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영상으로 보는 근대의 풍경 1899-1941 (해설시사회+학술세미나)
-
조회수
1,961
-
작성자
고*영*관
-
등록일
2006.09.05
<a href="http://www.koreafilm.or.kr/screening/2006_09s1.asp" target="_blank"><img src="http://www.koreafilm.or.kr/upload/kofa06-49.jpg" border=0></a>
한국영상자료원은 근·현대사를 시각적으로 증언하는 다양한 영상자료를 수집하고 보존하는 역사적 사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전영화관에서 감상하실 수 있는 수많은 영화들이 그 자체로 근·현대사에 대한 중요한 기록임을 의심할 바 없지만, 이번 9월에 개최될 기획전에서는 그간 고전영화관에서 감상하시던 작품들과는 사뭇 다른 영화들을 모아봤습니다. 1899년 한국을 여행했던 미국인 버튼 홈스(E. Burton Holmes)가 촬영한 <한국-KOREA>를 필두로, 1910년경부터 1940년까지 제작된 기록영상들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맷돌로 옥수수를 빻고, 신발의 가죽을 꿰매는 1910년경의 민초들을 볼 수 있는 <한국(고요한 아침의 나라)>, 1920년대 부산과 서울의 거리풍경을 엿볼 수 있는 <한국의 주요 마을들>(1923년경), 교향악을 배경으로 1940년 서울 거리의 여러 모습들을 미려하게 살피는 도시교향악 <경성>(1940) 등 식민지 조선의 풍경을 담은 기록영상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b>9월 13일 저녁에는 전우용 교수(서울대학교병원 병원사연구실)의 해설을 통해 영상을 이해할 수 있는 ‘해설시사회-기록영화로 본 근대서울’이 진행</b>되며, 다음날인 <b>14일 저녁에는 기록영상과 식민지 일상사 연구를 주제로, 정근식 교수(서울대학교 사회학과)와 임옥희 대표(여성문화이론연구소)의 발제 및 김소영 교수(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의 토론으로 진행될 학술시사회가 개최</b>됩니다.
15일까지 계속될 기획전 기간 동안 14편의 한국 관련 기록영상과 2편의 외국영상((뤼미에르 형제, 1895년경), <제목미상(부제: 일본실록)>(1941년경)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a href="http://www.koreafilm.or.kr/screening/2006_09s1.asp" target="_blank"><img src="http://www.koreafilm.or.kr/upload/kofa06-50.jpg" border=0></a>
○ 장소: 고전영화관(서초동 예술의전당 내) <a href="http://www.koreafilm.or.kr/kofa/introduction_08.asp" target="_blank"><img src="http://www.koreafilm.or.kr/image/visiting.gif" border=0></a>
○ 관람료: 2,000원(경로우대 1,000원)
○ 상영작품
내용 해설 시사회 <b>"기록영화로 본 근대 서울"
해설: 전우용(서울대학교 병원사연구실 부교수)
9월 13일(수) 저녁 7시30분 </b>
<한국-KOREA>(버튼 홈스, 1899), 5분12초
<한국(고요한 아침의 나라)>(감독미상, 1910년경), 4분
<조선의 축산업>(감독미상, 1920년대), 7분
<조선소식(부제: 조선시보 제11호)>(감독미상, 1920년대), 9분
<한국의 주요 마을들>(감독미상, 1923년경), 2분
<순종황제 인산습의>(감독미상, 연도미상), 7분
<제목미상(부제: 조선- 우리의 후방)>(감독미상, 1939년 추정), 11분
<경성>(대일본문화영화제작소, 1940년), 24분
총 69분12초
<b>섹션1
9월 14일(목) 저녁 7시30분
9월 15일(금) 오후 4시30분 </b>
<한국-KOREA>(버튼 홈스, 1899), 5분12초
<한국(고요한 아침의 나라)>(감독미상, 1910년경), 4분
<제목미상>(감독미상, 1920-30년대), 12분
<조선의 축산업>(감독미상, 1920년대), 7분
<조선소식(부제: 조선시보 제11호)>(감독미상, 1920년대), 9분
<한국의 주요 마을들>(감독미상, 1923년경), 2분
(감독미상, 1924년), 3분
<만주에서의 전투>(감독미상, 1931년), 2분
<순종황제 인산습의>(감독미상, 연도미상), 7분
(뤼미에르 형제, 1895년경), 5분14초
총 56분26초
<b>섹션2
9월 14일(목) 오후 4시30분
9월 15일(금) 저녁 7시30분 </b>
<당시의 조선>(감독미상, 1938), 9분
<조선(Tyosen)>(감독미상, 1938년 추정), 12분
<만국영화(주)- 주간뉴스>(감독미상, 1939년), 1분
<제목미상(부제: 조선- 우리의 후방)>(감독미상, 1939년 추정), 11분
<경성>(대일본문화영화제작소, 1940년), 24분
<제목미상(부제: 일본실록)>(감독미상, 1941년 추정), 9분
총 66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