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안내
								Arts Council Korea
								아르코는 문화예술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합니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Arts Council Korea
								아르코는 문화예술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합니다.
							
[지원신청 전 안내사항]
* (5.13(목)) 추가사항 : 트랙2 문학분야의 지원신청 및 제출분량 예시를 추가하였습니다.
* (5.20(목)) 추가사항 : 아동청소년 대상 예술 활성화 지원 사업 FAQ 추가하였습니다.

※(2021년도 제도 강화 사항) 성희롱·성폭력범죄 혐의와 관련된 자 및 그 자가 구성원에 포함된 단체(지원신청하는 프로젝트(보조사업) 참여자 전원)는 지원신청 일체 금지
※ 지원신청 부적격 단체(인) 및 사업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지원사업 중, 문화예술 향유지원사업, 기술융합기반 창작지원사업, 국제교류지원사업, 예술인력육성사업은 아래 명시된 사업으로 지원신청 바랍니다.
※ 심의는 장르통합으로 진행함
※ 국가문화예술지원시스템(NCAS)에서 지원신청 시, 분야는‘문화일반’으로 신청하며, 세부장르로 위의 지원 장르 中 택 1하여 신청
※ 아래 기재된 예시 사항은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이므로, 제시된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시도되지 않았던 창의적 개발 모델 및 다양한 활동도 지원신청(오히려 적극 권장함) 할 수 있습니다.
[트랙①] 창작 준비형
| 
			 세부 장르  | 
			
			 지원대상 사업  | 
		
|---|---|
| 
			 문학  | 
			
			
  | 
		
| 
			 시각  | 
			
			
  | 
		
| 
			 공연예술 (연극, 뮤지컬, 무용, 음악, 전통예술)  | 
			
			
  | 
		
| 
			 복합장르  | 
			
			
  | 
		
※ 공연예술의 ‘쇼케이스(준 공연 형태)’는 트랙②로 지원
[트랙②] 제작 준비형
| 
			 세부 장르  | 
			
			 지원대상 사업  | 
		
|---|---|
| 
			 문학  | 
			
			
  | 
		
| 
			 시각  | 
			
			
  | 
		
| 
			 공연예술 (연극, 뮤지컬, 무용, 음악, 전통예술)  | 
			
			
  | 
		
| 
			 복합장르  | 
			
			
  | 
		
※ 신작 (첫 발표·공개)의 경우, 외부에 발표·공개되지 않은 작품 및 행위를 기준으로 함. 이 외, 신작에 대한 판단은 심의위원회에서 심의를 통해 결정
| 
			 지원유형  | 
			
			 정액 지원액  | 
			
			 비고  | 
		
|---|---|---|
| 
			 [트랙①] 창작 준비형  | 
			
			 300만원  | 
			
			 트랙①의 경우 2가지 금액 (300만원, 600만원) 中 택 1하여 신청 가능  | 
		
| 
			 600만원  | 
		||
| 
			 [트랙②] 제작 준비형  | 
			
			 900만원  | 
			
			 트랙②의 경우 3가지 금액(900만원, 1,500만원, 2,000만원) 中 택 1하여 신청 가능  | 
		
| 
			 1,500만원  | 
		||
| 
			 2,000만원  | 
		
| 
			 비목  | 
			
			 세목  | 
			
			 항목  | 
			
			 비고  | 
		
|---|---|---|---|
| 
			 인건비  | 
			
			 기타직보수  | 
			
			
  | 
			
			 -  | 
		
| 
			 일용임금  | 
			
			
  | 
		||
| 
			 운영비  | 
			
			 일반수용비  | 
			
			
  | 
			
			
  | 
		
| 
			 임차료  | 
			
			
  | 
			
			 -  | 
		|
| 
			 공공요금 및 제세  | 
			
			
  | 
			
			 -  | 
		|
| 
			 여비  | 
			
			 국내여비  | 
			
			
  | 
			
			
  | 
		
| 
			 국외여비  | 
			
			
  | 
			
			
  | 
		
※ 본 사업은 자부담 의무편성 제외 사업이며, 예산편성 가능항목 외 편성 불가
※ 예술가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이므로, 기획사 대행비, 출판사 대행비 등 기획용역업체의 대행비 편성 불가
※ 참여자 식비 및 회의진행비 편성 불가, 필요시 자부담으로 편성. 단, 예산 편성의 적절성은 심의 시 평가됨
| 
			 심의기준  | 
			
			 가중치  | 
			
			 평가내용  | 
		
|---|---|---|
| 
			 사업목적과 신청사업의 부합성  | 
			
			 30%  | 
			
			
  | 
		
| 
			 사업계획의 실현가능성 및 예산편성의 적절성  | 
			
			 40%  | 
			
			
  | 
		
| 
			 사업수행 역량  | 
			
			 30%  | 
			
			
  | 
		
※ 본 사업은 지역최소보장제 적용 사업입니다.
퍼실리테이터 그룹-아동·청소년 대상 창작물 제작활동 지원 사업 연계 운영 체계
| 
			 구분  | 
			
			 21.7월 초  | 
			
			 21.7월 중순  | 
			
			 21.7~12월  | 
			
			 21.12~22.2월  | 
		
|---|---|---|---|---|
| 
			 [유형①] 아동·청소년 대상 창작물 제작활동지원  | 
			
			 오리엔테이션 참여  | 
			
			 교부신청  | 
			
			 사업추진  | 
			
			 사업정산  | 
		
| 
			 [유형②] 퍼실리테이터 그룹 지원  | 
			
			 오리엔테이션 참여  | 
			
			 재교부 (예술위 담당부서 별도협의)  | 
			
			 현장 의견수렴/ 모니터링/네트워킹  | 
			
			 성과공유회 추진 및 운영결과보고  | 
		
| 
			 예술위원회 (지원총괄부)  | 
			
			 오리엔테이션 추진  | 
			
			 교부 진행사항 검토 및 관리  | 
			
			 현장 민원 접수/조치  | 
			
			 우수사례 공유·확산  | 
		
※ 이메일, 우편, 직접방문 접수 불가
| 
			 구분  | 
			
			 대상자  | 
			
			 제출자료  | 
			
			 제출방법  | 
		
|---|---|---|---|
| 
			 필수  | 
			
			 지원신청자 전원  | 
			
			 지원신청서  | 
			
			
  | 
		
| 
			 해당자에 한함  | 
			
			 문학분야 트랙② 신청자  | 
			
			 미발표 원고  | 
			
			
  | 
		
| 
			 시각분야 트랙①, ② 신청자  | 
			
			 포트폴리오  | 
			
			
  | 
		|
| 
			 추가자료 제출 희망자  | 
			
			 포트폴리오  | 
			
			
  | 
		|
| 
			 국내거주 외국인  | 
			
			 예술활동증명 확인서  | 
			
			
  | 
		
| 
			 구분  | 
			
			 추진일정  | 
		
|---|---|
| 
			 지원심의접수 및 마감  | 
			
			 2021.5.10.(월)~5.31(월) 오전 10:00 마감  | 
		
| 
			 지원심의  | 
			
			 2021.6월 셋째 주 ~ 넷째 주  | 
		
| 
			 지원심의결과발표  | 
			
			 2021.7월 중순 예정  | 
		
| 
			 오리엔테이션  | 
			
			 2021. 7월 말  | 
		
| 
			 사업운영  | 
			
			 2021. 7월 ~ 12월  | 
		
| 
			 정산 및 결과보고  | 
			
			 2021. 12월 ~ 2022. 2월  | 
		
※ 상기 일정은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 시 지원신청자에게 별도 연락
자료담당자[기준일(2021.5.10)] : 지원총괄부 양지나 061-900-2163
게시기간 : 21.5.10 ~