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
2022년 예술과기술융합지원 사업 지원심의 결과 발표 및 향후 진행사항 안내
- 이의신청 기간 2022.05.18 ~ 2022.06.01
- 조회수 4881
- 등록일 2022.05.18
2022년 예술과기술융합지원 사업 지원심의 결과 발표 및 향후 진행사항 안내
2022년 예술과기술융합지원 사업에 관심을 가져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지원심의 최종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합니다.
■ 지원신청 접수 현황 및 선정 결과
- 2022년 예술과기술융합지원 사업에는 25일의 접수기간(2022.2.18~3.14) 동안 총 423건의 지원신청이 접수되었으며, 총 지원신청액은 13,363,643,000원이었습니다.
- 지원심의회의 및 위원회 의결을 통해 총 105건에 대해 3,350,000,000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사업유형 |
신청건수 |
선정건수 |
지원결정액(원) |
---|---|---|---|
유형① 아이디어 기획·구현 지원 |
253 |
60 |
1,200,000,000 |
유형② 기술융합 창제작 지원 |
104 |
28 |
1,500,000,000 |
유형③ 우수작품 후속지원 |
14 |
11 |
500,000,000 |
유형④ 자유기획형 활동지원 |
52 |
6 |
150,000,000 |
합계 |
423 |
105 |
3,350,000,000 |
■ 지원선정 내역 및 심의총평
사업유형 |
심의총평 및 지원대상자 |
---|---|
유형① 아이디어 기획·구현 지원 |
보기 |
유형② 기술융합 창제작 지원 |
보기 |
유형③ 우수작품 후속지원 |
보기 |
유형④ 자유기획형 활동지원 |
보기 |
※ 미정산 단체(개인)의 경우 조건부 선정으로 결과발표일 기준 1개월 이내에 정산완료하고, 기한 내에 완료되지 않을 시 선정이 취소됩니다.
※ 결과발표 후 지원제외 및 제한대상으로 판명될 경우 지원결정 취소 및 지원금 회수조치 됩니다.
※ 지원사업 포기는 지원심의 결과발표일 기준 30일 이내에 신청하여야 하며, 30일 이후 포기한 경우에는 차년도 동일사업 신청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지원심의 경과
구분 |
회의주체(일정) |
내용 |
---|---|---|
1단계 |
위원회 전체회의 (2022.2.11) |
2022년 예술과기술융합지원 사업 공모 추진계획안 의결
|
2단계 |
사업유형별 심의위원회 (2022.4.19~4.28) |
사업유형별 심의위원회 개최
|
3단계 |
위원회 전체회의 (2022.5.16) |
지원심의 결과 최종 확정 |
■ 심의위원회 구성
-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심의운영의 전문성 확보 및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예술과기술융합지원 사업에 전담심의위원제도를 적용하였습니다.
- 전담심의위원은 예술-기술 융합의 전문성 및 경험을 가지고 있는 위원을 자격으로 하고 지역전문가/신진/성비 균형 등을 고려하여 심의위원회를 구성하였으며, 세부 구성경과 및 명단은 심의위원회 개최에 앞서 홈페이지에 공개하였습니다.(2022.4.14 게시) 해당 게시글 보기
심의군 |
성명 |
현직 |
---|---|---|
유형① 아이디어 기획·구현 지원 |
김도형 |
과학기술문화전문가, ㈜각도 대표 |
김예림 |
무용평론가,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겸임교수 |
|
민병은 |
문화기획자, 문화집합 36.5 대표 |
|
신원백 |
대구카톨릭대학교 디지털디자인과 강의교수, 러봇랩 대표 |
|
이경성 |
극단 크리에이티브 VaQi 연출, 성균관대 연기예술학과 조교수 |
|
유형② 기술융합 창제작 지원, 유형③ 우수작품 후속지원 |
김보라 |
안무가, 아트프로젝트 보라 예술감독 |
류승완 |
일제곱킬로미터 대표 |
|
박동필 |
교육문화연구소 이룸 대표연구원 |
|
송대규 |
㈜30DAYs 대표 |
|
송현우 |
(주)펀웨이브 대표 |
|
안진국 |
미술평론가 |
|
최찬숙 |
미디어 아티스트 |
|
유형④ 자유기획형 활동지원 |
박찬욱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산업연구센터 센터장 |
신현우 |
디지털문화연구자, 서울과학기술대 디지털문화정책전공 강사 |
|
안민영 |
문화예술기획자 및 연구자, 커뮤니티디자인연구소 이사 |
|
이지석 |
모두의 연구소(AIFFEL) 교장 |
|
한상기 |
테크프론티어 대표 |
■ 향후 진행사항 및 지원심의 옴부즈만 안내
- (오리엔테이션 참석)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선정자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합니다. 필수사항 안내, 성희롱·성폭력 예방 등 교육 등의 시간이 마련될 예정이오니 반드시 참여하여 주시기 바라며, 일정은 개별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 (기획재정부 e나라도움시스템 이용) 2017년부터 대한민국의 모든 보조사업자는 『보조금 관리에 관한 법률』 제26조의2(보조금통합관리망의 구축 등) 및 『국고보조금 운영관리지침』 등에 근거하여 기획재정부가 구축한 e나라도움(국고보조금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보조금을 교부 및 집행하여야 합니다. 지원 선정단체는 e나라도움 홈페이지(www.gosims.go.kr)에 접속하시어 회원가입 및 교부신청 등의 관련 매뉴얼을 미리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지원심의 옴부즈만 안내)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공모사업 지원심의를 공정하고 투명하게 추진하고 예술가의 권익보호를 위해 ‘지원심의 옴부즈만’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원심의 옴부즈만은 법조·행정·경영·언론 등의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옴부즈만이 지원심의 과정 및 결과에 있어 불합리하고 부당한 업무처리 사안을 조사하고 처리하는 상설 기구입니다. 지원심의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불합리하고 부당한 업무처리 사안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내용을 참고하여 심의결과 발표일로부터 15일 이내에 접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사업담당자 안내
담당업무 |
사업담당자 |
연락처 |
|
---|---|---|---|
전화번호 |
전자메일 |
||
사업총괄 운영 및 유형④ 자유기획형 활동지원 |
심정훈 |
061-900-2206 |
|
유형① 아이디어 기획·구현 지원 |
김지아 |
061-900-2234 |
|
유형② 기술융합 창제작 지원, 유형③ 우수작품 후속지원 |
강주희 |
061-900-2233 |
2022년 예술과기술융합지원 사업에 신청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앞으로도 문화예술인들의 동반자라는 마음으로 늘 문화예술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지속가능한 예술 창작 터전 공고화와 예술의 미래 동력 확보를 위해 더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자료담당자[기준일(2022.5.18.)] : 미래사업부 심정훈 061-900-2206
게시기간 : 22.5.18.~
- 다음글 2022년 마을미술 프로젝트 사업 2차 현장실사, 3차 인터뷰 심의 대상자 결과발표 2022.05.20
- 이전글 (국고) 2022년 온라인미디어 예술활동 지원사업 ‘아트 체인지업’ 지원심의 결과발표 2022.05.18
- 담당자명
- 사업별 담당자 문의
- 담당부서
- 대표번호
- 담당업무
- 사업별 담당자 문의
- 전화번호
- 061-900-2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