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

Arts Council Korea
아르코의 활동을 공유해드립니다.

공지사항

  • X(엑스)
  • 블로그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url복사

제19회 작곡가의 방 2025. 5. 13(화) 17:00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 조회수 159
  • 등록일 2025.04.28
첨부파일

제19회 작곡가의 방(자세한 내용 아래 참조)

예매 바로가기

제19회 작곡가의 방  2025. 5. 13(화) 17:00 아르코미술관 3층 세미나실

작곡가의 방을 방문합니다.
그의 손에 길들여진 연장, 남겨진 단편들, 미완의 작품, 가장 아끼는 작품이 있을 것이고 지칠 때면 바라보는 무언가도 있을 겁니다.
그 방에는 작곡가의 체취가 있고 고생이 있고 희망과 실패, 신념과 이력이 있습니다.
한 예술가의 생각과 솜씨, 작업과 성취를 가까이서 볼 수 있는 작업실의 주인을 만나는 날입니다.
‘작곡가의 방’을 방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백영은 작곡가의 방]

 ‘소리로 말하는 사람들’, 작곡가들이 ‘말로 소리를 말하는 사람들’이 되는 자리가 마련되었습니다. 자신의 소리가 마음 안에서 어떻게 울렸는지,이를 어떻게 내어놓았는지를 조금은 수줍은 마음으로 열어 보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내 마음 안에 고여 있는 소리들을 들여다보고, 그 중 다른 이들과 함께 하고픈 소리들을 자~알 찾아내어 살아서 울리게 해서, “마음에 닿는 음악”을 만들고 싶다는 바램으로 지내온 세월이 어느새 꽤 길게 이어졌지만, 그 바램이 그리 잘 이루어지지 못했음을 아쉬워합니다.
이러한 장의 마련을 위한 귀한 수고와 함께 하고자 서두른 바쁜 발걸음에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 백영은

“작곡가 백영은은 화음쳄버오케스트라의 이름대로 화음(畵音)이라는 말에 매우 어울리는 작곡가일 것이다. 그의 음악은 이지적인 논리보다는 다양한 색체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작품에 붙여진 여운이 깃든 제목들이 음악과 함께 마음에 다가오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송주호(음악평론가) 화음쳄버 연주회 현악합주를 위한 “내일의 기억 주제에 의한 파사칼리아”의 해설〉

“작곡가 백영은은 자연과 삶 속에서 느끼는 것들을 음악에 담는다. 그에게 있어 ‘결’이라는 단어는 영혼의 흐름을 형성하는 사고이자 (대상으로부터 받는) 느낌을 나타내는 것인데, 이러한 ‘결’에 대한 정의를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 그리고 삶과 죽음에 대한 사유를 바탕으로 소리를 구현하는 그만의 미학관을 엿볼 수 있다.

〈김석영(음악학자) 한국창작음악-비평과 해석 002 관현악〉

“백영은 작곡가의 서정은 회화적이다. 그리고 그 특징으로 타악기를 위한 작품이 많다는 점, 그리고 국악기가 등장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민병모(월간〈QUESTION〉 편집주간) 〈QUESTION〉 2022년 9월호〉

작곡가 백영은은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그리고 미국 Indiana University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독일, 러시아, 오스트리아, 호주, 홍콩, 대만 등 국내외에서 대금과 관현악을 위한 "안식하는 이의 노래"와 〈하늘들꽃〉과, 타악기와 관현악을 위한 〈저 너머로...〉, 교향시 〈별밭〉과 〈예술은...〉, 바이올린과 현악합주를 위한 〈파사칼리아〉, 플륫(대금)과 현악합주를 위한 〈하늘〉, 타악기 합주를 위한 〈겨울밤의 환타지〉, 〈천사마을 나들이〉, 〈시나위〉 등 다수의 작품들이 연주되었으며, 타악기를 위한 작품집과, 국악기를 위한 작품집을 출판하였다. 「타악기(-작곡가를 위한 타악기 입문서-)」를 저술하였으며, 관현악 작품과 타악기 작품이 수록된 음반 〈사람·삶·사람〉을 출반하였고 여러 편의 작품이 음반으로 소개되었다.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등에서 강사로 후학을 가르쳤으며, 단국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로 재직한 후 현재 명예교수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사)작곡가협회 ACL-Korea 이사장, 운지회(Society of Composers UNJI) 회장, 한국작곡가협회 부이사장, Asian Composer's League의 이사, 한국음악협회 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예매 바로가기

주최: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관:ARKO 한국창작음악제 추진단, 문의: 아창제 사무국 T. 02-356-7655 E. music@arko.or.kr

자료담당자[기준일(2025.4.28.)] : 극장운영팀 임재연
게시기간 : 25.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