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식

Arts Council Korea
아르코의 활동을 공유해드립니다.

모집

  • 문화예술단체(기관) 담당자들께서는 승인절차를 거쳐 자유롭게 공연전시정보를 올리실 수 있습니다.
  • 홈페이지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게시물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등에 관한법률 제 61조’에 의거 처벌을 의뢰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홈페이지에 기재한 내용 중 개인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개인정보를 삭제 조치 후 게시하여야 합니다.
  • 승인절차
    • 정보 등록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승인
    • 정보 게시
  • 승인문의 : 061-900-2151 (경영지원팀)
  • X(엑스)
  • 블로그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url복사

청소년 문학 창작캠프 '1박 2일 시인되기' 참가자 모집

  • 지역 강원
  • 조회수 5,462
  • 작성자 권*범
  • 작성일 2013.06.04
  • 기관명 토지문화재단
  • 마감일 2013.06.30
청소년 문학 창작캠프 '1박 2일 시인되기' 참가자 모집 <br />
<br />
□ 취지 <br />
문학을 좋아하는 청소년들이 시인들과 함께 시를 참답게 즐기고, 직접 시를 쓰며, 발표하는 경험을 통해 문학적 성장의 시간을 갖는다. <br />
<br />
□ 사업내용 <br />
○ 기간 : 2013년 7월 26일(금) - 27일(토) 1박 2일 <br />
○ 장소 : 토지문화관 <br />
○ 주최 : 토지문화재단 <br />
○ 후원 : 원주시 <br />
○ 협찬 : 문학과지성사, 창비, 그림책도시사업단 <br />
○ 대상 : 중학생 45인 <br />
○ 참가비 : 3만 5천원 <br />
<br />
□ 참가 인원 선정 기준, 접수 및 선정 일정 <br />
○ 선정 기준 : 창작 지도 시인들이 추천한 시집의 작품 중 마음에 드는 시를 읽고 독후감을 써서 제출, 자기 소개서와 함께 선발한다. <br />
○ 추천 시집 : 『나의 대표시를 말한다』(도서출판 b,. 2011) 최두석․나희덕 엮음. <br />
※ 위 시집은 문학 창작캠프 기간 동안 교재로 사용됩니다. 필히 지참해주십시오. <br />
<br />
□ 진행 일정 <br />
○ 접수 기간 : 6월 10일(월) - 6월 30일(월) <br />
○ 참가 신청 서류 : 신청서(토지문화재단 홈페이지 참여공간 자료실에서 내려받아 작성해주세요), 독후감, 자기소개서(캠프에 참가하고자 하는 이유와 자기 소개) <br />
○ 접수 방법 : 토지문화관 메일(tojicul@chol.com)로 접수 <br />
○ 참가자 발표 : 7월 10일(수) 토지문화관 홈페이지(www.tojicf.org) <br />
<br />
□ 프로그램 : 창작 강의, 창작 실기 및 지도, 걷기 명상, 시화전 <br />
자세한 내용은 토지문화재단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br />
http://www.tojicf.org/sub4/sub2.html?ptype=view&idx=5399&page=1&code=sub4_sub2 <br />
<br />
□ 창작 지도 시인 <br />
○ 나희덕 <br />
1966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나 연세대 국문과와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198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시 「뿌리에게」가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으며, 현재 조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br />
수상 <br />
1998 제17회 김수영문학상 <br />
2001 오늘의 젊은예술가상 문학부문 / 김달진문학상 <br />
2003 제48회 현대문학상 <br />
2005 제17회 이산문학상 / 제1회 일연문학상 <br />
2006 제21회 소월시문학상 우수상 <br />
2007 제22회 소월시문학상 대상 <br />
2010 제10회 지훈상 문학부분 수상 <br />
저서 <br />
시집 <br />
《뿌리에게》(창작과비평사, 1991) <br />
《그 말이 잎을 물들였다》(창작과비평사, 1994) <br />
《그곳이 멀지 않다》(민음사, 1997) <br />
《어두워진다는 것》(창작과비평사, 2001) <br />
《사라진 손바닥》(문학과지성사, 2004) <br />
《야생사과》(창비, 2009) <br />
산문집 <br />
《반통의 물》(창작과비평사, 1999) <br />
《저 불빛들을 기억해》(하늘바람별, 2012) <br />
<br />
○ 박형준 <br />
1966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나 서울예대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명지대 문예창작학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1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가구의 힘〉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현재 계간 《창작과비평》 편집위원이며, 경희사이버대학교 미디어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br />
수상 <br />
1996년 제1회 꿈과시문학상 <br />
2002년 제15회 동서문학상 <br />
2005년 제10회 현대시학작품상 <br />
2009년 제24회 소월시문학상 <br />
2012년 제9회 육사시문학상 <br />
저서 <br />
시집 <br />
《나는 이제 소멸에 대해서 이야기하련다》(문학과지성사, 1994) <br />
《빵냄새를 풍기는 거울》(창작과비평사, 1997) <br />
《물속까지 잎사귀가 피어 있다》(창작과비평사, 2002) <br />
《춤》(창비, 2005) <br />
《생각날 때마다 울었다》(문학과지성사, 2011) <br />
산문집 <br />
《저녁의 무늬》(현대문학, 2003) <br />
《아름다움에 허기지다》(창비, 2007) <br />
편저 <br />
《걸었던 자리마다 빛나다》(창비, 2009) : 창비시선 300번 기념시집 <br />
<br />
○ 김소연 <br />
1967년 경상북도 경주에서 태어나, 가톨릭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여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3년 《현대시사상》겨울호에 〈우리는 찬양한다〉외 7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br />
수상 <br />
2010년 제10회 노작문학상 <br />
2011년 제57회 현대문학상 <br />
저서 <br />
시집 <br />
《극에 달하다》(문학과지성사, 1996) <br />
《빛들의 피곤이 밤을 끌어당긴다》(민음사, 2006) <br />
《눈물이라는 뼈》(문학과지성사, 2009) <br />
산문집 <br />
《마음사전》(마음산책, 2008) <br />
《시옷의 세계》(마음산책, 2012)<br />
<img width="650" height="928" alt="청소년 문학 창작캠프 '1박 2일 시인되기' 참가자 모집" src="/cwboard/fckeditorImage/2013060414054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