.

04 한국미술의 디아스포라
1860년대 중반으로 기록된 한국의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크게 4개의 시기로 나누어 설명한다.

05 근현대 한국미술의 역사와 문화의 유동성
19세기 후반 한국의 예술인들은 직간접적으로 해외의 문화와 신미술을 경험할 수 있었다. 최초의 일본 유학생이었던 고희동을 통해 서구화된 일본에서 미술을 배웠고 도쿄를 중심으로 유학이라는 명분의 국제유랑을 시작했던 근 현대의 한국미술가들의 이야기를 되짚어본다.

06 한국성과 글로벌 문화
1950년대 자신의 예술활동의 거점을 외국으로 옮기고 그곳에서 자신의 이력과 명성을 쌓았던 이우환, 이응로, 김환기를 조명한다.

07 백남준: 디아스포라를 스스로 선택한 예술가
백남준은 20세기 한국미술이 낳은 가장 국제적인 작가이자, 현대미술사에 빠질 수 없는 비디오 아트(Video Art)의 창시자이다. 항상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키는 노마드 백남준의 영광과 그늘을 이야기한다.

08 신 노마드: 강익중, 서도호, 김수자, 니키 S 리
1970-80년대, 단색의 추상일변도였던 한국미술에 발생한 예외적 현상인 민중미술과 新노마드라고 불리우는 4인의 젊은 작가들을 조명한다.

09 국제화 시대, 한국미술의 위상과 가능성
시대의 문화와 예술의 매개자인 한국인 노마드의 위상과 가능성을 점검한다.

Korean Artists Thread their Way Through the World

Innumerable artists leave their home countries to carry out works and projects as they wander in various countries. They gain strengths in other places and create new art. Unlike nomads who simply had to wander to survive, or the diaspora who were forced to move due to ethnic or religious conflict, today’s nomads are understood as cosmopolitans who live for change and creation. Diaspora: Korean Nomadism is a brief study about international nomads, introducing those wh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rt in Korea by presenting Korean aesthetic sensibility and artistic creativity to the international world of art, and by introducing the diverse artistic activities they conducted overseas to Korea.
First, the author analyzes the essence of Nomadism and Diaspora, which are also the main topics of the book, using them as concepts to explain Korea’s international exchange since modern times. In addition, he explains briefly how these two concepts appeared and developed in the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Following a summary of concepts and history, he selects representative artists including Lee U-fan, Paik Nam June, Suh Do-ho, etc., to retrace their nomadic lives and art journeys and focus on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art. Finally, he organizes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Korean nomadic artists around a few new concepts and concludes with a description of the unique nature and position of Korean artists. This book is a journey to their sweat, passion, and to the land of creation where they have been carving up.

01 Introduction

02 About Nomadism and Diaspora
Nomadism refers to the act of denying existing values, stagnant values and philosophy, and searching for or creating something new. Diasporas do not discriminate among diverse elements but actively takes them in and creates new cultural fusions.

03 Nomadic Tendencies in 20th Century Art
Those who developed modernist art in the early 20th century were for the most part nomads. Today also, many artists leave their homelands, gain strengths in other places and create new art.

04 Diaspora of Korean Art
The history of Korean Diaspora can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and the beginning of dispersion from Korea is documented as the mid 1860s.

05 Modern History of Korean Art and Cultural Flexibility
Korean artists were able to have access to the culture and new arts from overseas directly and indirectly. It was starting from Ko Hui-dong, the first to study in Japan, that Korean artists learned art in Japan, which was westernized. They began their international wandering based mainly in Tokyo.

06 “Koreanness” and Global Culture
In the 1950s, artists Lee U-Fan, Lee Ung-no and Kim Whan-ki, relocated their bases of art activities overseas where they built up their careers and fame.

07 Paik Nam June: The Artist Who Chose Diaspora
Paik Nam June is the most internationally-renowned artist in the history of 20th-century Korean art and the founder of video art, which has become a key element in contemporary art history.

08 Neo Nomads
From the end of the ’70s to the ’80s, an “exceptional” phenomenon occurred in Korean contemporary art. Around this time, when Korean art consisted mostly of monochrome abstracts, a critical and participatory art movement (Minjung art) emerged.

09 Status and Possibilities of Korean Art in the Era of Globalization
Korean Artists are the mediators of culture and art. And the new nomads of Korea to emerge in the near future will no doubt be armed with technology, art and new ways of thinking.
담당자명
사업별 담당자 문의
담당부서
대표번호
담당업무
사업별 담당자 문의
전화번호
061-900-2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